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 시국에..재테크 기본 전략..

... 조회수 : 539
작성일 : 2008-08-19 22:52:09
1. 금융 관계 종사자 (예를 들면 보험 설계사)가 권하는 상품은 무조건 가입하지 않는다.
일단은 !.... 권하는 상품..정말 내 자신을 위해 권하는지...창구 직원이나 종사자를 위해서 권할지만 먼저 생각해보시라...

2. 내가 절실히 필요할때 충분히 알아보고 가입한다.

3. 알아듣기 힘든 설명을 하거나 잘 모르겠다면 절대 가입하지 않는다.

4. 복잡한 구조의 상품은...대부분 은행이나 보험 회사에게 수익이 많이 나는 상품이다.

5. 재테크를 위해서는 먼저...철저히 알아야 할 것은

예금 금리 구조이다. 비과세, 세금 우대의 기본 구조..은행마다..다른 이율...1금융권..2 금융권의 이율 차이를 확실히 알고..

이러한 이율 차이가 만기 때 어떤 차이를 만드는지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천만원 1년 동안 정기 예금을 할때도 만기 때 이자는 수십만원 차이가 날수도 있다.

경험으로 알았습니다.....처음에는 무작정 정기 예금만...한 ..사람으로

예 : 비과세..(생계형이나 2금융권 정기예탁금이나 출자금)...이율 7%인 상품에 천만원을 1년동안 정기 예금 하면 1년 뒤에 이자가 70만원입니다.

그런데 과세. 현재 보통 은행권 단순 정기 예금 이율은 4.5%, 심지어 3.5%도 있습니다...여기에 과세까지 하면 일년후에 이자는 35만원 정도 입니다..4.5% 이율일때 여기에 과세까지 하면 22% 이자 소득세를 떼면...무려 이자가 두배 차이가 납니다.

여기에 소득 공제 상품까지 계산하면..다시 그 차이는 크게 벌어집니다.

6. 소득 공제 상품의 자기 연봉이나 세율과 관련해서 다른 예금보다 유리한지 여부를 확인.
청약 저축이나 장마...등 소득 공제 상품 확인 필수..


7.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예금 금리 구조를 모르면서...

그리고 소득 공제 상품도 모르면서
주식이나 펀드, 변액 연금 등은 절대 하지 마십시요...

단순한 예금도 절대 단순하지 않습니다... 소득 공제..비과세...1금융권..2 금융권..등의 차이를 완전히 알기 전에는

예금 보다 몇배나 복잡한
변액 연금이나...펀드,,주식에 손대는 것은.....기지도 못하면서 날려고 하는 것과 같고

순전히 은행이나 보험 회사 배만 불리는 어리석은 재테크 입니다.


저의 예를 들면....예금 구조, 금리 구조 등 예금에 관련한 기본 상식만 아는 데도

몇년이 걸렸습니다...

은행 직원도 소득 공제 관련 상품에 대해 정확히 모릅니다.

단순한 예금에 대해서도 모르면서 복잡한 상품으로 예금 이상으로 절대로....이익이 생길수가 없습니다.

물론 운이 좋아...더 나은 결과가 올수도 있습니다만...

예금 구조만 하더라도 경험으로 알기에는 몇년이 걸리는데..가장 간단한 예금도...

뿐만 아니라 예금 관련....수많은 변수들....주거래 은행 선택의 문제....각종 혜택...카드와의 관련 등등

예금만 하더라도 엄청나게 복잡합니다...대출 문제도 있고

그러니 개인적으로....예금에 대해서 알기 전에는 절대로

변액 연금이나...펀드니 뭐니 하는 것들에는 아예 관심을 두지 마시기를 권합니다.

다시 한번 몇번이나 강조하는 이유는

몰라서...정말 몰라서....소득 공제나...변액 연금으로 수백만원 이상 2천만원 가량을... 손해를 본 경험입니다..


8. 소득공제, 연말 정산에 대해 철저히 이해한다..
소득 공제도 몰라..수십만원 이상...손해를 보면서....다른 재테크를 하려는 것은 무모합니다.
특히 고소득자라면...연봉 1억이상이라면 인적 공제 1인을 올리고 안올리고에 따라 일년에 35만원에서...인적 공제 대상이
고령에 장애가 있으신 분이라면...150만원까지..환급 받고 못 받는 차이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연말 정산..소득 공제도 확실히 모른다면..다른 재테크 방법을 연구함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9. 재테크에서..예금과 소득 공제 상품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즉 소득 공제 상품은 보통 금리가 다른 예금보다 낮습니다..예로..장마는 보통 금리가 4.5-5.3% 이고...이는 다른 적, 정기예금 보다 1% 이상 낮은 금리입니다.. 이때 연봉이 낮은 사람은 소득 공제를 받아도 다른 정기예금보다 불리할수가 있으니..잘 따져 보아야 합니다.
소득 공제 상품은 연봉이 많은 사람일수록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10. 예금과 소득 공제 다음으로 재테크에서 간단한 구조는..부동산과...주식입니다.
예금과 소득 공제에 대해 철저히 이해하였고 여유 자금이 있다면 다음으로 관심을 가질 분야는

부동산과 주식입니다. 펀드나 변액은 아닙니다...펀드나 변액은..주식과 보험을 한번 더 보험 회사, 증권사를 거치게 만든
더 복잡한 상품입니다.. 그러므로...당연히....주식과 보험 보다 회사에 더 많은 이익을 가져 갈수 있는 구조로
만들기 쉬운 상품입니다.

주식을 하고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주식을 이해하고 부동산을 이해 한 다음에야

펀드나..변액에 대해 아는게 순서 입니다.

11. 부동산도 그냥 부동산이 있고..경매도 있습니다. 땅도 있고 아파트도 있고...

이런 모든 상황을 알고...주식에 대해 충분히 알고 경험이 있다면

펀드나...변액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변액이나 펀드도 분명 장점은 있으므로....

12. 더 복잡한 상품도 있습니다..선물이라든지...등등....이러한 고난도의 복잡한 상품은..

다른 보다 단순한 상품을 알고 난뒤에 관심을 가지는게 순서입니다.



IP : 219.255.xxx.82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cma
    '08.8.20 12:14 AM (125.178.xxx.31)

    어제 모네타 사이트 이리저리 둘러보다가
    투신사에서 mmf형 cma들었네요.
    수시입출금 상품이라..좋았고 이자도 5.36이상이라 하더군요.
    단지 한투는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아서 걱정인데..

    그리고 3개월 단기 투자 상품중 7프로가 있어서 예약했는데
    신용등급이 a3
    해도 괜찮은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5339 이런 경우 세입자에게 이사비를 줘야 할까요? 5 집주인 2008/08/19 554
405338 조선건국준비위원회 [朝鮮建國準備委員會] 1 퍼왔습니다 2008/08/19 159
405337 치매초기 1 도와주고싶어.. 2008/08/19 496
405336 원룸인데 윗층 발소리가 심해서요. 어떻게 말하면... 3 소심女 2008/08/19 647
405335 도시에서도 태양광 설치할수 있다고 하는데... 5 가립 2008/08/19 328
405334 부산대 경영대학원 2 궁금해요 2008/08/19 422
405333 긴급속보] 딴나라 심재철이가 저를 명훼훼손으로 고발했네요 ..펌>> 11 홍이 2008/08/19 701
405332 자전거 크기별로 다 필요한가요? 2 자전거 2008/08/19 249
405331 무배당**보험이라는 게..만기시 환급액이 없는 보험인가요? 4 보험 2008/08/19 388
405330 역사공부를 해야겠네여.. 5 듣보잡 2008/08/19 267
405329 여운형의 '건국준비위원회'는 어떻게 봐야 하나요? 3 시민 2008/08/19 202
405328 민언련에서 만든 조중동의 진실과 거짓 6 흐.. 2008/08/19 214
405327 유산한 동서병문안.. 8 아기 2008/08/19 1,138
405326 1박2일 자연캠프가는데요... 2 문의 2008/08/19 194
405325 아침마다 유치원안가겠다고 우는 아이들... 6 둥이맘 2008/08/19 469
405324 엄마 이번 추석에 안가요. 16 못된 딸 2008/08/19 2,508
405323 남편생일선물 9 불량마누라 2008/08/19 810
405322 혼자서 여행하기 좋은곳 추천해주세요~ 6 한줌 2008/08/19 743
405321 7개월 아기 잘 웃질 않아요 10 걱정맘 2008/08/19 1,154
405320 외국계기업 재무담당자님들~ 내수경기 활성화 시키는데 한 몫합시다~~^^ 1 재무팀장 2008/08/19 194
405319 둘째 백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3 둘째 맘 2008/08/19 250
405318 전세집 도배는 누가 하나요? 14 az 2008/08/19 1,667
405317 말일 울렁증 6 돈벼락 2008/08/19 594
405316 재산분배...오히려 아들이 차별받는 경우도 많아요.. 10 며느리 2008/08/19 1,322
405315 이칼럼읽고 울었습니다..수경스님의 힘없는 국민에대한 연민이 느껴지네요.. 3 대한민국사랑.. 2008/08/19 438
405314 스페셜K 어디 파나요? 4 다욧 2008/08/19 333
405313 오전알바 뭐 엄쓸까요? 1 알바 2008/08/19 367
405312 버리는신발.. 7 궁금이 2008/08/19 1,135
405311 유통기한 지난 식용유 어떻게 처리 해야할까요? 21 식용유 2008/08/19 1,968
405310 위기에 처한 민족의 뿌리 불교위기에 처한 민족의 뿌리 불교(이글은 종교상관없이 대한민국국민.. 3 대한민국사랑.. 2008/08/19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