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명박의 악수는 악수를 낳고

구름 조회수 : 464
작성일 : 2008-09-02 21:45:28
어제 이메가의 감세정책 오늘의 건설경기부양 등 각종 악수들에도 시장은 아랑곳없이
아래로 아래로를 거듭하였다. 헌데 이게 웬일인가 장 막판 10분사이에 엄청난 자금이
KOSPI를 1400대로 턱걸이 시켰다. 바로 국민연금을 주축으로 하는 연기금이다.
이제 막장이다. 환율은 정부가 아무리 달러를 내다 팔아도 엄청 뛰었다. 1130원대로...
그렇게 연금과 외환을 처 붓고도 지수는 개선의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연금도 외환도 소용없다면, 앞으로 어찌되나?
답은 하나다... 백약이 무효.... 갑자기 전세계 경제가 하늘로 치솟는 꿈을 꾸는것.

이메가는 무슨 꿈을 꾸고 있을까?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39839

이틀째 금융공황, '정부 절대불신' 폭발
26조 감세,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국민연금 투입에도 패닉

2008-09-02 15:14:42 기사프린트 기사모으기  


금융시장이 2일에도 전날에 이어 완전 공황 상태에 빠져들었다. 정부가 전날 26조원 규모의 '세금 경기부양책' 등을 비롯해 각종 대책을 무더기로 쏟아냈으나, 시쳇말로 씨알도 먹히지 않는 분위기다.

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8원 폭등한 1,134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전날의 27원 폭등에 이어 이틀새 무려 45원이 폭등한 것이다. 2004년 10월이래 거의 4년만의 최고치다.

증시에서는 코스피지수가 오후 들어 1,400선이 붕괴되며 1,392까지 폭락했다가 폐장직전 기관-연기금의 무더기 매수로 간신히 전날보다 7.29포인트 떨어진 1,407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그러나 기관들이 신경을 쓰지 않은 코스닥지수는 무려 21.07포인트, 4.8%나 폭락한 418.14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천241억원, 2천638억원을 순매도했고, 기관은 7천165억원을 순매수했다. 시장이 완전 패닉상태에 빠져든 것이다.

2일의 환율 상승, 주가 하락 폭은 전날의 그것보다는 상대적으로 소폭이었지만 내용은 훨씬 '악성'이다. 이는 정부가 시장의 패닉 심리를 진정시키기 위해 1일 오후부터 2일까지 온갖 대책과 발언을 쏟아냈음에도 패닉이 계속 진행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1일 26조원의 세금감면 대책을 발표했다. 법인세, 상속세, 양도세, 소득세 등 전방위 세금감면 경기부양책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2일 재개발-재건축 규제완화 특명을 내렸다. 부동산경기 부양책이다. 강만수 기획재정부장관은 필요하다면 또다시 외환시장에 개입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국민연금에 대해 주식 매입을 압박했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제2 외환위기설'을 일축했다. 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수단을 총동원한 셈이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차갑다 못해 얼음장 같았다. '절대 불신'의 표출이다. 시장이 완전히 등을 돌린 양상이다.

개장초만 해도 찔끔 내리는가 싶던 원-달러 환율은 다시 급등했다. '역외세력' 때문이다. 역외세력이 달러 사자 주문을 내자 환율은 폭등했다. 역외세력은 헤지펀드 등 핫머니일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외환시장을 두들겨 본 셈이다.

1997년에도 멀찌감치 싱가포르 등에 포진한 역외세력들이 한국을 두들겨보다가 재경원이 흐름을 못 읽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한 뒤 총공세를 펴 한국 외환시장을 통째로 뒤흔든 바 있다. 역외세력의 준동은 그만큼 간단치 않은 메시지다.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에번스가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현재로선 (투자자) 어느 누구도 한국을 사랑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 말을 되새겨봐야 할 때인 것이다.

이처럼 외국인들의 시선이 싸늘함에도 강만수 장관 등 재정부 고위인사들은 계속해 "우리 총알 많다. 언제든 시장에 들어갈 것"이란 동문서답으로 대응했다. 외국인들이 한국을 불신하는 이유가 강만수 경제팀의 설익은 시장개입이란 사실을 도통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정책을 불신하기란 국내시장도 마찬가지다. 개미들은 이틀째 투매를 계속했다. 더이상 정부도 기업도 못믿겠다는 의미다.

이날도 기업 중에서 희생물이 나왔다. 동부그룹이다. 동부생명 유상증자설에 동부그룹 전체주가가 폭락했다. 시장에선 벌써 "내일은 누구냐"는 얘기가 나돈다. 기업들에 대한 신뢰가 깨진 것이다.

정부가 1~2일 각종 건설경기 부양책을 쏟아냈지만 건설주도 폭락했다. 몇몇 굴지의 건설사를 제외한 대다수 건설주가 마찬가지였다. 쌍용건설, 코오롱건설, 서광건설, 한신공영, 동부건설은 하한가까지 폭락했고 대다수 건설사도 마찬가지였다. 정부가 버블세븐 경기 부양을 위해 양도소득세를 사실상 무력화하고 재개발-재건축 활성화를 지시했으나, "빅5만 득을 보지 대다수 건설사는 열외"라는 인식이 건설주 폭락을 불렀다.

시장을 흔히 송사리떼에 비유한다. 자그마한 돌맹이 하나에도 쏜살같이 흩어지는 게 시장이다. 그만큼 정부정책은 진중하고 신중해야 한다. 시장을 불안케 해선 안된다. 당장 지금 어려운 게 문제가 안된다. 시장이 원하는 것은 비전이다, 지도력이다. 그런 면에서 지금 시장의 패닉은 지도력의 패닉이기도 하다.

IP : 147.47.xxx.131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8.9.2 10:44 PM (116.125.xxx.37)

    '지도력의 패닉'이라는 표현이 정확한 지적이군요.
    들리는 소식들은 암울하기만 하고, 나라가 어찌 되려는지 IMF를 지낸 세대로서 국민의 고통을 외면하는 현실들이 마음이 아픕니다. 이젠 귀를 막고 싶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9314 오는낮에 w스페셜을 봤는데요... 4 올백이 2008/09/02 757
229313 인터넷으로 반찬 파는 곳 알려주세요 6 누나 2008/09/02 501
229312 학습지로 일본어배우고 싶은데.. 6 일어 2008/09/02 556
229311 [강/성/노/도]드뎌 서울북부도 경향신문 판촉에 들어갑니다! 4 리치코바 2008/09/02 239
229310 계돈계산방법좀알려주세요^^ 2 .. 2008/09/02 1,337
229309 미운 남편 15 우울해 2008/09/02 1,580
229308 반장됐는데 너무 당황스럽네요. 11 당황한이 2008/09/02 1,769
229307 솔로몬저축은행은 안전할까요? 1 걱정태산.... 2008/09/02 1,061
229306 냄비 추천해 주세요~ 12 냄비 2008/09/02 824
229305 근무중 음주(아파트 경비아저씨) 3 그라시아 2008/09/02 384
229304 40대 초반 부부의 재산이 이정도라면 어떻게 생각되시나요? 34 재산 2008/09/02 8,178
229303 많이 야위신 그 분께 한마디 격려를.... 2 화이팅 2008/09/02 480
229302 일산주엽역"아딸"드러워죽어요. 5 일산에 떡볶.. 2008/09/02 1,760
229301 너무 힘든 생일날 3 생 일 2008/09/02 397
229300 우체국 예금 전액예금자 보호 된데요~ 2 우체국 2008/09/02 1,220
229299 "초호화판 盧생일잔치, 하루 두번이나 열어" 36 노총각 2008/09/02 3,469
229298 오늘 죽였다는 간첩 얘기는 왜 삭제했을까요? 6 궁금녀 2008/09/02 989
229297 세금을26조 깍아준다느데 5 당쇠마누라 2008/09/02 213
229296 어제 부모님께 차라리 돈으로 드리고 싶다던 이에요. 4 에휴 2008/09/02 663
229295 우체국에 아이스박스 파나요? 3 택배 보내려.. 2008/09/02 611
229294 고추 기름이란? 5 ~~ 2008/09/02 427
229293 사교육비 들이지 말고, 자녀를 직접 가르치는 건 어떨까요? 1 리치코바 2008/09/02 705
229292 국민과의 대화 5 노총각 2008/09/02 265
229291 질문) 초1인데요..윤선생 reading solutions괜챦을까요?? 2 구름바람 2008/09/02 368
229290 MB '경제 위기론'의 나비효과 2 미친정부 2008/09/02 473
229289 시댁관련 -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려요 7 미니민이 2008/09/02 866
229288 이웃집 아줌마와의 얘기예요 16 판단 부탁 2008/09/02 7,074
229287 4살 조카 옷 선물, 사이즈는? 4 외숙모 2008/09/02 303
229286 황당한 일 저처럼 당하지 마시길 6 우석엄마 2008/09/02 1,802
229285 [스크랩] 문규현 신부가 남긴글, "다리 불편한 스님과 늙은 사제, 오체투지를 떠납니다... 5 ... 2008/09/02 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