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남편에게 극존칭이..

존칭 조회수 : 2,224
작성일 : 2008-08-14 14:37:53
흠...
저는 남편과 한살 차이, 제가 어리죠.
하지만 보통땐 반말하다가 앞에 어른들 계시면 '요'를 첨가하는데
그럴땐 우리 남편도 저한테 "요"자를 붙여서 말해요.

어떤 분들은 남편분에게 당연히 존대를 하시더라고요.
뭐.. 존대가 나쁘다는게 아니라

"뭐 해드려요?"
"뭐 드시고 싶으세요?"라고 하는건 좀 그래보여서요.

부모님께나 쓰는 말인거 같은데
남편에게 쓰고 거기다 남편분은 당연히 반말..


제가 나이차가 안나서 그러시는 분들이  어색한걸까요?

사실 제 친구는 지 남편과 동갑인데도
오빠라고 부르면서 높여요.
저하고 있을땐 호칭이 아주 낮아지지만 ㅋㅋ
IP : 121.97.xxx.108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별로
    '08.8.14 2:43 PM (124.50.xxx.169)

    시어머니가 시아버지에게 그런 식으로 말합니다.
    자기 남편을 극존칭으로 부르고 말하는 거, 사실 좀 무식해 보입니다.
    다행히 남편은 저한테 그걸 요구하진 않는데
    나긋나긋하게 말하지 않고 짜증내거나 툴툴대면 엄청 싫어하고 화냅니다.
    알게 모르게 부모에게 영향받는 듯,,

  • 2. 동등
    '08.8.14 2:46 PM (211.35.xxx.146)

    정말 너무 떠받들듯이 하는 것도 보기 않좋을때 있어요. 상전도 아닌데...

  • 3. 에헤라디어
    '08.8.14 2:46 PM (117.123.xxx.97)

    제가 남편에게 "뭐 드시고 싶으세요?"가 일상적인 아내입니다.
    선봐서 순식간에 결혼하느라 말 놓을 새가 없었습니다.
    남들은 제가 말 높이면 한번쯤 돌아보는데 저는 일종의 애정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는 자제하지만.. 둘만 있으면 더 심한 표현도 서슴없이 씁니다. 아침이면 "그만 기침하세요."라는 고전적인 표현도 쓰지요.

    대신 어른들 앞에서는 높이는 정도를 조절합니다. 남편보다 어른들이 더 높은 경우 남편을 높이지 않으려고 주의하지요.

  • 4. ...
    '08.8.14 2:49 PM (203.142.xxx.241)

    에헤라디어님이 맞아요.

    어른들이랑 있을 때 예의 차린다고 신랑에게 존댓말 쓰다가
    오히려 실수 해서 그 어른들보다 신랑을 높혀 지적거리가 될 수 있어요.

    조심해야해요.

  • 5. ..
    '08.8.14 2:59 PM (125.208.xxx.160)

    여자연예인들 결혼할 때 인터뷰하는거 보면 그렇잖아요.
    "그 분이 그러셨어요" "그 분은 그러십니다" 뭐 이런스타일?? ㅎㅎ

    그런거보면 엄청 웃겨요 ㅋ

    저요??
    저희는 서로 존댓말 써요. 덕분에 큰소리 낼 일도 없는듯해요.

  • 6.
    '08.8.14 3:00 PM (61.66.xxx.98)

    부부가 둘 다 서로에게 존칭하면 보기 좋고요.
    왠지 교양있어 보여요.^^

    하지만
    아내는 존대말을 하는데 남편은 반말하면 그건 또 그렇게 보기 싫더군요.
    드라마에서도 그런 상황이 나오면 정말 한대 쥐어박고 싶어요.

    다만 어른들과 있을때는 윗님들 말씀처럼 어른보다 신랑을 높이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죠.

  • 7. 글쎄요
    '08.8.14 3:01 PM (121.129.xxx.201)

    부부는 대등한 관계아닌가요? 서로 약간의 존대어를 쓰면 좋겠지만
    한쪽만 극존대를 하면 그 관계가 무언가요?

    마음을 드러내는게 말이라, 한쪽만 존대어를 쓰면 자연스럽게 상하관계가 될것같은데요..

  • 8. 윗님
    '08.8.14 3:05 PM (218.209.xxx.93)

    윗님의견에 동의합니다.
    부부는 주종관계가 아니죠 평등관계에 한쪽에서의 지나친 존칭어 보기 안좋더라구요
    전 부부간에 존대도 그닥좋아하는스탈은아닙니다. 교양있고 서로 존중해보이는건사실이나
    약간 거리감이 느껴진다고나 할가.
    남자분이 다정하게 말하는그런 말투가 젤좋아요 ㅎㅎ
    저번에 시장갔는데 어느집남편인지 자기 이거 살가? 이건어때 ? 계속살갑게 말을하고 부인도 당신이 고른게 참좋네 이러면서 웃으며 말하는데 너~~~무 보기좋더라구요.

  • 9. ..
    '08.8.14 3:18 PM (116.122.xxx.100)

    저흰 두살 차이고요
    "뭐 해드려요?"
    "뭐 드시고 싶으세요?"소리 합니다.
    그게 왜 그래보여야 하지요?
    내가 내 남편 높여부르는게 뭐 어때요?
    상감마마라 하든 똥개야 하든 둘이서야 뭔소리 못합니까?
    저는 심지어 "식사하세요" 도 안해요 "진지드세요" 지요.
    물론 시어머니를 비롯 남 앞에서는 그렇게 안해요.
    남편도 급할때 말고는 반말로 안합니다.
    그게 우리식 애정표현이에요.
    남의집 부부간의 말투에 신경 쓰는게 전 더 이상하구만요.

  • 10. 요는.
    '08.8.14 3:21 PM (218.209.xxx.93)

    요점은 둘이있을때 뭔얘길하던말던 상관없으나 다른사람들있을때 극존칭은 이상하다 이게 요점인듯싶은데요
    윗님~

  • 11. ...
    '08.8.14 3:21 PM (211.55.xxx.130)

    저는 전님과 글쎄요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부부는 대등한 관계이기 때문에 한쪽만 존대를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해요.
    윗어른 앞에서 배우자를 높이는 것도 상스럽게 보이고요.

  • 12. ...
    '08.8.14 3:22 PM (211.193.xxx.148)

    시어머니께서 남편을 극존칭으로 부른다고 무식하다시는분도 계시군요
    저는 생각이좀 다릅니다
    이웃에 연세드신어른내외분이 계신데 할머니께서 할아버지께 극존칭을 씁니다
    퇴직후에 기력도 딸리고 매사 의욕도 없이 생활하시는 할아버지께 할머니는 어디서나 예의바른 말투시라 이웃에서도 그 두분께 함부로 말 못합니다
    할머니말씀이 사회에서 소외된 노인인데 아내라도 존경해주고 떠받들어주지않으면 어디가서 대접받겠냐구요
    할아버지께서도 할머니께 꼬박꼬박 존댓말 쓰십니다

    저희부부도 동갑내기지만 서로 존댓말 씁니다
    중매로 만난것도 아니고 학교 동창생입니다
    서로 이름부르다가 아이낳고부터 존댓말 쓰는데 지금은 자연스럽고 편안합니다

  • 13. 저도
    '08.8.14 3:22 PM (222.108.xxx.69)

    한쪽에서만 존댓말 하는건 그다지 좋아보이진 않아요.
    전에 친구중에 남자친구한테 (물론 연상) 진짜 존대했어요..둘이있을때도 물론했지만
    사람들있으면 (특히남자친구의 친구들) 더 높였죠. 자기남자친구가 여자친구한테
    이정도 대우받는다 알리고 싶었따나? ..
    근데 서로 그리 한다면 모를까..남자는 여자한테 반말하고.물론 반말할수있지만
    전 끝에 ~냐?! 로 말하는거 진짜 싫어하는사람이라서 저있는데서 제친구한테 ~냐?라고
    하던데 정말 황당했습니다.
    전 둘다 반말해요.. 첨부터 존칭썼으면 좋았을껄이라는 생각도해봤는데 다정다감하게
    이야기 하고 더가까운것 같아요
    대신에 안좋은건 싸울때지요.

  • 14. 그게요...
    '08.8.14 3:23 PM (211.106.xxx.158)

    딱두분이 있을떄야 똥개라고 하던 욕을하벼 대화하든
    극극존칭을 써도 무방하겠지만..

    남의 말투에 신경쓴다는건 누군가가 같이 있고 들었다는거잖아요...
    어른이 같이일때도 있고...
    그걸 다들 말하는거지요...
    예법에 맞는건 아니지요...

    친정엄마는 아주 상것이라고 질겁을 합니다..
    대놓고 말은 안하지만 속으로...우리더러도 절대 조심시키시구요...

  • 15. 저두..
    '08.8.14 3:49 PM (218.237.xxx.231)

    집안에서도 그렇지만

    문밖에 나가면 극존칭은 아니지만 준존댓말(?)을 써요...

    서로 반말을 안쓰려구 신경쓰는 편이에요..

    남편도 제게 그렇게 하구요...

    밥먹어.. 보다는 밥먹어요.. 이렇게...

    치워줘.. 보다는 치워줘요.. 이런식으로...

    그렇다고 식사하세요.. 밥드세요... 치워주세요.. ㅋㅋ 이런건 너무...

    다른사람앞에서 피차에 ~~어.. ~~래.. 이것보다 조금 부드러운거 같은데...

    다들 보기좋다구 하던데요...

  • 16. ...
    '08.8.14 4:05 PM (116.122.xxx.215)

    서로 어느 정도 존대를 하면 부부사이 참 부러워보이는데, 남편은 반말하고 아내는 극존칭하면 정말 안 좋아보여요.
    제가 보는거니 밖에서 그러는 부부를 보는거죠. 아직도 주종관계가 저렇게 서는건가.. 의아할때가 있어요.
    물론 저도 가장 대접으로 출퇴근 인사도 해주고, 식사는 꼭 먼저 챙겨주고, 나중에 아이들에게도 가장의 권위를 높여줄 생각이지만.. 외부에서 극존칭을 쓰는 아내들을 보면 좀 의아하고 안타까운게 사실이에요.

  • 17. 저는
    '08.8.14 4:06 PM (121.146.xxx.167)

    여섯살이나 많은 남편한테 첨에는 말을 높인것 같은데 24년 지난 지금은 오히려 수줍어서 말을 높이질 못하고, 내가 지금 말을 놓는건지 높이는건지 기억이 가물 가물 합니다. 우짜다가 이렇게 됐는지 ㅎㅎㅎ

  • 18. 저는
    '08.8.14 5:03 PM (218.148.xxx.181)

    아이가 없을 때는 서로 반말을 써도 상관없지만
    아이들이 커서 말을 배우게 될때는 약간의 존칭을 부부가 서로 써 주면
    아이들에게 좋을 것 같아요
    아이들 있을때 자기,, 이것 좀 해줘 밥 먹어 보다 ,해주세요 먹어요가 더 좋은 것 같아요
    말이 예뻐지면 행동도 이뻐 지는것 같아서요
    남편이 그래서 서로 존대말 쓰자고 무지하게 노력 했는데
    남편은... 그래요... 저래요,,,,하면 저는 그래 알았어 밥먹었어 계속 반말
    존대로 말하는게 어색하더라구요
    결국 실패해 50이 넘은 지금도 자기 어쩌구저쩌구하며 완전반말입니다
    남편도 반말이구요 밖에서는 어느정도 존대로 말하구요

  • 19. 야옹
    '08.8.14 5:11 PM (124.51.xxx.8)

    저도 2살차이인데 존댓말써요.. 근데 반말에 ~요만 붙인듯한? 보통 '뭐 먹을래요?' 이정도..
    연애때부터 버릇이라 그냥 이렇게 쓰는데.. 남자들은 친구들앞에서나 부인이 존대해주면 괜히 우쭐 하데요.. 귀여워서 그냥 계속 해줘요 ㅋㅋ

  • 20. 부럽
    '08.8.14 5:28 PM (203.247.xxx.172)

    서로 존대하시는 분들 존경합니다!!~

  • 21. 엥?
    '08.8.14 8:55 PM (61.99.xxx.139)

    서로 존대하고 , 예의를 갖추는것은 이해하나
    동갑인데도 오빠라고 부르는건 솔직히 이해안감..-.,-

  • 22. 서로
    '08.8.15 12:25 AM (121.183.xxx.115)

    존대는 좋은생각 좋은 습관입니다...그리고 싸울때도 좀 덜하게 되는거 같구요..남편하고 서고 존칭쓰진 않고 예전 남친하고 했는데 전 무척 좋앗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나 남편이란 인간은 밥먹어!!라고 했다고 x지랄을 하던데요...미쳐가는건 아닌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4094 히트레시피의 간편장아찌 담그고 바로 먹는건가요? 1 c 2008/08/14 291
404093 교육계에 뿌리 내린 '자작 민영휘' 후손 12 이럴수도 있.. 2008/08/14 568
404092 혓바늘이,, 3 .. 2008/08/14 294
404091 성당-냉담중인데..냉담풀고 교적 옮기려면? 7 세세 2008/08/14 1,138
404090 우리딸 중학생인데 인사하는거 싫어하는데 어떻게 해야하죠? 11 중학생맘 2008/08/14 644
404089 5세 아이와 함께 서울여행~ (도와주세여^^) 6 서울여행^^.. 2008/08/14 393
404088 코스트코 상품권 1만원짜리 구입할 수 있는곳이 어딘지요? 그리고, 그릇-노리다케디너셋 택배.. 4 2008/08/14 641
404087 불교계 OUT연등 설치. 6 기사 2008/08/14 372
404086 '광복절'과 '건국절', 왜 싸우는 거야 3 건국절아냐 .. 2008/08/14 455
404085 14일(木) 향이 겨레 광고리스트 - 건국절??? 1 사루비아 2008/08/14 169
404084 김재윤과 병원사이 3억원 오갔다 진술확보 6 .. 2008/08/14 417
404083 기륭전자 교섭 속보, 오늘 10시부터 교섭중 9 실사구시 2008/08/14 236
404082 칭찬전화 후기 6 촛불 100.. 2008/08/14 378
404081 모유 수유 때문에 걱정 됩니다. 꼭 해야 하나요? 43 몸이 재산 2008/08/14 1,571
404080 옷에뭍은 기름제거 1 세탁 2008/08/14 290
404079 뻗어나가는 번호가 더 좋은가요? 5 번호 2008/08/14 568
404078 뇌전문병원요 꼭 부탁드립니다 4 병원 2008/08/14 753
404077 집을 팔았는데 잔금 받기전에 열쇠 넘겨줘도 되나요? 12 집팔때 2008/08/14 939
404076 27살,,, 연애 한 번도 안해봤고 독신으로 살거라면 한심해보이나요? 26 마음 2008/08/14 2,573
404075 광우병때문에 임신도 못한 여성 1 굳세어라 2008/08/14 284
404074 아메리카 인디언의 도덕률 6 ㅠ.ㅠ 2008/08/14 366
404073 부정부패 고발자 누구냐~ 돈뿌린 의장의 적반하장 6 까칠마녀 2008/08/14 155
404072 괜히 글 쓴것 같네요 22 건국60년 2008/08/14 815
404071 장수풍뎅이 죽은걸까요? 10 풍돌이 뎅순.. 2008/08/14 3,258
404070 예.적금가입이 은행직원들 실적에반영되나요? 4 ^^ 2008/08/14 1,962
404069 혹시 사립학교 법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5 ... 2008/08/14 212
404068 내일 서울에 갑니다. 어디서 언제 만날까요? 8 에헤라디어 2008/08/14 405
404067 한자(고사성어)는 어떤방식으로 습득했나요? 2 초등 1학년.. 2008/08/14 357
404066 고주파시술에 대해 2 고주파 2008/08/14 409
404065 나는 어떤 엄마일까.. 어제 있었던 일 9 어떤 엄마일.. 2008/08/14 1,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