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강남북 집값 분석-전망 : 필독을 권합니다.

공부하는 아짐 조회수 : 1,715
작성일 : 2008-09-19 13:51:09
출처 : 김광수경제연구소 포럼. <부동산 문제>방
글쓴이 : 케네디언 (전직 기자로 알려짐)

맨 마지막 문장이 압권이네요.

.................................................


제목  : 왜 강남에는 역전세난, 강북에는 전세난이 생길까?

한국의 집값 버블 붕괴가 임박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 사람들이 아직 강북을 중심으로 중소형의 가격 하락이 본격화되지 않고, 전세난이 발생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한다.
이런 한편 강남 지역에는 대규모 재건축 단지의 입주가 본격화하면서 역전세난이 일고 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좀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지만, 수급 측면에만 한정해 생각해보자.  
특히 시장 수요의 시그널에 반응해 공급이 일어나는 공급 시차(time delay)를 고려하지 못하는 정책 당국의 주먹구구식 대응이 주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춰 을 정리해보았다.
(공급시차에 대한 좀더 자세한 글은 필자가 7월말 이 란에 띄운 '스템역학으로 본 집값 거품 붕괴 전망(글 번호 281)'을 참조하시길 권한다)


2008년 이후 중대형 평형의 집값이 맥을 못 추는 것도 공급시차 측면에서 볼 수 있다.
2001~2003년 집값 폭등기에 중대형 평수 위주로 집값이 오르자 대부분 언론에서는 중대형 평수의 공급이 부족한 때문이라고 떠들어댔다.
실제로 중대형 평형 공급이 부족한 탓도 있었지만, ‘중대형이 돈이 된다’는 생각에 여러 사람이 사재기를 한 탓도 컸다. 그러다 보니 건설업체들도 너나 할 것 없이 중대형 평형을 지어댔다.
이후 이뤄진 대부분 재개발 재건축과 뉴타운 사업이 중대형 평수 위주로 이뤄졌음은 물론이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시정연)이 2007년말 펴낸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한 저가 소형주택 확보방안’에 따르면 중대형 평수 위주의 아파트 비중이 최근 몇 년 새 크게 늘었다.
2002년의 경우 연립 및 다세대 주택이 전체 서울지역 주택 건설 비중의 64.6%를 차지했으나, 2006년에는 21.3%로 대폭 줄었다. 반면 아파트 건설 비중은 2002년 32.4%였으나, 2006년에는 76.5%나 됐다.

서울만 그런 게 아니었다. 2003년 이후 지어진 수도권 아파트도 중대형 평형이 대세였다.
이 흐름을 가장 강하게 탔던 경기도 용인이 전국에서 아파트 평균 면적이 가장 큰 도시가 된 것도 우연이 아니었다. 몇 년 전 대량으로 분양됐던 중대형 평수의 입주물량이 쏟아진 서울 잠실재건축 단지나 용인 등 경부축의 중대형 평형이 죽을 쑤는 것도 이런 수급 측면이 강하다.
이렇게 입주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다 보니 이 지역은 심각한 역전세난까지 겪고 있는 것이다.


역으로 주로 서민들이 사는 중소형 평형의 공급은 크게 줄었다. 올해 총선을 전후해 노원구와 도봉구, 강북구 등의 집값이 상승한 것이나 최근에도 강북 중소형 평형을 중심으로 전세난을 겪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2005~2007년 3년 동안 강북에서만 5만호가량의 소형 주택이 철거된 반면 신축된 소형 주택은 1만4000여 호에 불과하다. 더욱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약 8만5000가구가 철거될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이처럼 강북 소형주택의 품귀현상이 소형평형 위주의 집값 상승을 유발했고, 투기 세력이 가세해 집값 상승이 확대된 것이다.


하지만 동북 3구의 집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기는 어렵다.
우선 거래량이 올해 강북 지역 투기가 극성을 부렸던 2008년 3, 4월에 비해 3분의 1 아래로 뚝 떨어졌다.
추가 매수자가 거의 없다는 뜻이다.
또 뉴타운 지역 주민들의 70~80%가 세입자여서 이 같은 수급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매매 수요의 급증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한탕’하고 뜨려고 했던 투기꾼들로서는 오히려 스스로 덫에 걸려든 격이 됐다.
수익을 현실화하려 해도 받아줄 사람이 없을 테니 말이다.
이들 지역의 집값은 추가 매수세가 없자 2008년 7월부터는 아예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다만 해당 지역 및 인근 지역의 전월세난은 계속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시절 정치적 목적을 위해 동시다발적으로 밀어붙인 뉴타운이 가져온 폐해인 셈이다.


공급과정의 시간 지체로 인한 수급 불균형만이 집값의 거품 형성과 붕괴 사이클을 만드는 요인은 아니다.
사실 한국의 경우 그동안 각종 투기적 상황과 정부의 정책 실패, 건설업계와 중앙 정부의 유착, 건설업계의 담합 및 투기에 편승한 분양가 조작, 건설업계의 분양광고를 매개로 한 언론 매체의 선동적 왜곡 보도, 부녀회나 반상회 등 주민들의 집값 담합 등도 복합적으로 작용했음은 물론이다.
특히, 투기 현상이나 건설 부패와 담합 등에 의한 집값 상승을 ‘사이비 시장논리’로 정당화함으로써 투기 버블을 확대재생산한 일부 신문들의 책임은 매우 크다.


다만 여기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주택 수급이라는 측면에서도 이제 집값이 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이 같은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하고 계속 ‘공급 부족론’을 들고 나오며 이미 10개의 2기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한 술 더 떠 정부는 ‘8.21대책’에서 인천 검단과 오산 세교 등 두 개의 신도시를 확대 지정하기까지 했다.
서울시가 이명박 전임시장 시절 지정했던 35개 뉴타운의 주택 공급 물량 30여만호도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쏟아진다. 말이 35개이지 서울시가 30여년동안 재개발한 물량의 1.5배가 넘는 규모다.
지금도 공급 초과인 상황에서 집값이 하락할 수밖에 없는데, 그 계획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2010년 이후 집값은 어떻게 될까? 그때가 되면 정부나 서울시도 부동산 시장 위축 상황을 보며 계획을 수정할까? 물론 그럴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꼭 그러리라고 장담하기도 어렵다.


왜냐하면 이런 상황에서도 ‘공급을 더 확대하라’고 부르짖는 엉터리들이 많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부동산 시장이 움츠러들면 3~4년 후에는 공급이 부족해 집값이 다시 폭등한다. 그러니 건축 규제를 최대한 완화해서 계속 공급을 해야 한다”는 식의 주장이다.
실제로 8.21대책 가운데 추가 신도시 지정이 이 같은 논리에 따라 나왔다. 또 이명박 대통령이 그린벨트를 풀어서 주택을 공급하겠다거나 도심 재개발 재건축 활성화를 계속 부르짖는 것도 이런 측면이 있다.

집값이 오르든 내리든 무조건 공급 타령인 셈이다.
향후 공급 위축을 우려해 정말 그런 결정을 내렸다면 그 뜻이 가상하다.
통폐합 위기에 놓인 국토해양부 산하 토공과 주공을 위한 밥그릇(결국 퇴직 후 자신들의 밥그릇) 챙기기가 아니길 빌 뿐이다.
IP : 203.229.xxx.213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공부하는 아짐
    '08.9.19 1:55 PM (203.229.xxx.213)

    통계청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가구수 증가가 겨우 350만호!
    그런데 어떤 찌질이는 500만호 건설을 부르짖더군요.

  • 2. ---
    '08.9.19 2:15 PM (220.116.xxx.12)

    늦기 전에 열심히 돈모아 집사세요.

    IMF때 폭락했지만 그 폭락이란게 20%였지요.

    얼마안가 다시 회복했지만....

    폭락하기 바라는 맘으로 계속 머뭇거리시면 앞으로는 영영 무주택자로 사시게 된답니다.

  • 3. 공부하는 아짐
    '08.9.19 2:18 PM (203.229.xxx.213)

    그렇죠, 경제전문가나 정부에서 완전히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으니 판단은 결국 각자의 몫이기도 합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499 <촛불숙제>9월19일 조선일보 칭찬하기 3 범국민행동 2008/09/19 384
233498 호텔 싸게 예약하는 방법 있나요? 2 질문 2008/09/19 692
233497 소고기 국밥 에 들어갈 소고기는 어떤 부위 써야 하는게 좋을까요? 2 궁금 2008/09/19 888
233496 이주노동자들... 1 에버그린 2008/09/19 191
233495 일원동 푸른마을.. 7 ... 2008/09/19 1,353
233494 AIG 구제금융 실패?? 11 AIG 2008/09/19 1,253
233493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2 ... 2008/09/19 248
233492 서초동 맛있는 김밥집 알려주세요 1 돌돌네 2008/09/19 403
233491 저도 걱정스러운 마음에 8 강남 아줌마.. 2008/09/19 2,107
233490 YTN과 조계사에 다녀왔습니다. 24 노을빵 2008/09/19 584
233489 집나간 중국인형님 찾을방법없을까요? 4 부탁 2008/09/19 687
233488 제주호텔... 비니사랑 2008/09/19 199
233487 결혼기념일 어떻게 보내세요? 11 결혼이년차 2008/09/19 870
233486 드디어 한겨레에... 18 하하 2008/09/19 1,050
233485 댁의 남편은 이름이 무엇입니까?(유머) 31 그냥 웃지요.. 2008/09/19 4,817
233484 마클에서 넘어온 놈들의 정체 10 내가 누굴까.. 2008/09/19 975
233483 아기키우면서 살림 잘하는법 좀 알려주세요~ 9 아기엄마 2008/09/19 981
233482 미네르바님 기사났네요 6 *** 2008/09/19 2,136
233481 헤어드라이기에서 연기가났어요; 4 펑펑 2008/09/19 1,256
233480 운동신경 둔한 아이 어찌할까요? 4 운동 2008/09/19 418
233479 고관절 인공돤절수술후 재수술... 2 감사 2008/09/19 348
233478 한국가자며 사고치는 남편 15 고민 2008/09/19 1,983
233477 김명민 너무 좋아요~!! 18 베토벤 2008/09/19 2,593
233476 시엄니 자랑^^;; 6 저도.. 2008/09/19 935
233475 이런 경우 어떻게 하세요? (불만제로에도 나왔었죠) 3 열받네 2008/09/19 1,031
233474 주위 분들 중에 음식 잘하시는 분들 많나요? 10 식객 2008/09/19 1,021
233473 살 빼고 싶어요 12 빼자 살~~.. 2008/09/19 1,652
233472 40대후반도 라식, 라섹수술가능? 5 감사후에 기.. 2008/09/19 862
233471 교육 과학부는 민원을 애들말로 해서 '씹더라'. 1 복데기 2008/09/19 185
233470 컬러메일을 내용출력하려면 1 컬러메일 2008/09/19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