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저는 한방치료가 의미있다고 봐요

양방? 한방? 조회수 : 566
작성일 : 2008-08-08 09:58:50
밑에 여울마루 님 글 보고 그냥 한마디 적고 싶어서요..
물론 급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기혈이 어쩌구 저쩌구하는 한방식 치료는 안맞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한방치료가 모두 의미가 없다거나 의학적 근거가 부족한건 아니라고 봐요.

제 아이, 생후 6~7개월때부터 어찌나 밤에 깊은 잠을 안자고 수십번도 더 깨서 징징 울어대는지..
제가 아주 미칠 지경이었어요.
소아과 가서 여쭤봐도 "좀 크면 나아진다" "애들은 원래 깊은 잠을 자기 어렵다" 이런 식의 무성의한 대답뿐이었구요. 종합병원 소아과 선생님도 마찬가지 대답이셨구요.
아이가 그러니, 저도 잠이 모자라서 나중에는 이명까지 들릴 정도로 극심한 피로에 시달렸죠.

근데 한의원(유명한 소아전문한의원) 가서 고쳤어요. 그런걸 한방에서는 야제증이라고 한다더군요.
제 아이는 속열이 잘 뭉치는 체질인데, 몸에 열이 뭉쳐있으면 얕은 수면에서 깊은 수면으로 들어가기 어렵고 자꾸 깬데요. 열 풀어주는 한약 먹이니 푹 자더군요.
그런데 이 속열이라는게, 조금만 방심하면 또 잘 뭉쳐요. 단 음식이나 인스턴트 같은 거 많이 먹이면요.
그래서 요즘도 일년에 2~3번은 한약을 먹입니다.
그리고 기운이 서늘한 음식(푸른 야채)을 많이 먹이라해서 상추나 시금치 오이같은 야채를 많이 먹이도록 무지하게 노력을 하고 있구요.

저는요. 한의원 안갔다면...얼마나 삶이 피폐했을지...상상만해도 끔찍해요.
한밤중에 깨서 우는 애를 제가 발로 걷어 찬 적도 있을 정도니까요.

한의원의 경우 정말 용하신 한의사를 만나야한다는 전제가 있기는 하지만,(제 아이 주치의는 같은 한의사 사이에서도 존경받는 분이셨어요. 나중에 알고보니...진맥 잡는것도 한의사들이 배우러 오고요. 진맥 제대로 보는 한의사가 몇 없다면서요) 한방 치료 자체가 사기는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IP : 218.152.xxx.8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그라미
    '08.8.8 10:05 AM (58.121.xxx.168)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듯,

    약 정말 싫어하는데,
    어디가 어떻게 아프냐에 따라
    병원도 가고,
    한의원도 가고ㅡ,

    빨리 나을 수 있는 방법을 택하죠.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고 봐요.

  • 2. jk
    '08.8.8 10:07 AM (58.79.xxx.67)

    [제 아이는 속열이 잘 뭉치는 체질인데, 몸에 열이 뭉쳐있으면 얕은 수면에서 깊은 수면으로 들어가기 어렵고 자꾸 깬데요. 열 풀어주는 한약 먹이니 푹 자더군요.]

    저 열풀어주는 약의 이름과 구성성분 그리고 그것이 왜 작용을 하는지
    그걸 구체적으로 말해주는게 과학입니다.

    한약은 그게 없어요.

    그리고 진맥 제대로 보는 한의사가 몇 없다는 말을 하다니.. 더 한의사들을 못믿겠군요.

  • 3. ..
    '08.8.8 10:09 AM (220.122.xxx.155)

    저는 한약은 별로 믿지 않는 사람입니다. 병약에 관해서는요. 체질에 따라서 잘 지어야 하는데 그체질을 얼마나 잘 분별을 할 수 있을런지?
    근데 침술에 대해서는 정말 극찬을 아끼지 않습니다. 제가 효과보았기 때문입니다.
    아이기르느라 손가락에 인대가 자주 붓는 편입니다. 양약보다는 침한대 맞는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붓기를 다스리는 침의 원리는 놀라웠습니다. 물론 잘 치료하시는 분에 한해서입니다.
    실력들이 다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용한 한의사도 있나 봅니다.

  • 4. 조용한 아침
    '08.8.8 10:11 AM (211.38.xxx.205)

    네. 저도 한의학이 오랜 경험과 과학의 학문이라고 믿습니다.
    단지...짧게 올리신 글을 보고...진단을 하신 한의사분은
    조금 경솔하셨다고 봅니다.
    또하나 항생제에 관한 글에서는 여울마루님과 의견을 같이 합니다.

    하나의 예를 들죠.
    제 30개월 된 딸아인 갓난아이적에 아토피를 심하게 앓았어요.
    한의사는 거의 모든 음식에 대한 금지를 말하며
    스테로이드 연고를 금지했죠.

    양의인 제 아주버님의 견해는 또 달랐구요.

    결론은?
    아이의 피부가 심하게 손상되었을 경우
    저는 스테로이드 연고를 집중적으로 써 주었습니다.
    일단 가라 않으면 장기간 사용을 중지하며
    유기농녹차목욕, 유기농식품섭취, 환경개선...한약처방을 따랐죠.
    그렇게 우리아긴 아토피를 이겨냈어요.
    항생제의 경우..남용과 꼭 써줘야 할 경우마저도 놓치는 것은
    구별해야 한다고 봅니다.
    겨우 몇줄의 글에 항생제 사용을 해서는 안된다는 한의의 견해는
    그래서 옳지 않았다고 봅니다.

  • 5. ...
    '08.8.8 11:38 AM (221.140.xxx.173)

    JK님이 말하는 건 서양의 의미의 과학이죠...
    우리나라 것이 서양식 기준에 안 맞았다고 과학이 아니고 의학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죠...
    이건 19세기 서양 제국주의자들이 자신의 기존 견해에 안 맞으면 무조건 미신이라고 몰아붙인 예와 뭐가 다를까요?

    그들의 기준에 맞지 않을지라도 한약으로 효과보는 사람들이 충분히 많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그저 운이 좋았다고 생각해야 하나요???

    그리고 어떤 약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 한의사들 알고 있습니다.
    양방에서 원하는 서양 기준에 맞춘 논문들도 많이 나오고 있구요.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양방과 한방이 모두 의미가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많이 양방의사들은 한방을 사기처럼 몰아세우지요... 잘 알지도 못하면서...

    저는 그들의 오만함이 개신교와 닮아 있어서 참 싫더라구요...
    모를 때는 겸손하게가 의사에게는 적용 안 되는 문구인가요?

    양방은 매뉴얼대로 진행됩니다.
    어떤 증상에는 어떤 약 그래서 어느 의사에게 가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즉, 양방 의사들간에 실력차란 별로 없다는 얘기지요.

    하지만, 한방은 병과 환자를 바라보는 데에 아주 다양한 시각이 존재합니다.
    그에 따라 쓰는 약도 쓰는 치료법도 달라지지요.

    다양하다 보니 시행착오도 있을 겁니다.
    그러다 보니 용하다는 개념이 한방에서 더 통용되는 것도 사실이구요.

    하지만, 그 다양함 때문에 한의학이 서양의 눈에서 봤을 때 과학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나요?

  • 6. 888
    '08.8.8 11:41 AM (218.238.xxx.187)

    양방은 뭐든 수치화시켜서 판단하는거라 생각되요
    수치는 정상인데 나는 괴로워 죽겠을 경우 한방에서 치료해 주더군요
    양방의사는 한방의를 무슨 사기꾼 취급하고
    한방의사중에도 양방 의사는 이런거 절대 못고칩니다 신경안정제나 주겠죠 이렇게 말하는거 많이 들었어요 서로 협력해서 환자를 고치는게 목표 아닐까요

  • 7. 저도
    '08.8.8 11:43 AM (211.178.xxx.135)

    조용한 아침 의견과 케이스가 동일합니다. 제 경우는 남편이 아토피인데요
    고삼때 어머니가 한약을 먹였는데 그게 완전 악화되어서 입시도 못치룰뻔했답니다.
    그런데 명현이라고 참으라고만 하더래요. 약도 쓰지말구.
    너무 끔찍한 기억이라 한약은 입도 안대고 싶다고 하네요.
    그리고 결혼하고 나서 재발되어서 시골에 요양까지 갈정도로 너무 심해졌었는데
    그때 어쩔수없이 스테로이드 처방을 받았습니다. (먹고는 살아야 하겠기에...)
    그리고 피검사를 했는데 알러지 반응이 정말 충격적이었어요.
    쑥하고 흰살 생선이 나오더이다. 저희는 쑥이 좋다길래 심지어 팩까지하고
    생선도 등푸른게 안좋대서 흰살만 먹었었는데 그렇더군요.
    스테로이드 쓰고 점점 줄여서 지금은 그냥 저냥 약 안쓰고 버틸만 합니다.
    (너무 어릴때부터 앓아서 부작용은 있습니다. 피부색 침착같은...)

  • 8. ..
    '08.8.8 11:52 AM (61.98.xxx.184)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양방에서 보조적 역활은 한방에서 하고 싶어요 저도 침의 치료효과는 인정합니다.

  • 9. 저도 침
    '08.8.8 12:52 PM (210.4.xxx.154)

    효과 본 사람이거든요
    넘어져서 발이 심하게 붓고 완전 벌겋게 멍들고 걷지도 못하는 상태인데
    종합병원 외과 갔더니 엑스레이 찍어보고 뼈에 이상없으니까 괜찮답니다
    의사가 해주는 얘기는 "진통제 처방해줄까요?" 이 한마디..-_-
    눈으로 보기에도 발이 정상이 아닌데 처방이라곤 어떻게 진통제 밖에 없나요..

    시간이 지나서 멍은 가라앉았지만 몇 달이 지나도 30분 이상 걷기가 힘들었습니다.
    다쳤던 발이 너무 아파오더라구요
    한의원에 가서 침 며칠 맞았습니다.
    거짓말처럼 괜찮더군요
    침 몇 번으로 걷는 게 그렇게 편해지다니 새 세상이 열린 기분이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2750 어제 불만제로 보셨어요? 6 에어컨 2008/08/08 3,828
222749 남편 용돈(조언부탁드려요) 9 얼마? 2008/08/08 685
222748 아이 인라인이요..급해요.. 5 아이엄마 2008/08/08 407
222747 2,4살 조카선물 뭐가 좋을까요? 2 외국사는 고.. 2008/08/08 479
222746 웬만하면. 같은의료인으로서..말안하고싶지만. 91 여울마루 2008/08/08 6,952
222745 늙은 대공계 형사의 추억(펌) 13 조용한 아침.. 2008/08/08 461
222744 과일잼 만드는 방법 모두 같나요? 2 2008/08/08 278
222743 역시..의견은 다양-마트에서 계산전에 먹기. 72 여울마루 2008/08/08 1,781
222742 폴로 보이즈 옷 사쥬요... 3 궁금~ 2008/08/08 228
222741 이 아침에 실성한 듯이 웃었어요. 쥐박이 입모양 대박이에요. 3 카후나 2008/08/08 783
222740 노무현대통령을 존경하는 이유. 12 여울마루 2008/08/08 892
222739 물문제 심각하네요 1 아침부터 걱.. 2008/08/08 328
222738 ◆MB의 언론장악 집착■ 조중동 킬러가 해결한다. 3 chamso.. 2008/08/08 331
222737 오늘을 정리하며...(수정 9시 20분까지 여의도로 갑니다) 13 deligh.. 2008/08/08 483
222736 KBS 앞 촛불문화제 연행자 명단과 현장사진 1 황달큰 2008/08/08 364
222735 소설책이요... 엄마들이 잘 읽는 거 10 책 추천 2008/08/08 1,170
222734 36개월 자위하는 아이 고민올리셨던 어머님 보세요 4 시골댁 2008/08/08 1,328
222733 사람마다 촛불을 드는 방법이 다를 수도... 5 까칠마녀 2008/08/08 367
222732 레몬 다이어트 준비물 코스트코 가면 있을까요? 혹시 효과 보신분은...? 4 d 2008/08/08 818
222731 마트에서 계산전 과자 먹이는거 54 궁금 2008/08/08 1,798
222730 유아자위 noctur.. 2008/08/08 612
222729 이제사 글올립니다. 5 시골아낙 2008/08/08 553
222728 당장 초등6,3 데리고 당일로 갔다올 때... 4 아꼬 2008/08/08 433
222727 여러분 힘내세요! 저는 오늘 희망을 봤습니다. 12 붕정만리 2008/08/08 741
222726 Frankfurt 사시는 분 1 도와주세요 2008/08/08 321
222725 구본홍 도시락 까먹으며 게긴다는 기사밑에..ㅋㅋㅋㅋ 15 웃끼당 2008/08/08 1,181
222724 8일 오전 9시 KBS 이사회 중단촉구 긴급 기자회견 5 신데렐라 2008/08/08 280
222723 촛불들에게 부탁 드립니다 6 민심은천심 2008/08/08 469
222722 감히 말합니다 9 은혜강산다요.. 2008/08/08 526
222721 중국벌레(주홍날개꽃매미)가 요즘 너무 많이 보여요 17 서울임다 2008/08/08 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