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시간이 흘러도 시어머니는 적응 안돼

적응불가 조회수 : 884
작성일 : 2008-04-05 17:00:06
저는 막내며느리지만 시댁 가까이 사는 이유로 집안행사 있음 꼭 불려 가죠.
형님(맏동서)은 시댁과 차로 4시간 떨어진 타 지역에 사는 이유로 나름 일 있으면 올라 오지만 그래봤자 일년에 명절포함 4-5번이나 될려나...
것도 아주 중요한 일 아님 시아주버님만 올라 오세요.(명절때는 꼭 같이 오시지만)

근데 제가 꼭 시댁행사 참여해야 하는게 불만인게 아니고 늘 가까이 사는 사람은 잘하든 못하든 신경 쓰이는게 사실인데 시댁에선 그게 중요하지 않은가 봐요.
이번에 어머님이 당뇨가 심하셔서 입원을 일주일 정도 하셨는데 먼거리(차로 4시간) 주말에 달려와서 어머님 뵙고 간건 좋은데....어찌 돈은 한 푼도 안내고 가셨는지... 얼굴만 비치면 다 인가 싶어요.
어머님한테 대 놓고 제가 형님이 돈 좀 드리고 가셨나요 물으니 첨에는 어머님 못 들은 척 하시더니 재차 여쭈니 어쩔 줄 몰라 하시면서 주지 않았다 하시는군요. 그러시면서 저희한테(신랑과 저)는 시누 나서게 해서 병원비는 당연 저희 신랑 카드 긋고 몸 허해 사골 끓여 드시게 한다고 족도 사게 하시고...

7일 입원하신거랑 족 산거까지 기껏 20여만원에 한식성묘가는거 준비 몇만원에 얼마 안되는 돈이지만 형님한테 서운하네요. 시어머님한테도 당근 기분 안 좋구요.
그래도 뭐 그리 형님을 챙기는지.... 저한테는 사소한 것도 트집 잡으시고 한달에 한두번 찾아 뵐때도 왜 그리 자주 돈 아쉬운 소리는 하시는지?

아쉬운 소리 하셔야 하면 며느리한테 살갑기나 좀 하시든지...
막내며느리랑 40년 차이 나면서 옛날 같으면 손녀뻘인데 저한테 한번도 져 주시는 법이 없네요.
그러니 그닥 더 잘해 드리고 싶은 맘 없어져요.

그냥 속풀이 하고 갑니다.
IP : 61.34.xxx.121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놓고
    '08.4.5 5:18 PM (121.140.xxx.248)

    형님께 입원비 나눠 내자고 하시지 그랬어요?
    지금은 적은 돈이니 그렇지만
    정말 중하셔서 큰돈 들어갈 때는 어쩌실건지요?
    막내 며느리가 너무 착하시네요.

  • 2. 그 심정 알아요.
    '08.4.5 11:23 PM (58.237.xxx.13)

    아이구
    제 맏동서는 원글님 동서보다 100배 더 지독합니다.
    이젠 담 쌓고 살아요.
    사람 취급하기도 싫습니다.

    시댁에 어떤 일 때문에 의논 후 각 가정당 십만원 씩 내기로 했는데
    꼴랑 3만원으로 끝나더라고요.
    무슨 일이든 최고가 3만원으로 끝냅니다.

    시어머니께 한 달에 한 번 씩 드리는 용돈도 추석 때 얼굴 보게 되면
    굴러다니는 비타민 한 병으로 때우고 생활비 그냥 넘어갑디다.

    그 악행은 빙산의 일각이고 다 글로 표현하자면 대하소설로도 부족해요.

    제가 드리고자 하는 말씀은 그 동서네 그 버릇 절대 못고칩니다.
    제 동서와 너무 똑같아서 알 수 있어요.

    그냥 마음 다스리면서 내 팔자려니 하셔야지 별 방법 없어요.

    자기 돈 아까와서 못내놓는건데 그걸 무슨 수로 고친답니까.

  • 3. 저희
    '08.4.5 11:53 PM (125.187.xxx.55)

    시어머니도 좀 그런면이 있으신데요...
    성의라곤 없는 며느리지만(맏며느리), 내색 별로 안하시고, 오히려 맏며느리편을 드시더라구요..
    첨엔 이해안갔는데, 아무래도 나중에 늙어 병들면 그래도 큰아들네한테 신세지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그런것도 있는거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0604 자동차 자리 (언니, 엄마, 나) 14 저도 2008/04/05 1,452
380603 팀건의 필수 아이템 혹시 다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요~~ 4 멋지고파 2008/04/05 696
380602 벤키즈 어떤가요 2 침대고민 2008/04/05 1,376
380601 이런 질문 왜 할까요 6 .. 2008/04/05 948
380600 82cook에 뜨는 배너광고 10 자작나무 2008/04/05 817
380599 의보 민영화.. 반대하는... 13 걱정 2008/04/05 889
380598 식사예절 10 소심녀 2008/04/05 1,236
380597 코팅 후라이팬에 김치볶음 자주 해먹으면 팬 코팅이 상하나요? 14 남편의 잔소.. 2008/04/05 1,816
380596 의보 민영화...생각하면 할수록 슬퍼요 6 슬프다 2008/04/05 706
380595 시댁에서 돈을 해내라는데 23 ... 2008/04/05 3,600
380594 올케한테 출산 선물 하고 싶은데 뭐가 좋을까요? 7 조언 구해요.. 2008/04/05 797
380593 몇가지 구입할수 있는 미국싸이트요 4 고디바 2008/04/05 525
380592 직장 내 성희롱 처벌 완화 3 규제완화 2008/04/05 418
380591 오스트리아에는 유명한 제품 없나요? 9 오스트리아 2008/04/05 877
380590 친정서 해주는 as기간은? 85 결혼후.. 2008/04/05 4,778
380589 아이데리고있으니 돈보내라는 사기전화 있쟎습니까... 4 ? 2008/04/05 878
380588 <아고라 펌>맞고 들어 온 아들, 아빠의 복수 8 웃어야병안걸.. 2008/04/05 1,454
380587 18개월 아기랑 해외여행?아님..제주도? 6 고민중.. 2008/04/05 787
380586 민영화는 반대하더라도 수가는 올려주어야 할겁니다. 49 건강보험 2008/04/05 1,288
380585 개별면담 자주하는 선생님 6 초등1학년 2008/04/05 1,035
380584 키플링?? 7 키플링?? 2008/04/05 1,593
380583 그래도 분가하고 싶다 12 다 좋지만 2008/04/05 1,479
380582 미용실에서 꼭 선생님이라고 불러야 하나? 7 영 어색 2008/04/05 2,401
380581 공진단? 4 보약 2008/04/05 817
380580 마트에 금보라가 왔었는데 왕년의 그 모습 그대로네요 17 고양시 주민.. 2008/04/05 6,594
380579 의보민영화 왜 추진하는지 이유가 뭔지 정확히 가르쳐주세요 15 정말이해불가.. 2008/04/05 930
380578 1년 정도된 냉동오징어 먹어도 될까요? 5 오징어 2008/04/05 833
380577 최고의 복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28 ... 2008/04/05 8,636
380576 이대 안에 문방구(?)있나요? 4 이대 2008/04/05 714
380575 치과 진료 미리 받았네요... 5 치과 2008/04/05 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