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기 떼놓고 장기교육 가도 될까요?

고민고민... 조회수 : 376
작성일 : 2008-09-19 09:36:43
회사에서 해외로 교육을 보내준다고 하네요.
아마도 6개월 가량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문제는 16개월 된 아기입니다.
현재는 친정엄마가 봐주고 계셔요.

시댁이나 저희집이나 부모님들은 모두 다녀올 수 있으면 갔다와라.. 이러셨구요.
남편은 처음엔 부정적이더니, 교육 일정을 줄여서 4~5개월로 앞당기고 빨리 다녀오면 좋겠다.. 이러네요.

저도 가고는 싶지만, 역시나, 가장 큰 고민은 아이예요...

만 3살까지는 아이의 정서적 발달에 큰 영향을 주는 시기라고들 하던데,
이 시기에 제가 없는게 아이에게 불안감 유발.. 등을 일으키는게 아닐까 싶어 걱정이 많이 되네요.
물론 친정엄마가 너무나 잘 봐주고 계시고, 아이도 친정엄마한테 잘 가고 하지만,
여전히 밤에 잠을 자거나 아플 때는 저를 찾거든요. (저녁에 회식하다가도 애가 울어서 가끔은 일찍 들어옵니다.)

아.. 고민때문에 머리가 터질 것 같아요.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조언 좀 부탁드려요...
IP : 168.154.xxx.68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라면..
    '08.9.19 9:44 AM (211.115.xxx.68)

    선택은 본인의 몫이겠지요. 즉 답은 없다입니다. 삶의 중심을 어디에 두냐에따라 다르겠지요.
    지극히 저의 개인적인 답변입니다.
    저라면 안갑니다.
    나중에 애가 커서 지금 16개월의 일을 기억못하겠지요.
    그리고 어찌보면 아기의 긴 인생에서 아주 짧은 순간에 불과할수도 있지요.
    근데 저는 우리 아기와 있는 한순간한순간이 세상에서 제일 소중합니다.
    저도 직장맘입니다. 애기 볼 수 있는 시간이 아침 출근준비시간과
    5시쯤 퇴근한 뒤 애기잠들때까지 하루에 얼마 안됩니다.
    전 애기 떼어놓고 어디 혼자 못갑니다.
    왜냐면 내가 아기랑 놀아주고 같이 있어주는시간이
    제게도 젤 소중하고 아기에게도 지금 젤 소중하다생각하기때문입니다.

  • 2. 1개월도 너무 힘듦
    '08.9.19 9:54 AM (12.162.xxx.196)

    현재 직장다니시면서, 아기를 어떻게 키우시고 계시는지가 중요한듯합니다. 전적으로 친정 어머니께 육아를 맡기신다면 ( 퇴근 후나 밤에 잘때/ 휴일에 아이를 최대한 직접 키우지 않으신다면 ) , 아이와 떨어져 지내시는 것도 좀 쉬우실테고, 아니라면, 4개월은 정말 길고 고통스러운 시간이 되실듯하네요. 전 5주도 너무 힘들어서 우울증 걸릴 뻔 했습니다. 매일 혼자 있을땐 눈물이 나더군요.. 아기는 엄마보다 더 잘견디겠죠. 살아야 하니까요. 하지만, 그 마음속에 어떤 감정들이 지나가는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생각됩니다. 저희 아기 5주만에 저 보더니, 그자리에서 백번쯤 '엄마'를 부르더군요.자기 나름대로 그리웠다는 표시겠죠.. 4개월은 좀 긴듯합니다.

  • 3. 판단
    '08.9.19 9:58 AM (121.166.xxx.236)

    그 해외 교육을 다녀오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저는 그 비슷한 기회에 안 다녀온 것을 좀 후회했습니다. 왜냐하면, 부서가 힘들어서 부서원들이 다들 일을 새로 받던 시기에 그 교육을 다녀왔다면 좀더 나은 곳으로 갈 수 있었거든요. 제가 좀더 낫다고 하는 것은 연봉이 더 좋다는 의미가 아니고, 가정과 병행할 만한 여건이 더 좋은 곳을 말합니다. 저는 부서재배치되고 나서 결국 퇴직했어요.
    그 교육을 다녀와서, 회사에서 좀더 나은 여건에서 근무할 수 있는 조건을 조금 더 갖추는 것이라면 다녀오세요. 지금 6개월이 길고 힘들기는 합니다만, 더 길게 생각을 해 보세요. 애가 좀더 컸을 때 6개월 다녀오는 것은 더 힘들 겁니다. 회사다닐 때 그런 기회에 다녀온 직장맘을 아는 데, 잘 다니시고 계시구요, 애들도 참 잘 자라고 있어요. 그 분도 친정에서 아기를 맡아주셨었지요.
    만약 님이 입주도우미가 아기를 키우고 있다거나 하면, 위와 다른 대답 - 가지 마시라..라고 했겠죠. 님은 비슷한 고민을 하는 직장맘들 중에서 좋은 기회같아서 이런 대답을 적었어요. - 친정엄마와 남편이 찬성하고, 아기도 한 명이고... 직장맘들 중에서도 이런 조건을 갖추기가 참 힘들죠.

  • 4. ..
    '08.9.19 10:02 AM (58.77.xxx.50)

    친정엄마가 봐주신다면 전 가는 쪽에 한 표요!!
    정말 애가 더큰 3~4세때가 더 떼어놓기가 힘들어요.아이정서에 문제가 있을수도 있고...오히려 지금 개월수가 교육 가시기에 더 나을듯합니다.혹 가기로 결정 난다면 6개월 못 본다고 생각해 가기 전에 아이한테 너무 과도한 애정은 삼가하심이 좋을듯하구요,다녀와서 사랑 듬뿍 주세요.

  • 5. ...
    '08.9.19 10:05 AM (211.210.xxx.30)

    친정엄마가 봐주신다면
    당연히 간다에 한표 추가요!

  • 6. 17개월맘
    '08.9.19 10:24 AM (150.183.xxx.140)

    비슷한 시기의 애를 키우는 직장맘입니다.

    저라면 안갑니다. 저는 현재...일주일 해외출장도 안 가려는 상태입니다.^^;;;(물론 회사야 좋겠죠.)

  • 7. ...
    '08.9.19 10:30 AM (58.142.xxx.114)

    이미 본인의 마음속에서는 결정이 내려진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민 상담을 하는 건 자신이 맘속으로 내린 결정이 타인이 보기에도 그러한지를 확인하는 거 잖아요.

    교육으로 인해 본인이 받은 혜택이나
    혹은 교육을 받지 않아 생기는 문제는 본인이 가장 잘 알고 있을 듯해요.
    회사를 계속 다니실 계획이라면 이 것도 아이문제 만큼 신중하게 생각해 볼 문제 입니다.

    아이 문제도 본인이 판단할 일입니다.
    친정 엄마가 아이를 어느정도 봐 주고 계시는지는 우리가 모르니까요.
    꼼꼼히 봐 주는 분이 있으신가 하면 그렇지 않은 분들도 많아요.
    아이 먹는 것부터 씻기는 거 놀아주는 거 그리고 아이와 할머니의 친밀함 정도는
    일반적인 경우로 생각을 하기에는 너무나도 다양한 문제입니다.

    저희가 가지 말라면 안가실 건가요? 아님 가라면 가실 건가요?

  • 8. carmen
    '08.9.19 11:03 AM (125.188.xxx.86)

    해외 장기 교육 보내 줄 정도의 회사면 우량 기업이라고 봅니다. 이 좋은 기회를 버릴 수 없죠. 제 친척 한 사람은 아이는 광주 친정에서 갓 난 아이 때부터 컸어요. 엄마 는 서울서 은행에 다니고 ... 이모를 엄마라고 부르며 한 달에 한 번 정도 애 만나면 엄마보고낯 설어서 울어요. 7살 때에 서울 데려왔는데요. 전혀 문제가 없어요. 성격 활달하고 아무 구김 없고.. 너무 어려서 뭘 모르니까 제 이모를 100% 엄마로 알고 컸으니까 엄마 그리움 몰랐을거고 따라서 애 정서에 악영향도 없을 거라고 보여요. 님도 걱정 마시고 좋은 기회 저버리지마시길...

  • 9. 원글.
    '08.9.19 12:31 PM (168.154.xxx.68)

    답변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글을 읽으면서도 생각때문에 복잡하네요.

    매번 퇴근하면서 아이가 와서 안겨 칭얼거리면 웃으면서
    "엄마 회사갔다온거야. 어디 먼데 간 줄 알았어? 우리 이쁜 아기 떼어놓고 절대 안가니깐 걱정마"라고 얘기하곤 했는데, 이렇게 되고보니 어찌할 줄 모르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379 건강보험 추천해 주세요. 3 피그마리온 2008/09/19 270
233378 경주여행정보 좀 부탁드려요. 가족여행.. 14 여행 2008/09/19 882
233377 쇼핑 물건 많이 볼수 있는 사이트? 1 쇼핑 2008/09/18 385
233376 5세 아이 책 추천 좀 해주세요~ 7 음매 2008/09/18 329
233375 펌)일반인도 병원·약국 개설 가능…서비스업 규제 대대적 완화 9 2008/09/18 426
233374 공군참모총장이 짤렸어요....... 17 결국...ㅠ.. 2008/09/18 1,457
233373 내뒷통수 친 10년지기 31 .... 2008/09/18 4,977
233372 어린나이에 주식으로 큰돈벌고... 지금은 많이 힘드네요. 6 투자에대한단.. 2008/09/18 2,302
233371 뱀이 무서워서 3 엄마가 2008/09/18 434
233370 초고속인터넷.. 2 뭉게구름 2008/09/18 255
233369 이곳 댓글 보구서 동양종금에 넣었는데, 우체국이라구요?? 7 ^^ 2008/09/18 957
233368 너구리,제안입니다 10 아리랑너구리.. 2008/09/18 852
233367 위글 아리랑너구리 쒸레기통(단!분리수거)/ 새우실님.. 2 듣보잡 2008/09/18 414
233366 앞니빠진 5세아이 보철할까요? 8 음매 2008/09/18 404
233365 대통령에게 배우는 군대 안 가는 법 대 공개! ...펌>> 1 홍이 2008/09/18 268
233364 ** 라이프 펀드메니저가 월봉 2,000 이라는데.. 5 ^^ 2008/09/18 558
233363 분당-폐가전 수거일 3 지방사람 2008/09/18 263
233362 내 며느리는 첩이얏!!! 4 황금복돼지 2008/09/18 1,478
233361 멜라민이 함유된 과자,초콜렛이 우리나라에 수입됬다는데 메이더인차냐.. 2008/09/18 1,074
233360 학교에서 다친거 항의 할까 말까 고민 중 17 학부모 2008/09/18 907
233359 (급질)아기 낳고 2년인데요...아직도......... 2 ... 2008/09/18 720
233358 6,7호선 라인 아파트 6 워킹맘 2008/09/18 630
233357 네스프레소 머신 2 커피 2008/09/18 541
233356 2,3년된 생매실즙이 있어요 3 처치곤란 2008/09/18 703
233355 우리 시어머니..(1) 1 .. 2008/09/18 798
233354 추천~~ ㅎㅎ 2008/09/18 140
233353 신기한 카페 지*맘의 맘*홀* ... 16 ^^; 2008/09/18 3,478
233352 사랑하는 시엄마 자랑요 4 출산 막달 2008/09/18 805
233351 우리 아이 담임을 바꾸던가 반을 바꿔달라고 하렵니다...펌>> 13 홍이 2008/09/18 996
233350 요즘 새차 많이 보나요? 4 새차 2008/09/18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