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고가주택 대박 양도세 1/20로 줄어..

...... 조회수 : 932
작성일 : 2008-09-01 15:03:52
[머니투데이 문성일기자]- 양도차액 5억인 10억주택 4455만원→182만원
- 삼성동 아이파크 2년후 양도세 5억7천만원 줄어


앞으로 고가주택의 양도소득세가 현행보다 최고 20분의 1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고가주택 기준이 상향 조
정된데다, 장기보유특별공제가 대폭 확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새로운 고가주택 기준이 될 시가 9억원을 조금 웃도는 경우 양도세 감면 비율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
다. 예를 들어 5년 전 5억원에 매입한 아파트를 10억원에 매각한 경우 현행 기준을 적용하면 양도세는 4455
만원이 된다.

하지만 빠르면 올 연말이나 내년 초부터 시행될 신규 규정에 따르면 부과세액은 크게 줄어든다. 고가주택 기
준이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 조정되고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연 4%에서 연 8%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내
년에 이 아파트를 매각하면 양도세는 94% 가량 줄어든 265만3200원에 불과하다.

또 보유기간이 7년째가 되는 2010년에 역시 해당 주택을 10억원에 팔았다면 양도세는 182만6550원으로, 현행
기준을 적용받는 올해보다 24분의 1로 줄어든다.



물론 현행 과세 기준에 따라 2000만~3000만원 가량 양도세를 물어야 하는 시가 8억~9억원대 주택은 새로운
세법이 적용될 경우 보유와 거주 등 비과세 요건만 갖추면 단 한푼도 내지 않아도 된다.

가격 상승률을 감안할 때 2002~2003년 사이 서울 강남권이나 분당, 일산 등 수도권 신도시의 3억~4억원대 아
파트를 매입한 집주인들이 집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절대금액으로 최대 수혜지역은 역시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한 버블세븐지역과 용산, 상암동 등 집중 개발지
역이다. 이들 지역의 경우 시가 수십억원에 달하는 아파트가 집중 공급돼 왔던 만큼, 정부의 이번 세제개편
안에 따라 수억원 이상의 양도세를 감면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국내 최고가 아파트 가운데 하나로, 최근 57억원에 거래됐던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241㎡(전용 19
5㎡, 분양가 11억5990만원)의 경우 현행 기준상 보유 4년째인 올해 양도세는 12억364만원이다.

하지만 새 규정에 따라 보유 5년째인 내년에는 양도세가 7억5829만원으로, 4억4535만원이나 줄어든다. 같은
조건으로 2010년에는 양도세가 5억6796만원이 줄어든 6억3568만원에 그친다.

최초 분양가 6억7800만원으로, 지난 2005년 2월 입주한 시가 20억원의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151㎡(전용 1
21㎡) 양도세는 올해 2억7776만원에서 내년엔 1억5257만원으로, 2010년에는 1억2870만원으로 각각 줄어든다
.

다만 이 같은 양도세 완화 조치가 본격 시행될 때까지 당분간 고가주택 거래는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 특히 고가주택 기준 상향으로 양도세 부담이 대폭 줄어든 시가 6억~9억원짜리 주택 보유자들의 경우 매도
시기를 미루는 현상이 두드러질 가능성이 높다.


[주요기사]
☞ "외국인은 주가 상승을 준비하고
있다"
☞ [기자수첩]두산의 착각? 애널의 오판?
☞ 박진영, 청와대서 '한류' 주제로 강연
☞ 트로트
가수 예진 매니저, 거문도서 익사
☞ 불교계 스님 할복 이어 사찰별 항
의 법회



모바일로 보는 머니투데이 "5200 누르고 NATE/magicⓝ/ez-i"


문성일기자 ssamddaq@
IP : 211.214.xxx.13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8.9.1 3:05 PM (59.23.xxx.40)

    역시 한나라야
    부자당은 다르구만

  • 2. ...
    '08.9.1 3:08 PM (118.217.xxx.49)

    저런 식으로 세금수입을 줄이면 어디서 메꿀까???

    만만한 게 서민이겠지...

  • 3.
    '08.9.1 3:10 PM (59.10.xxx.241)

    직접적인 혜택을 받는 저희 부모님들이야 좋아하시겠지만 맘이 편치 않네여..

  • 4. 구름
    '08.9.1 3:14 PM (147.46.xxx.168)

    양도세 내릴때까지 이메가와 딴나라당이 살아남을까?

  • 5. 보고있기
    '08.9.1 3:31 PM (221.146.xxx.134)

    민망해서 못처다보겠어요.
    내가 법안을 낸 것도 통과시킨 것도 아닌데
    왜 내 낯이 이렇게 뜨거운지...
    정말 저리들 살고싶을까?

  • 6. 일단
    '08.9.1 3:33 PM (211.192.xxx.23)

    오래 사신분들은 부동산 투기의 의도가 없는 분들이 많은데다..양도세때문에 팔지도 못한 경우가 많으니까 이 기회에 물을 갈고..취득세 등록세로 세금을 메우고..
    부동산투기로 돈을 번다는 인식을 뿌리뽑고 종부세로 집크기에 연연하지 않는 바람직한 풍토를 조성하면 이론상으론 참 모범적인 나라가 되겠구만요 ㅎㅎㅎ

  • 7.
    '08.9.1 4:22 PM (211.178.xxx.139)

    부럽긴 부럽네요. 투표잘해서 앉아서 돈을 몇천만원을 버니.. 똑똑한 사람들은 따로있다니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8864 심재철, 왜 창비 가을호 배포금지 가처분 신청을? 3 눈가리고 아.. 2008/09/01 263
228863 친구에게 받은 화장품 선물.. 2 선물 2008/09/01 722
228862 부탁해요 2 웅진씽크빅 2008/09/01 152
228861 멋을 모르고 사신 엄마.....가방좀 골라주세요.... 22 무플절망 ㅜ.. 2008/09/01 1,484
228860 기탄의 초등학생이 읽어야할 인물이야기 어떤가요? 2 초3엄마 2008/09/01 316
228859 5살 아이 몇 인치 자전거 사야 하나요 9 자전거 2008/09/01 226
228858 모델No 가 같는 냉장고구입관련~~~ 2 냉장고 2008/09/01 203
228857 런닝머신을 팔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2 어떻게 해야.. 2008/09/01 375
228856 어린이집 소풍때 간식 뭐싸주시나요? 11 잘좀먹어라잉.. 2008/09/01 1,214
228855 돌잔치를 호텔에서 하는거... 20 0_0 2008/09/01 1,692
228854 비오는 날, 으시시한 소식 10 쥐박뒤짐 2008/09/01 1,697
228853 벽지 우짱이 2008/09/01 165
228852 아지 배변훈련 언제부터 시키세요?? 12 에구 2008/09/01 440
228851 회원장터에 쟈스민님 암소 올라왔어요~! 2 추석준비 2008/09/01 1,042
228850 금강산 목란관의 냉면 맛 1 길방쇠 2008/09/01 222
228849 다이어트 후 머리카락이 너무 빠져요 5 에효 2008/09/01 658
228848 상수도, 전기 이어 가스산업도 민영화 계획- 천연가스 도입,판매 완전 경쟁 허용.. 지역난.. 1 ;; 2008/09/01 243
228847 스토커 친정 아부지..(심각한 내용은 아닙니다..) 7 흑흑 2008/09/01 975
228846 믿을수 있는 정육점... 1 복이엄마 2008/09/01 382
228845 백화점 셔틀버스 부활한다던 기사 사실인가요 4 셔틀 2008/09/01 739
228844 목디스크용 베개 좀 추천해주세요 3 추천좀..... 2008/09/01 603
228843 남편미워하는만큼내가더힘들어 5 가을비 2008/09/01 865
228842 백화점 이벤트없나요 ? 1 이벤트 2008/09/01 230
228841 층간소음 참을 수 밖에 없을까요. 2 3 민폐 2008/09/01 474
228840 9월 위기설에 대한 착각..그리고 오해 9 후~ 2008/09/01 1,196
228839 폭락장에도 오르는 주식 14 주식 2008/09/01 1,661
228838 9월위기설에 대해 2 장거리 2008/09/01 485
228837 조강지처 클럽... 5 ^^* 2008/09/01 1,596
228836 너무 무섭네요. 6 구름 2008/09/01 1,441
228835 다시 한번 더 전해질 수치에 대해서... 3 다시 전해질.. 2008/09/01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