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펌]우리 교육은 ‘변태’다

경향사랑 조회수 : 225
작성일 : 2008-08-21 18:20:26
[판]우리 교육은 ‘변태’다
입력: 2008년 08월 20일 17:53:19  경향신문
  


지난 한 달간 독일에서 짧게 어학연수를 받고 왔다. 첫째 날 분반시험을 치르고 둘째 날부터 수업이 시작되었다. 그런데 아무도 분반시험의 결과와 내가 속한 반의 수준을 가르쳐주지 않았다. 궁금한 마음에 담당자에게 물어보았지만, 그는 “학생들에게 맞춰 수업을 하려고 반을 나눈 것이지, 누가 잘하고 못하고를 가리기 위해서 반을 나눈 게 아닙니다. 그런 걸 몰라도 수업을 받는 데에는 지장이 없어요”라며 단호하게 대답했다.

이후 한 달간의 연수가 모두 끝나고 최종 시험을 치르는 날, 애매한 문제를 발견한 나는 담임교사에게 문제가 이상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자 담임 선생님은 문제 출제가 잘못된 것이 아니며, 이 문제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가르쳐주고, 내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말해 주고 갔다. 직접적으로 답을 가르쳐 준 것은 아니지만 답을 쓰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였다. 나는 혹시 옆 사람들이 듣지 않았는지 가슴이 두근거렸다. 이 정도면 한국에서는 부정행위가 되고, 주변 사람들의 항의를 받을 수 있지 않은가? 곁눈질을 했지만 아무도 이쪽을 신경조차 쓰지 않았다.

한국에 도착해서도 그때 받은 성적표를 볼 때마다 무언가 석연치 않은 기분이 들었다. 그런데 어느 교육 관련 강연회에서 핀란드 학교 이야기를 듣고는 그때의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다. 핀란드의 학교에서 시험을 치는 도중 학생이 교사에게 가서 질문을 했는데, 교사는 당연한 듯이 문제를 설명해주고 가르쳐주었다고 한다. 한국에서 간 다큐멘터리 제작진이 “시험시간에 왜 설명을 해줍니까?”하고 묻자, 교사는 질문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시험시간이라고 해서 교육을 해서는 안된단 말입니까?”

한국에서와는 확연히 다른 이러한 차이는 시험이 무엇을 위한 것인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내가 배운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에서는, 시험시간이라고 모르는 것을 가르쳐주지 못할 이유가 없다. ‘내가 몇 등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에서는 당연히 불가능하다. 옆 사람에게 가르쳐준 것을 나에게 가르쳐주지 않으면 내 등수가 떨어지고, 원하는 상급 학교에 진학하지 못할 수도 있고, 그러면 사회에 나가서 내 연봉이 달라지니까. 아니 연봉 이전에, 아이는 성적에 대한 엄마의 추궁을 마주해야 한다.

프로이트는 변태의 정의를 이렇게 내렸다. 번식을 위한 성행위에 이르기까지는 직접적인 성행위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요소들이 있는데, 그 주변적인 요소들을 본격적인 행위의 목적으로 삼고 집착하는 것이 변태라고. 잘 빠진 빨간 하이힐은 누구나 섹시하게 생각하지만, 하이힐만 끌어안고 사는 건 변태다. 그런 식으로 보면, 오늘날의 한국 교육은 굉장히 변태적이다. 배운 걸 확인하려는 게 시험의 목적이고, 그것은 더 큰 배움을 위한 수단일 뿐인데, 우리는 시험 치기 위해 공부를 하고 나아가 시험만을 위한 공부를 한다. 예를 들면, 수능 언어영역의 ‘쓰기’ 부분은 실제로 글을 쓰는 행위와는 아무 연관이 없다. ‘쓰기’ 능력을 평가받기 위해 학생들은 글을 직접 써 보는 것이 아니라 글의 구조를 맞추는 문제들만을 지독히 많은 시간을 들여 풀어내야 한다.

서울시 교육감 당선자는 초등학생 때부터 아이들을 경쟁시켜야 한다고 했다. 경쟁의 계기를 제공하고 경쟁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험을 자주 봐야 하고, 명료하고 간편한 사지선다형 시험을 선호하는 우리나라의 교육은 점점 더 ‘변태적으로’ 변해갈 것이다.

얼마전 강남에서 교육 환경 악화를 이유로 임대아파트 건설을 반대했다고 한다. 그렇게 중요하다는 ‘경쟁’을 저소득층 아이들은 해 볼 기회도 얻지 못하고 내쳐진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경쟁이 어떤 것인지, 그 경쟁 안에서 아이들이 어떻게 변해갈지 짐작할 수 있다. 정말이지 내가 이렇게 변태적인 나라에서 살고 있는 줄은 몰랐다.

<이응소|‘학벌없는 사회’ 활동가·대학생>
IP : 211.187.xxx.205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공정x
    '08.8.21 7:46 PM (210.123.xxx.190)

    대지머리 모습 볼려니 정말 짜증나네요. 갈데까지 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교육마저 이렇게 무한경쟁속으로 몰아가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5922 잠시동안 수녀원에 들어가서 지내고 싶습니다. 5 미엘 2008/08/21 992
405921 벤타공기청정기문의 2 아들둘 2008/08/21 265
405920 이젠 쇠고기로 계급을 나누는군여 10 듣보잡 2008/08/21 762
405919 둘 다 맞습니다. 3 맞춤법 2008/08/21 321
405918 1억 2천의 실수령은 얼마이죠? 4 연봉 2008/08/21 1,217
405917 6억 고가관련... 17 vina 2008/08/21 1,441
405916 전화 구독신청 마감임박 1 마감임박 2008/08/21 169
405915 구속될지도 모르겠습니다. 7 아고라펌 2008/08/21 595
405914 애플컴퓨터 어떤가요 9 란2성2 2008/08/21 358
405913 일산에 피부관리실 추천좀 해주세요 ^^ 3 추천좀 2008/08/21 360
405912 아기돌인데.. 4 답답 2008/08/21 298
405911 나는야 하층민? 24 안녕 2008/08/21 4,124
405910 행주 매일 삶는게 말이 쉬운거더라구요.세탁기에 돌리면? 13 dwn 2008/08/21 1,480
405909 아래 6억이 고가인가요 를 읽구요 17 궁금해서요 2008/08/21 1,292
405908 왜 6세되면 유치원으로 옮기지여? 6 유치원 2008/08/21 516
405907 KBS 정연주 사장 해임 관련 긴급토론회 1 생중계 2008/08/21 142
405906 급휴가..1박여행으로 어디가 좋을까요? 2 급해요,. 2008/08/21 446
405905 일본디즈니랜드 관광 문의 3 디즈니 2008/08/21 285
405904 30대 후반, 생얼화장 어때요? 12 이언불쌍 2008/08/21 1,970
405903 밥차려 놓으면 즉각 남편분들 나오시나요?? 52 qkqtkd.. 2008/08/21 3,699
405902 관악푸르지오 어떤가요? 2 이사하기힘들.. 2008/08/21 584
405901 3 미운 시숙 2008/08/21 519
405900 손영기 한의원 가서 진료 받아보신분 이야기 좀 들려주세요 7 궁금이 2008/08/21 997
405899 아이때문에 아이아빠와 따로사는거 어떨까요? 8 따로살기 2008/08/21 869
405898 경향신문 맘에 드세요? 42 답답 2008/08/21 1,196
405897 개포 주공 3단지 사시는 분 어떠세요? 1 개포 2008/08/21 363
405896 연봉이 2800이면 실수령 얼마일까요? 8 이것도 몰라.. 2008/08/21 1,680
405895 조의금을 친구대신 냈줬는데, 돌려 받으려면;; 9 .. 2008/08/21 979
405894 본인이나 배우자가 회계법인이나 법무법인에 근무하시는 분 계시나요? 7 에고 2008/08/21 448
405893 복면착용만 해도 처벌…논란 예상 13 노총각 2008/08/21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