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백분토론 보고 계신 분..

짜증 조회수 : 683
작성일 : 2008-09-19 01:30:29
TV 켜놓은 채로 인터넷 하고 있는데 지금 백분토론에서
'저희 나라~ 저희 나라~' 떠들고 있는 저 무식한 분 누구신가요?
듣기 싫어 죽겠는데 진행자라도 고쳐주던가 하질 않고...


우리나라가 지껀가...
IP : 121.159.xxx.8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쳐주던데,,
    '08.9.19 1:39 AM (121.144.xxx.85)

    좀 전에 진핸자가 지적했는데요,,,, 근데도 ,,

    오늘 파리(82)의 여인님 "백토대진표" 참고하시면 답이 좀 나올듯,,,,

    오늘 좀 맥이 빠지는 느낌인데,,,, 저만 그리느끼는지,,,,

  • 2. 바오밥나무
    '08.9.19 1:50 AM (116.123.xxx.89)

    그래두 김상조 교수님이 너무나 잘 말씀하고 계셔서 좋아요.
    상대편 3사람은 앵무새같은 소리만 되풀이하고 있는걸요.

  • 3. .....
    '08.9.19 1:59 AM (203.142.xxx.30)

    권혁세로군요. 정부쪽 인간...
    정부쪽 사람들은 어찌 그리 무식한지
    손석희씨가 고쳐줬는데도 계속 그러는것 같네요.

  • 4. 솔이아빠
    '08.9.22 10:43 PM (121.162.xxx.94)

    [우리 서로 제대로 불러요]<17> 우리나라를 지칭할 때

    신문에서 아무리 지적해도 방송에서 안 고쳐지는 말들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저희나라’라는 말이다. 방송 경력이 오래 몸에 밴 사람은 이런 말을 쓰지 않지만 일부 연예인이나 취재원의 입에서 불쑥불쑥 이 말이 나오면 필자는 식은땀이 난다. 아이들이 들으면 어쩌나 하는 생각에…….
    ‘저희나라’는 외국인에게 우리나라를 낮춰서 말할 때에만 쓰일 수 있는 말이다. 쉽게 말해 병자호란 때 인조가 삼전도(지금의 서울 송파구 삼전동)에서 머리를 조아리는 치욕을 당할 때처럼 항복한 군주가 승리한 군주에게 쓰는 말이 ‘저희나라’다.
    지금 우리나라 국민은 이 말을 쓸 이유가 없다. 이것은 과공비례(過恭非禮·지나친 예의는 오히려 무례한 행위)의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저희’는 ‘우리’의 낮춤말이다. 따라서 우리끼리는 써서는 안 될 말이다. 대학생들이 교수나 총장에게 ‘저희 학교’라 해서도 안 되고, 사장이 회장에게 ‘저희 회사’라 해서도 안 된다. 다만 나라와는 달리, 회사나 조직의 경우 다른 회사나 조직의 사람에게는 ‘저희 회사’라고 할 수 있다.
    나이가 많고 직위가 높은 사람이 한참 아랫사람에게 ‘저’라고 낮추는 것도 사실은 예의에 어긋난다. 학교 수업 때 교사가 제자들에게 ‘저’라고 말하는 것도 부자연스럽다. 그러나 다중, 대중을 상대로 할 때는 다르다. 자신이 학식이 많다고 TV 강연 때 청중 앞에서 반말을 하거나, 인터뷰하는 방송 기자에게 나이가 어리다고 반말을 하면 곤란하다. 이때에는 익명의 여러 사람이 자신의 말을 듣고 있다는 가정 아래 ‘저’라고 말하고 경어를 쓰는 것이 좋다.
    문제는 낯선 아래 항렬의 먼 친척, 학교 후배, 회사 부하 직원 등에게 자신을 어떻게 부르느냐는 것. ‘나’라고 부르는 것이 맞겠지만 처음부터 반말을 하기에는 곤란한 게 현실이다. 이때에는 ‘저’, ‘제가’ 등으로 자신을 지칭하다가 상대방이 “듣기 민망하니 말씀을 낮추시죠.”라고 하면 말을 낮추는 것이 자연스럽다.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법. 상대방이 멀뚱멀뚱 있다면 그때부터는 ‘내가’ ‘나는’ 등으로 자신을 부르고 ‘∼하네’ ‘∼하게’ 등 상대방에 따라 말을 낮출 수밖에 없다.(도움말=국립국어연구원 어문실태연구부 전수태 학예연구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334 아랫글읽다가 저두 아직 용서못할 시어머니 말씀.. 38 이땅 며눌 2008/09/18 3,992
233333 외국 펀드도 다 정리 해야할까요? 9 펀드 2008/09/18 1,533
233332 유기농 채소 과일은 좀 덜 씻어 먹어도 되겠죠? 4 유기농 2008/09/18 573
233331 장안의 화제 ,언제 무슨방송에서 하나요? 3 베토벤 바이.. 2008/09/18 524
233330 웃으시겠지만.. 저 요즘 자게에 올라오는 고부관계 보면서 혼자 연극해요 8 예행연습 2008/09/18 838
233329 밀레 진공청소기 2 궁금해서 2008/09/18 528
233328 4년전 펀드도 손실이네요 ㅠㅠ;;; 6 내 펀드 2008/09/18 1,447
233327 능력없는 아주버니와 걱정되는 시댁... 39 고민 2008/09/18 3,299
233326 요즘 남편친구 아이 돌잔치에 뭘 사가나요 5 2008/09/18 504
233325 남편이 벨기에 출장간다는데... 5 날씨 2008/09/18 673
233324 고추를 바싹 말렷더 너무 말렸다고 투덜, 들말렷더니 기계상한다 투덜.. 2 비위맞추기힘.. 2008/09/18 642
233323 [반론]여자가 읽어야하는 남자의 생각 8 웃기셔..... 2008/09/18 1,254
233322 국사 성적 6 학부모 2008/09/18 574
233321 중고물품 거래 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1 이사가요~ 2008/09/18 300
233320 134회 촛불집회 6 생중계 2008/09/18 225
233319 남자는 왜 긴머리 여자를 좋아하지요?? 20 남자 2008/09/18 8,455
233318 핀란드 사시는 분.. 독일 화장품 로고나 거기서 살 수 있나요? 로고나 2008/09/18 155
233317 50~60세의 일본여성은 어떤 선물이 좋을까요? 6 전40대 2008/09/18 401
233316 그냥 드는 생각인데요. 은행 vs 부동산 2 gma 2008/09/18 718
233315 60대 중반 엄마와 서울에서 살집 추천부탁드려요.. 8 프란 2008/09/18 762
233314 새차에 껌붙인 조카 8 속상해요 2008/09/18 1,392
233313 만화책 제목 좀 알려주세요 4 아시는 분 2008/09/18 418
233312 이런 아이 어찌 키울지.. 3 부숭이 2008/09/18 730
233311 축의금이라는것이?? 2 나참 2008/09/18 403
233310 초등생이상 자녀를 두신맘들님께 여쭤봅니다 13 교육고민 2008/09/18 1,386
233309 고.현.정 26 해변의여인 2008/09/18 10,390
233308 K2(케사모)/수정완료 5 빨간문어 2008/09/18 354
233307 아이 책 어디서 사시는지요 1 2008/09/18 228
233306 이런 경우 복비 어떻게 하나요? 7 궁금 2008/09/18 436
233305 (급)아파트에서 멸치액젓 달이고 있는데요? 10 멸치액젓 2008/09/18 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