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꼭 사고 싶은 집이 있는데 절대 집값이 오를 거 같지 않아요.

갈팡질팡 조회수 : 2,026
작성일 : 2008-04-01 09:10:58
어제 4500연봉에 1억 대출이 괜찮을지 물어본 사람이예요.
저희 부부가 오래전부터 꼭 살고 싶었던 동네에 가장 좋은 층으로 약간 비싼가격으로 집이 나왔어요.
그 집을 사려면 정확히 1억1천 대출 받아야 하구요.
아직은 외벌이인데
제가 일을 시작하려면 2년은 있어야 할 것 같구요.
내년에 남편 연봉이 500정도 더 오르겠지만 성과급이나 기타 수당같은 건 일절없어요.
다만 외아들이라 시어머니께서 돌아가시면 물려 받을 유산은 좀 넉넉한 편이라
저희 노후준비는 따로 안해도 되지만 현재 도움받는 건 결코 기대할 수 없구요.


문제는 이 집과 이 동네가 정말 맘에 들지만 서울도 아니고, 수도권 거의 외곽이라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없다는 거예요.
바로 옆에 큰 택지지구 공사를 곧 시작하지만
그 택지지구가 생기고 나면  공급이 넘쳐서 집값, 전세값이 떨어질거 같아요.
실제로 가까운 곳에선 새로 완성된 택지지구때문에 주변 집값이 많이 떨어졌거든요.

그리고 지금 저희가 살고 있는 곳(전세)은 남편 직장과 아주 가까운 거리지만
저 아파트로 이사가게 되면 남편은 직장과 한 시간 거리로 멀어지고요.

이럼 집 사면 안되는 걸까요?
그래도 그냥 거기 살고 싶으면 사야할까요?



계속 고민됩니다.
생애 처음 집을 장만해보려는데 결정을 못하겠어요.

IP : 210.181.xxx.16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n.n
    '08.4.1 9:13 AM (125.129.xxx.146)

    남편 직장에서도 멀고 오를거 같지도 않은데..굳이 사고 싶은 이유가 뭔가요

  • 2. ^^
    '08.4.1 9:17 AM (220.120.xxx.193)

    출퇴근 멀어지는 조건이면 힘들지 않을가 싶은데.. 그 동네가 아주 맘에드는 다른 이유가 있나요? 만일 저라면.. 그정도 대출까진 안받겠습니다 . 월 이자로 50가까이 나가야 되는데.. ㅠㅠ 흐미..전 그돈 아까워서 못살꺼 같아요 ㅠㅠ 죄송.. 도움이 별루 못되는 제 개인적인 생각임다.

  • 3. 1
    '08.4.1 9:18 AM (221.146.xxx.35)

    남편도 거기 살고싶대요? 직장 한시간 거리라면...힘들죠.

  • 4. .
    '08.4.1 9:21 AM (222.111.xxx.76)

    그 동네가 정말 마음에 들고, 꼭 사야 하는 이유도 적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 5. 갈팡질팡
    '08.4.1 9:27 AM (210.181.xxx.162)

    사실은 남편이 더 원해요.
    거기서 살고 싶은 이유는 아파트 바로 앞에 큰 산이 있어요. 대단지 아파트에 주변 유해시설이 전혀 없구요, 단지 안에 초등학교가 있어서 길 건너지 않고 바로 보낼 수 있구요.
    출퇴근, 돈 문제만 아니면 완전 전원생활이 가능한 곳이예요.

    그리고 택지지구가 들어와도 우리가 구입할 아파트 주변엔 대형평수가 자리잡고요, 현재는 서울 방향의 도로 하나가 신설계획중이고, 한 10년 후엔 전철이 들어오고요. 이건 뭔 기대할 것도 못되지만.....

    암튼 구입하고 싶은 이유가 너무 경제성 없는 거라....

  • 6. 1
    '08.4.1 9:30 AM (221.146.xxx.35)

    출퇴근, 돈 문제만 아니면 완전 전원생활이 가능한 곳이예요.
    --> 모든 사람의 바램 아닌가요. 현실이랑 타협하다보니 실행을 못해서 그렇지...

  • 7. 내가
    '08.4.1 9:31 AM (116.36.xxx.193)

    내가 좋다고 생각하는 집은 남들도 좋다고 생각할겁니다
    투기를 위한게 아닌 실거주 목적이라면 그정도는 모험을 해보는것도 좋지않을까요
    집도 인연이라는게 있다던데..
    그렇게 두 부부가 마음에 들어하고 살면서 행복하면 좋을듯한데요

  • 8. 이딸리아
    '08.4.1 9:38 AM (118.216.xxx.56)

    저도 윗님 의견에 동감합니다.
    두 부부가 모두 마음에 들어한다면 감행해도 좋을 것 같아요.
    마음의 행복을 어떻게 돈으로 환산하겠어요...

  • 9. ..
    '08.4.1 9:45 AM (222.239.xxx.59)

    부부가 살고 싶었던 집,
    터무니없이 집값 비싼 서울의 어느곳도 아니고 수도권 외곽..이라니
    어쩐지 관심이 갑니다~^^
    그러나 대출액이 좀 많고..근데 노후부담없는 현실 정도라면
    저는 한 번 해볼 것 같아요.
    두 분만의 행복을
    일반인들의 잣대에 비교해서 결정해야하는걸 피할수 없는 현실이
    좀 걸리지만요.
    최선의 결정을 하세요~

  • 10. 요즘
    '08.4.1 9:50 AM (125.178.xxx.31)

    눈을 넓게 가지면 좋은 아파트 많아요.
    이야기를 종합해 볼때
    1, 바로 앞 큰 산
    2. 대단지 아파트
    3. 단지안 초등학교

    요즘 새로 개발되는 택지개발지구 아파트 위와 같은 조건의 아파트 좀 있습니다.
    아주 희소성이 있는것은 아니구요.

    앞으로 근간에 오를 전망은 없다고 하니
    좀더 많이 돌아보고 결정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아이가 어린거 같은데
    곧 중학생 고등학생 된답니다.
    주변에 믿을 수 있는 학원가 학군도 변수에 넣어서 여유를 가지고 생각해 보세요.

  • 11. 혹시
    '08.4.1 9:54 AM (211.111.xxx.60)

    *영빌라 아닌가요?
    차라리 뚝 까놓고 이 동네 어떤가요? 이런 질문 올리시면 더 좋은 조언 들으실 수 있으실 듯 싶어요.

    아기 어릴 때, 그리고 부부가 정말 살고 싶은 동네라면 사심이 옳습니다.

    그런데, 출퇴근 한시간 거리(자가? 아니면 대중교통, 지하철?)...이거는 고려해 보셔야 합니다.
    제가 팔팔할 나이에 1시간10분 거리로 출퇴근했는데, 정말 힘들었습니다.
    물론 그 시간에 자기계발(어학공부라든지...)을 한다든지 하면서 이용하면 좋을 수도 있습니다만...육체적으로 힘든 건 사실입니다.

  • 12. 절대..
    '08.4.1 10:06 AM (125.176.xxx.139)

    절대 반대예요..

    유가부담으로 교외에 사는건 큰 재앙이 될 수도 있다는 신문기사도 나왔잖아요~

  • 13. ..
    '08.4.1 10:14 AM (116.120.xxx.130)

    그냥 전세로사시면 안되나요??
    어차피 집값 덜어질거다 장담하신다면
    택지다 들어서서 불안요인 제거된후 가격으로 사셔도 되잖아요
    근데제생각에 1시간 출퇴근거리는 너무 불합리한것같아요
    일부러 출퇴근에만 두시간 걸리는 데를 빚얻어 찾아들어가는것은
    좀 그렇지 안나요??
    일단 좀더 발품 팔아서 직장 근처로 찾아 보시는게나을것 같아요

  • 14. ..
    '08.4.1 10:17 AM (125.186.xxx.222)

    단지앞 큰 산, 1-2년뒤엔 홀랑 밀고 아파트 들어설지도 모릅니다.
    (실제로 저 이사오기 전에 살던 동네가 그런꼴이었어요~ 사람들이 산보고 계약하고 많이 들어와서 살았는데 한 4-5년만에 그 산 다 밀고 아파트 들어오던데요!)

  • 15. 아이미
    '08.4.1 1:08 PM (124.80.xxx.166)

    차라리 신랑분 회사가 어디고 사고 싶은 집은 어디고 이렇게 구체적으로 적어주시면
    신랑분 회사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그런 비슷한 조건을 가진, 집값상승가능성도 있는
    그런 곳을 추천받을 수 있지 않을까요,,,,,
    저는 용인사는데 이번에 분양받은 곳이 산으로 둘러싸여 참 좋더라구요,,
    길건너지 않고 초등학교를 보낼 조건은 안되지만,, ^^
    아니면 택지지구 개발이 끝나서 사고싶은 집이 좀 싸게 나오면 그때 사시는 것도
    방법이겠구요~

  • 16. ,,,
    '08.4.1 1:34 PM (222.239.xxx.59)

    그런데...
    산을 밀어버리고 아파트로..라는 글이 있는데
    요즘에는 예전처럼 막가파 식의 생태파괴를
    그리 쉽게 할 수 없도록 된 걸로 알고 있어요.
    아무리 산이있고 주변경관이 좋아도 여지없이 깔아뭉게고
    자고 일어나면 고층아파트가 솟아오르던 적이 분명 있었지만
    요즘은 좀 달라지지 않았던가요?
    원글님이 그 지역 어딘가에 한 번 확실하게 알아보세요.
    '산을 밀어버리면...' 안되잖아요....
    혹시 그 산을 없앨수 있는거냐구요.
    저도 야트막한 산이 있는 걸 보고 이사를 결정하여 지금까지 살고 있는데
    지금껏 그 산만 섬처럼 남겨놓고 개발하더라구요.
    제 생각엔 우리집 앞 산이 없어질 리는 없다고 봐요.
    주민들도 개발보다는 작은 산이 훼손되는건 가만있지 않을 것 같구요.
    이 지역 사람들이 그 산을 얼마나 좋아하고 아끼는데...
    없앨지도 모르겠다는 소문이 난다면 소심한 저도 구청장이든 청와대든 갈 참이거든요~^^
    무식한 정부도 이제는
    가능하면 얼마남지 않은 녹지라도 보존하려는 마인드로 간다고 알고 있거든요.

  • 17. 전세로
    '08.4.1 3:44 PM (220.75.xxx.166)

    일단 전세로 살아보세요.
    집값이 크게 안오를 동네라면 천천히 사도 손해 볼건 없죠.
    전세로 이년 살아보시고 그 후에 매매를 결정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9614 매실액에 벌레가 생겼는데 버려야하나요?? 5 ... 2008/03/31 1,296
379613 오일릴리 저렴하게 살수 있는 곳은 정녕 없나여?? 11 오일릴리 2008/03/31 3,009
379612 에어컨콘 설치시 설치비를 따로내는게 맞는건가요? 6 에어컨 2008/03/31 579
379611 베이비유 사진찍어보신분 어떠신가여?? 7 사진... 2008/03/31 958
379610 어제 저녁 데미지 라는 미국 드라마 보고 궁금한 것 2 궁금이 2008/03/31 630
379609 속보 기사가 바뀌었어요. 18 기가 막혀 2008/03/31 6,631
379608 컴퓨터에서 천둥치는 소리가나요 3 하드 2008/03/31 437
379607 (급컴대기)두부틀을 사려는데요 5 두부사기힘든.. 2008/03/31 554
379606 평화통일가정당? 7 궁금이 2008/03/31 885
379605 일산 여자어린이 납치 미수 용의자가 잡혔대요. 12 속보 2008/03/31 1,309
379604 영등포역..롯데백화점이나 근처에 큰 서점 있나요? 2 핑키네..... 2008/03/31 805
379603 일산 초등생 납치미수 용의자 잡혔대요 6 ... 2008/03/31 793
379602 에어콘 구멍 막아놓고 가야하나요? 4 세입자 2008/03/31 1,327
379601 초1 드림렌즈 해볼까 하는데..특히 잘때 숙면할수 있을까요? 4 어떤가요? 2008/03/31 682
379600 제빵기를 지를려고 하는데요.. 1 ^^ 2008/03/31 499
379599 곱슬버들 사고싶은데요..... 1 선민 2008/03/31 361
379598 주거 오피스텔 고민, 증여세 고민. 조언 좀 부탁드려요. 3 2008/03/31 438
379597 요리 배우고 싶어요(평촌,산본이나 의왕,군포) 2 요리 2008/03/31 453
379596 산모용패드는 그냥 생리대인가요? 4 출산 2008/03/31 761
379595 딸아이가 멸치먹고 두드러기가났어요. 3 두드러기 2008/03/31 578
379594 주의) 선거기간이라 정치적인 글은 주의해서 올리세요 3 혹시나해서 2008/03/31 262
379593 급) 아이 숙제.... 도와주세요. 혹시아시나 2008/03/31 387
379592 오피스텔 사는것 어떨까요? 7 오피스텔 2008/03/31 1,112
379591 미국으로 간 언니 ㅠ 1 휴우 ㅠ 2008/03/31 1,311
379590 저 힘든거 맞죠? 5 풀가동 2008/03/31 1,248
379589 <급질>가입비와 번호변경 없이 공짜폰 살 수 있나요? 2 핸드폰 2008/03/31 700
379588 경주 켄싱턴리조트 웬만하면 피하세요.. 5 벚꽃 2008/03/31 3,084
379587 임신증세도 변화나요? 3 임신증세 2008/03/31 540
379586 노회찬 vs 홍정욱, 아이러니한 게.. 23 . 2008/03/31 4,661
379585 재량활동 영어는 뭔가요? 1 초1맘 2008/03/31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