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전문직의 개념: 어떤 사람이 전문직인가?

전전 조회수 : 699
작성일 : 2008-09-19 00:25:50
어원을 찾아 보면 됩니다.

영어로는 professional...

professor: 대학 교수...

즉 대학 교수는 전문직입니다. 그래서...대학교수에 준하는 직업이 전문직입니다.

전문직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박사이거나 박사급에 해당하는 지식을 가졌다고 사회적으로 공인된 자격증이나 직업이나 학위가 있으며,
이에 합당한 경제적 수입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지만  공인된 자격증이나 학위로 경제적 수입보다 사회적 명예가
더 주어지는 사람

전통적으로 전문직의 개념은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므로..

전문직종으로 인정 받는 직업은..다음과 같았습니다.

1. 대학교수
2. 성직자 (목사, 신부)
3. 법률가 (판, 검사. 변호사)
4. 의사
5. 박사학위가 필요한 직업을 가진 사람.

다시 말해 자격증이나 학위 자체가 그 사람의 직업과 지식 수준을 말해주면 전문가입니다.

회계사나 변리사 등등..

---------전문직과 장인( 마스터)의 차이..

전문직은 지식을 배경으로 합니다. 마스터도 전문직과 비슷한 대우를 받았습니다만

고도의 지식을 배경으로 하지 않고 고도의 기술을 배경으로 하면 마스터 입니다.

요즘은. 6개월..심지어 3개월만 공부해도 전문직 자격증을 딴다고 하는 광고가 있습니다만...

전문직은 보통..대학 및 대학원 교육을 합해서..10년 가까운 시간동안 지식을 습득한
사람이나 이에 필적하는 고도의 지식을 공인 받은 사람을 말합니다.










IP : 119.202.xxx.213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방삭
    '08.9.19 1:20 AM (125.182.xxx.16)

    사회학자들이 말하는 전문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직(교사, 교수), 엔지니어, 의사,
    회계사, 과학자(자연과학, 사회과학), 변호사, 언론, 출판인, 예술가, 건축, 설계가 등입니다.
    전문직의 개념은 일단 화이트 칼라여야 하고 교육수준이 높아야 합니다.

    경영자, 관리자 집단(즉 사업가)이 여기서 빠져 있는 이유는 바로 교육수준 때문입니다.
    경영자도 점점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지만 경영자 중에는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도 많이 있거든요.
    보수 수준은 같은 전문직이라도 사실 천차만별입니다. 예술가, 학자 중에는 수입이
    노동자 수준인 사람도 많습니다.

    위에 열거한 직업 중 의사, 변호사, 교수는 자본주의 이전 사회부터 있어온 직업입니다.
    하지만 신분은 달랐습니다. 전자본주의 사회에서 유일하게 세속적인 전문직으로 인정된
    직업은 변호사입니다. 교수는 성직자 신분이었고 의사는 장인 취급을 받았습니다.
    전문직이라는 용어 자체가 자본주의 사회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산업 시대인 19세기에 크게 늘어난 전문직은 교사와 엔지니어입니다.

    최근에 여러 직업군이 늘어남으로 위의 목록도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위 목록에는 금융전문가 같은 게 빠져 있습니다. 금융 분야는 신자유주의의 꽃이지요.
    지금 이런 사람들이 미국에서 150년씩 된 은행을 말아먹고 세계경제를 흔들흔들하게 하고
    있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또 지금은 전문직이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직종도 있습니다. 교사가 그렇습니다.
    19세기에는 교사가 명실공히 인텔리겐차 그룹에 속했지만 대학 교육이 일반화된 오늘날
    교사의 위치는 전문직이라고 단언하기에는 애매한 점이 있지요.

    여기 회원 여러 분이 전문직이라고 하는 것은 수식어를 하나 더 붙여서 '고소득 전문직'이라고
    해야 맞을 것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332 유기농 채소 과일은 좀 덜 씻어 먹어도 되겠죠? 4 유기농 2008/09/18 574
233331 장안의 화제 ,언제 무슨방송에서 하나요? 3 베토벤 바이.. 2008/09/18 524
233330 웃으시겠지만.. 저 요즘 자게에 올라오는 고부관계 보면서 혼자 연극해요 8 예행연습 2008/09/18 838
233329 밀레 진공청소기 2 궁금해서 2008/09/18 528
233328 4년전 펀드도 손실이네요 ㅠㅠ;;; 6 내 펀드 2008/09/18 1,447
233327 능력없는 아주버니와 걱정되는 시댁... 39 고민 2008/09/18 3,299
233326 요즘 남편친구 아이 돌잔치에 뭘 사가나요 5 2008/09/18 504
233325 남편이 벨기에 출장간다는데... 5 날씨 2008/09/18 673
233324 고추를 바싹 말렷더 너무 말렸다고 투덜, 들말렷더니 기계상한다 투덜.. 2 비위맞추기힘.. 2008/09/18 642
233323 [반론]여자가 읽어야하는 남자의 생각 8 웃기셔..... 2008/09/18 1,254
233322 국사 성적 6 학부모 2008/09/18 574
233321 중고물품 거래 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1 이사가요~ 2008/09/18 300
233320 134회 촛불집회 6 생중계 2008/09/18 225
233319 남자는 왜 긴머리 여자를 좋아하지요?? 20 남자 2008/09/18 8,455
233318 핀란드 사시는 분.. 독일 화장품 로고나 거기서 살 수 있나요? 로고나 2008/09/18 155
233317 50~60세의 일본여성은 어떤 선물이 좋을까요? 6 전40대 2008/09/18 401
233316 그냥 드는 생각인데요. 은행 vs 부동산 2 gma 2008/09/18 718
233315 60대 중반 엄마와 서울에서 살집 추천부탁드려요.. 8 프란 2008/09/18 762
233314 새차에 껌붙인 조카 8 속상해요 2008/09/18 1,392
233313 만화책 제목 좀 알려주세요 4 아시는 분 2008/09/18 418
233312 이런 아이 어찌 키울지.. 3 부숭이 2008/09/18 730
233311 축의금이라는것이?? 2 나참 2008/09/18 403
233310 초등생이상 자녀를 두신맘들님께 여쭤봅니다 13 교육고민 2008/09/18 1,386
233309 고.현.정 26 해변의여인 2008/09/18 10,390
233308 K2(케사모)/수정완료 5 빨간문어 2008/09/18 354
233307 아이 책 어디서 사시는지요 1 2008/09/18 229
233306 이런 경우 복비 어떻게 하나요? 7 궁금 2008/09/18 436
233305 (급)아파트에서 멸치액젓 달이고 있는데요? 10 멸치액젓 2008/09/18 2,300
233304 우와 미치겠다 3 시월드 2008/09/18 603
233303 "구름" 님으로 글 쓰시는 분이 2분이신가 봅니다, 20 ᕥ.. 2008/09/18 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