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자녀에게 경제관념 심어주기

좋은 글 퍼왔어요 조회수 : 786
작성일 : 2008-08-22 21:42:44


한 아버지가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자 아이의 경제관념에 신경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과거에는 아이가 어렸으므로 아이가 원하면 다 해주었지만, 초등학교 입학과 함께

인간관계가 형성되는 과정에 들어섰기 때문에 아이에게 인생의 기본이 되는 경제를

알려주기로 한 것입니다.



처음 1년간 아버지는 아이에게 집안일을 돕거나 부모의 특정한 요구에 응하였을 경우에

그 대가로 금전을 지급해 주었고 그것으로 학용품을 구입하고, 군것질을 하게 하는 등

경제의 기본 원칙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아이의 부모는 1년 동안 단 한 번도 저축에 대해 이야기 하거나 강요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항상 행동과 결과에 대해서 가르침을 줄 뿐이었습니다. "



다음 해 아버지는 아이에게 가장 작은 돼지 저금통을 사 주었습니다.
그리고 한 달이 지나면 어김없이 돼지저금통을 뜯었습니다.
저금통 안에 들어 있는 금액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자로 아이에게 주었고,

그렇게 다달이 작은 저금통을 뜯어서 나온 금액을 큰 저금통에 저금을 하게 하였습니다.


1년이 지나자 아버지는 큰 저금통의 금액에 5%의 이자를 다시 아이에게 주었습니다.
그리고 전년과 마찬가지로 저축을 강요하지 않았습니다.


"단지 달콤한 유혹을 뿌리치고 저축을 한다면 그에 대한 대가가 따라온다는 이자에 대한

개념을 잡아 주었습니다. "



그렇게 1년을 보낸 후 아버지는 아이에게 아이가 1년 동안 모은 자산으로 은행의

예금 통장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의 용돈 지급 방식을 바꿔 아이에게 고정으로 할 일을 주고, 그 대가로

지급 되던 용돈을 한 달 단위로 끊어 지급을 해 주었습니다.
그리고는 예금 통장 이외에 적금통장을 하나 개설 할 것을 일러 주었고,

아이는 자신의 예금이 예치된 은행에 적금통장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아이에게는 작은 돼지 저금통과 큰 돼지 저금통, 은행의 예금통장과,

적금통장이 생겼습니다.
또한 아버지가 매달 지급해 주는 작은 돼지저금통의 이자 5%와 연말에 지급되는

큰 돼지 저금통의 이자 5%, 은행 예금통장의 이자와, 적금통장의 이자가

추가 수익이 되었습니다.



아이는 아버지의 가르침대로 금융활동을 하며 자신의 노하우를 만들었고,

경제의 원리를 이해하며 초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아이는 부모님의 돈이 아닌 자신의 돈으로 중학교에 진학 하였고, 아버지는

새로운 방식을 아이에게 제시해 주었습니다.


아버지는 매일 아침 운동 삼아 신문 배달을 시작하였고, 아이에게 함께 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렇게 아버지는 아이에게 집안이 아닌 사회에서의 첫 경제 활동을 시작하게 해

주었습니다.


또한 아버지는 아이에게 신문배달의 대가로 받은 급여를 공평히 나누어 이윤의

배분을 알려주었고, 동업의 의미도 가르쳤습니다.


어느 시점이 되자 아이는 아버지와 같이 배달을 하는 것이 같은 시간, 같은 노력을

투자하고도 50%의 소득만을 얻는다는 것을 스스로 알게 되었고, 이윤의 극대화를

위해 혼자 배달을 하기 시작했으며, 어느 시점에서는 일정금액의 투자로 자전거를

구입하여 배달하는 양을 늘려 수익을 증가시켰습니다.

그렇게 아이는 스스로 경제활동을 하며 고등학생이 되었고, 아버지는 다시 한 번

아이의 마인드를 진화시켰습니다.


"1단계 투자인 금융권 투자에서 벗어난 미래의 가치에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 주기

시작했습니다. "


아버지는 부업의 개념으로 작은 개인 사업을 시작하였고, 아이에게 그동안 모아둔

돈을 투자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투자 금에 합당한 배당을 정확히 해 주었으며, 동시에 하루에 한 가지 이상

경제지를 읽도록 권유하였고, 아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사내용과, 경제용어를 설명

해주며 신문 읽는 시간을 함께 했습니다.
아이는 아버지의 사업에 투자하여 배당금을 받으며 가치투자의 개념을 이해하는 한편,

아버지와 함께 즐거운 마음으로 경제전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미래가치에 투자하는

방법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시장경제의 시스템을 파악, 분석하는 것을 배웠으며,

그로인해 자연스럽게 주식투자와, 각종 펀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아이는 아버지의 투자마인드를 배우며 남들보다 앞선 투자마인드로 성인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를 보며 자라며, 아이에게 가장 큰 스승은 부모라고 합니다.""


어떤 부모는 아이가 친지들로부터 용돈을 타면, 그 돈을 생활비에 보태기도 한다더군요.

그럼 아이는 자기 돈을 빼앗긴다는 생각을 하게하고, 이후에는 적어도 돈에 대해서는

부모님들께 거짓말을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아이는 부모님의 경제 활동을 보며 경제개념을 성립해 갑니다.


부모가 금융투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가정이라면 그 가정의 아이들도 훗날 금융투자를

우선으로 하게 되고, 부모가 부동산 투자로 자산을 증식한 가정의 아이들은 싫든 좋든

부동산 투자의 가치를 어릴 때부터 보고 배운 까닭에 성인이 된 후에는 대부분 부동산

투자를 하게 합니다.


빚을 지며 살아가는 부모를 본 아이들은 어떨까요? 처음에는 “나는 저렇게 살지 않을 거야!”

라는 의식이 강하지만 성인이 되서 빚을 지게 되더라도 아이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게

됩니다.
빚을 지고, 이자에 치이면서도 자식을 키우며 살아온 부모님의 모습을 보아왔기 때문에

빚지고 사는 것에 대한 큰 위기감이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나는 저렇게 살지 않을 거야!”는 어린 시절에 생각하는 미래에 관한 것이지만,

성인이 된 후 대출을 받아 집장만을 하는 것은 현실이기에 스스로 위안하며

합리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아직 어리니까......” 또는 “학원 갈 시간도 없는데....” 라는 생각이 아이들을 대출과 함께

사회생활을 시작하게 하여 대출이자를 갚으며 늙어가게 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


어느 순간 빚내서 아파트를 장만 하는 것이 당연하게 된 우리 모습에 아이들의 미래를 끼워

넣으려 하지 마십시오.


가난하더라도 아이들에게 올바른 투자마인드를 만들어 돈을 지배하는 방법을 알려 주십시오.


http://blog.moneta.co.kr/blog.log.view.screen?wlog_blog=CAF03&blogId=mintpink...
IP : 211.187.xxx.19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link는 센쑤~
    '08.8.22 9:43 PM (211.187.xxx.197)

    http://blog.moneta.co.kr/blog.log.view.screen?wlog_blog=CAF03&blogId=mintpink...

  • 2. 하바넬라
    '08.8.22 9:56 PM (218.50.xxx.39)

    저희 부부가 워낙에 경제 관념이 없어서 아이들도 그렇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ㅠㅠ

    단지 저희는 용돈을 10%,50%40%로 나누어 10%는 나눔저금통에 50%는 내일의 위한 저금통에 40%는 자율로 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용돈을 지급했는데 나눔 저금통은 매년 말에 열게 합니다. 그리고 작은 금액이지만 스스로 기부하는 즐거움을 알게하고 있어요 만4년째 들어서다보니 이젠 스스로들 그 비율을 조정합니다. 다만 나눔저금통은 10%이상이 되게 하고 있어요
    어떤 달은 내일의 저금통이 배가 더부르고 어떤 달은 반대입니다.^^

    그냥 저축도 할 줄 알고 나눌 줄도 알라고 이렇게 하고 있어요

  • 3. 아이에게
    '08.8.22 10:06 PM (221.145.xxx.204)

    집안일의 댓가로 용돈을 지급하는 것은 글쎄요...

    집안일은 가족 구성원 모두가 당연히 나누어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방식으로 키웠을 경우, 아이가 마땅히 해야 하는 일을 하고서도 돈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지요.

  • 4. 언니
    '08.8.23 1:04 AM (211.117.xxx.148)

    언니도 아들이 지금 32살안데 주식을 해서 약 4억정도 모았대요
    아들이 너무 이재에 밝아서 싫다고하더라고요
    과유불급이라고
    너무 넘치는것보다
    적당한것이 좋을것같네요
    이세상에 살아가려면 돈이 꼭 필요한 필수고
    아주 생영같아서 소중하지만
    인생을 너무 돈에 집착하고 살면 무서울것같아요
    지금이나 예전에나
    모든것을 갖추고 결혼하는 사람 없어요

    살면서 없으면서 자식도 낳고 그러고 사는거죠
    우리부모 세대도 그러고요
    물론 너무 없어서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6317 피부레이저 후 색소침착 안오게 하려면? 1 레이저 2010/01/12 1,060
406316 요즘 홍콩 날씨 어떤가요? 9 hk 2010/01/12 1,146
406315 초등입학하는 울 아들 ..칭찬 좀 해주세요. 7 팔불출엄마 2010/01/12 653
406314 어그 부츠 2~3만원대로 괜찮은 거 추천 좀 해주세요.. 1 어그.. 2010/01/12 640
406313 알피 보온병 중에~ 슬림형/탑템 1 알피 2010/01/12 579
406312 입이 너무 씁니다. 2 위염? 2010/01/12 548
406311 쑥가루 활용법 1 쑥가루 2010/01/12 632
406310 영화 시크릿 결말이 어떻게 됐나요? 6 ... 2010/01/12 19,579
406309 버버리 의류매장은 백화점 몇층에 있나요? 겨울 코트 구경가려고(명동이나 영등포쪽 백화점) 버버리 2010/01/12 2,047
406308 남편 친구중에 싫은사람이 있는데...하소연 입니다. 4 초롱이 2010/01/12 1,409
406307 개명하신분들 졸업증명서 뗄 때 뭐 제출하셨나요 1 호적등본이면.. 2010/01/12 1,497
406306 삼성냉장고가 고장나서 디오스로 바꿨더니 이번달 전기료 28,090원이네요 15 삼성지펠 전.. 2010/01/12 3,018
406305 장애등급이 계시는 부모님께서 중국여행 2010/01/12 354
406304 몇년전 200만원에 산 소니 FULL HD 캠코더요. 중고로사면 7 얼마가 적절.. 2010/01/12 410
406303 임신테스터기 했는데 실패네요..^^ 7 슬픈새댁 2010/01/12 889
406302 몇년전 200만원에 산 소니 FULL HD 캠코더요. 중고로사면 4 얼마가 적절.. 2010/01/12 290
406301 초1아이가 고개를 한쪽으로 젖히고 TV시청을 하는데.. 3 청력검사 2010/01/12 353
406300 이거 영작이 맞는건가요? 4 영어초보 2010/01/12 358
406299 시험관 시술 했는데 시아버님 생신은 어찌? 7 현명한 방법.. 2010/01/12 938
406298 전기밥솥에 하는 잡채 3 잡채 2010/01/12 915
406297 4천정도 1년만 거치해놓으려 하는데요..은행 추천이요 6 식상한 질문.. 2010/01/12 1,262
406296 30대후반에들어선제가 주택관리사 딸수 있을까요? 2 주택관리사 2010/01/12 1,205
406295 주부 인권 보호 위원회 4 음.. 2010/01/12 485
406294 밤 제대로 구워보고 싶어서요. 6 구운밤 2010/01/12 708
406293 50~60세 남성 선물 추천요~ 아짐 2010/01/12 362
406292 감기걸린 저에게 도움을 주세요. 뭘 먹어야할까요? 먹고파요 2010/01/12 213
406291 팥밥 만들 때요... 푸드앤쿠킹을 봐도 모르겠어서요 ㅠ 2 요리초보 2010/01/12 726
406290 전세만기전 세입자 이사비용 질문요 7 gks 2010/01/12 1,687
406289 졸업증명서가 필요한데 어떻게? 5 비뻐 2010/01/12 395
406288 다른건 다 괜찮은데 웨딩드레스만 제 돈 내고 제가 좋은거 입겠다고 하면 많이 안좋게 보일까.. 24 ... 2010/01/12 2,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