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분당 대형아파트 집값 뚝뚝 떨어진다

정말인가요? 조회수 : 2,018
작성일 : 2008-07-24 13:37:13
분당 대형 집값 '뚝뚝' 떨어진다

- 올초 대비 최대 20% 이상 아파트값 하락

- 대형아파트, 분당 전체의 30% 이상 비중.."하락세 주도"

- 리모델링 이외에는 하락세 멈출 호재도 없어..연말까지 추세 지속

연초 대비 3억원 가까이 하락한 아파트가 등장하는 등 분당신도시 집값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중소형아파트는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형아파트는 맥을 못추는 상황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당신도시의 아파트값 하락세는 대형아파트들이 이끌고 있다. 분당신도시에서 올초 대비 하락폭이 가장 큰 100곳 중 78곳이 120㎡ 이상의 중대형 아파트들이다. 이들 아파트는 올해 1월 대비 평균 10% 이상 가격이 떨어진 상황이다.

금곡동 아데나렉스 218㎡(66평)의 매매가는 7월 현재 10억원 안팎이다. 올 초(12억8500만원)와 비교하면 3억원 이상 떨어진 셈이다. 161㎡(49평)도 최근 7억2000만원까지 급매물이 나와 올 초와 비교했을때 2억8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정자동 파크뷰 178㎡(54평)도 연초대비 3억원 떨어진 16억원선에서 매매가가 형성돼 있으며 분당동 샛별우방 125㎡(38평)도 1억750만원(현재 8억4000만원)이나 떨어졌다.

반면 66㎡ 안팎의 소형아파트들의 경우 오름세를 보이는 곳도 있다. 수내동 양지한양 49㎡(14평)의 매매가는 1억9000만원 안팎으로 올초 1억3000만원에 비해 6000만원(24.5%) 상승했다. 금곡동 청솔주공9단지 역시 올초에 비해 3000만원 가량 올랐다.

◇분당신도시 하락...왜?= 올해 용인, 광주, 화성 등 경기 남부권에 공급되는 아파트 분양 물량은 총 3만여가구(기분양물량 포함)가 넘는다. 특히 인근 용인, 판교신도시 등과 비교가 되면서 수요자들이 노후도가 심한 분당신도시 아파트를 외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간 상승폭이 컸다는 점도 짐이 되고 있다.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실종되면서 매수세가 사라져 '거래부진→가격하락'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또 분당신도시는 공시가격이 6억원을 넘는 고가아파트가 대부분이어서 아파트를 사고 싶어도 대출규제 등에 걸려 자금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도 가격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자금 마련이 쉽지 않은 중대형아파트들의 하락폭이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분당신도시는 9만5000여가구 중 30%이상이 중대형아파트로 구성돼 평촌, 산본 등 다른 1기 신도시에 비해서도 가격 하락이 심하다.

분당신도시의 133㎡이상의 대형아파트 수는 9만5974가구 중 3만1474가구로 전체의 33%. 산본과 평촌의 경우 대형아파트 비율은 각각 11.9%와 10.4%이다.

◇하락세 언제까지?=

당분간 분당신도시 아파트값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형아파트는 하락세를 진정시킬만한 뚜렷한 호재도 없어 조정폭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분당과 비슷한 이유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서울 강남권은 그나마 '재건축' 이라는 호재라도 남아 있지만 분당신도시의 경우 그나마도 없다. 리모델링 사업 하나에만 기대를 걸어야 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소형아파트들의 경우 리모델링 호재로 인한 가격 상승은 작년 말과 올 상반기를 거쳐 대부분 반영된 상태며 대형아파트들의 경우에는 리모델링으로 인한 이익이 크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금곡동 인근의 동양공인관계자는 "이미 매수세가 끊긴 지 오래"라며 "이렇다할 호재가 없는 분당신도시의 경우 하락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명성공인 관계자도 "규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최근에는 경기침체 여파까지 분당 부동산 시장을 얼어붙게 하고 있다"며 "적어도 올해 말까지는 이런 추세가 계속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이데일리 - 1등 경제정보 멀티미디어 http://www.edaily.co.kr>
<안방에서 만나는 가장 빠른 경제뉴스ㆍ돈이 되는 재테크정보 - 이데일리TV >

IP : 99.246.xxx.2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나가다]
    '08.7.24 2:01 PM (211.111.xxx.114)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의하면 대형평수가 인기 없어지는 것이 맞아요. 우리문화가 핵가족화가 되기에 대형평수가 적합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디까지가 대형평수인지 모르지만) 50평대 이상을 부부와 어린 아이 둘이 달랑 살기는 무리지 않습니까..

    이런 이야기는 예전 미국에 있을 때, 귀국 주재원들에게 부동산 교육시킬 때, 장기적으로 강남의 대형 평수는 수요가 약하기에 피하라는 내용으로 했다는 것을 주워들었습니다..

  • 2. 이 기사를 읽고
    '08.7.24 2:32 PM (221.150.xxx.66)

    부동산 사이트에 가서 저희가 사는 아파트 매매가를 보니
    재작년 말, 작년 초 56평에 13억했는데 지금 8억5천~10억 이렇게 나와있네요.
    많이 떨어지긴 떨어졌군요.
    집은 거주의 목적으로 정착되어야지 투기의 목적이 되지 않기 위해 집 값은 더 떨어져야겠죠.

  • 3.
    '08.7.24 3:56 PM (147.46.xxx.79)

    지금까지 워낙에 중대형 위주로 올랐고.. 요샌 갭을 메운다고 소형들이 오르는 분위기예요. 이전까지 많이 올랐던 분당 대형은 내려는 와중에 소형이 강세니까 대형은 더 인기가 없는 거죠.

    특히 분당은 리모델링 호재들이 영향이 있는데 복도식 소형은 메리트가 제법 있지만 중대형은 리모델링보다 더 기다려 재건축 가자는 분들도 많고 생각들이 없는 게 집 값에 반영되는 거구요.

  • 4. ```
    '08.7.24 3:59 PM (222.238.xxx.149)

    분당 대형들 대부분 주상복합 아닌가요?
    오르긴 많이 올랐는데 아파트보다 덜 넓고 유지비 생각하면 떨어지는게 당연하다고 봅니다.

  • 5. ..
    '08.7.24 5:59 PM (121.135.xxx.214)

    저도 위에 ```님과 동일한 의견입니다.

  • 6.
    '08.7.26 1:52 PM (125.181.xxx.43)

    분당엔 주상복합 말고도 엄청난 양의 대형평수 아파트들이 있어요~
    수내동, 서현동쪽으로 200제곱미터 넘는... 방 6개짜리, 아님 복층형 아파트등등...
    신문에도 나왔죠~ 수내동 파크타운 130제곱미터 이상 아파트들은 최대 3억이상 떨어졌다고...
    물량에 장사 없다고... 워낙에 판교, 흥덕, 광교등의 물량등이 많아서 조정을 받는다고 생각해요~
    (저는 분당에서 살고 싶어서... 꾸준히 보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8889 엄마가 너무 냉정해요.. 10 냉정.. 2008/07/24 1,570
218888 그릇에 대해서 12 살림꾼 2008/07/24 922
218887 [펌] 이것이 바로 쥐ral 옆차기 10 오 놀라워라.. 2008/07/24 387
218886 조선일보 패닉 상태랍니다. 박수 26 눈팅 2008/07/24 4,197
218885 냉장고에서 물이 계속 새는데요 7 냉장고 2008/07/24 578
218884 미국에서 배송받기.. 7 미국 2008/07/24 323
218883 이메가 아들 한국타이어 입사의 의미는 뭘까요 13 ኽ.. 2008/07/24 993
218882 ‘적극투표층’ 주경복 28.5%, 공정택 18.8% 20 간만에 좋은.. 2008/07/24 609
218881 아기낳은 산모에게 줄 선물추천부탁드려요(3~5만원) 10 냠냠 2008/07/24 542
218880 전두환을 왜 살려뒀을까요? 17 2008/07/24 825
218879 깨진 유리컵이나 사기그릇은 어디에 버려요? 8 헷갈리 2008/07/24 1,646
218878 자동이체금액의 오류 4 학습지 2008/07/24 452
218877 교육감선거 투표방법 좀 알려주삼 9 cherry.. 2008/07/24 285
218876 예산까지 확정된것을 뒤집다니 공무원의 힘은 대단합니다. 3 세상에 이런.. 2008/07/24 605
218875 비가요;; 2 미니미 2008/07/24 203
218874 8월1일 통신사이동 꼭 하는거죠? 9 엔키 2008/07/24 435
218873 일산 탄현에서 보낼만한 어린이집 좀 추천바래요... 2 어린이집 2008/07/24 225
218872 저같은 경우 돈을 너무 쓰기 싫어요. 이것도 병인듯 싶은데... 23 이것도 병?.. 2008/07/24 2,091
218871 [GMO]함께 힘을 모으고 정보를 모아봐요 1 백리향 2008/07/24 195
218870 돌잔치 고민 18 조언부탁해요.. 2008/07/24 634
218869 아이가 날마다 울어요 4 날마다 울어.. 2008/07/24 399
218868 사망설을 안믿는 분들에게 읽을거리 제공함.-아고리언펌 5 진실은 밝혀.. 2008/07/24 623
218867 대통령 선거가 없어질 수 있습니다. (펌) 10 덧니마녀 2008/07/24 570
218866 삼양사랑 5 파랑새날다 2008/07/24 444
218865 신생아 사진도 dslr 로 찍어야 할까요? 21 디카 2008/07/24 692
218864 영어 학습용 영화는 어떤것이? 5 바위솔 2008/07/24 498
218863 주말경복궁 숙제 몇명 쯤 하셨나요^^ 6 주말경복궁 2008/07/24 321
218862 친구...... 4 천사맘 2008/07/24 559
218861 전두환에게 명패던진 사건 20 뒷담화 2008/07/24 1,152
218860 “규제 못참아” 네티즌 사이버 망명 4 사이버독립운.. 2008/07/24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