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저희집은 참 안주고 안받고 사는데 다른분들 글 보면 놀라워서요.

^^ 조회수 : 5,765
작성일 : 2008-03-31 16:19:28
오늘 집들이 글 두개 올라온거 보고 좀 놀랐네요.
저희는 뭘 하든 최대 10만원!이라고 암묵적으로 정해두다시피 해서
집을 사서 집들이 한 집이건 전세(저희집^^;;)건 그냥 소소한 집들이용 선물만 했어요.
저희집 집들이 할때 돈봉투는 친정엄마가 10만원 주신거 외에는 없었어요.
다들 케익이나 휴지, 세제 사들고 왔고요. (시댁에서도 케익이랑 화분 사오신거 외에는 없었구요)

다른 일 있을때도 몸소가서 돕고, 맛있는거 사가서 그자리에서 먹고 끝이지
따로 봉투를 찔러주거나 하는 일 잘 없는데...
김장때랑 명절때는 제가 시어머니께 20만원정도 드립니다.
형님댁하고는 돈봉투 오가도록 선물해본적 전혀 없구요.
(생일을 챙긴다 이런건 전혀 없어요!)
친자매간에도 상품권 까진 줘봤어도 돈봉투 선물은 해본적이 없어요.

저희집이 너무 안주고 안받고 살고 있는걸까요?
저희만 안주고 받기만 하는게 아니라 서로 그러자 하고 그러고 있으니 편하기는 합니다만
친정은 뭐 오래전부터 그래왔으니 서로 이해되었다 치고
시댁-어머님이랑 형님은 뭔가 턱턱 선물이 안오니 서운하실까요?
저는 딱히 그렇게 큰 돈봉투를 선물로 드리고픈 마음은 없거든요.
(선물 안주고 싶은 싫은 관계라거나 그런건 아닙니다. 적당히 대면대면한 정도)
시부모님 환갑이 저 결혼하기 전에 다 지나서 제가 큰 행사에 뭘 턱 드려야 하는건가에 대해서 둔한건지..

그냥 한번 안주고 안받고 살기 시작했으니 끝까지 이렇게 할 수 있으면 참 좋겠는데 말예요~



IP : 125.186.xxx.22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3.31 4:21 PM (218.209.xxx.7)

    님같이 사시는분들이 더많을거에요.
    저희도 십만원이 맥시멈이고 그이상은 꿈도못꿔요.
    물론 받지도 못했구요.

    집집마다 다 상황은 틀리겠죠.
    근데 저런글보면 부럽기도해요 ㅎ

  • 2. 주고 받기도
    '08.3.31 4:24 PM (211.52.xxx.239)

    가풍 같아요

    친가는 부담스러울 정도에요
    환갑은 물론 생신 때나 명절 때 등등
    뭔일만 있으면 주고 받기를 합니다
    때마다 백 단위의 돈이 오고 가니 일 년이면 천 단위가 됩니다

    시가는 안 주고 안 받기의 생활화입니다
    그나마 환갑 때 드린 돈도 돌려주십니다

    신랑이나 저나 양쪽 집 똑같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없는데
    가풍이 이리도 다르니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너무 달라도 힘들어요

  • 3.
    '08.3.31 4:25 PM (218.147.xxx.180)

    형제 집들이때 내용 쓴 사람이에요.
    저도 사실 원글님과 비슷한 생각인데 그게 내 맘과 다른 거 같아요.
    특히나 여자들이 끼인 경우는 은근 섭섭해하기도 하던걸요..ㅠ.ㅠ

    저도 돈 주고받고 하는거 상당히 좀 그런데.
    다른 형제들은 챙겨서 주는데 나만 빠지면 참 서운해할까 싶기도 하고...
    그 분위기도 무시 못하겠어요.
    또 상대방 입장에선 (특히 형제는 그냥 이해해도 배우자의 경우는 섭섭해하고 하더라고요..)
    그게 아니니...

  • 4. 비교는 금물
    '08.3.31 4:28 PM (221.161.xxx.74)

    차라리 원글님처럼 적당히 하시던가 아예 안주고 안받기가 편한 거 같아요.
    적어도 상대방에겐 바라지 않으니깐요..
    비교하게 되고 바라게 되니깐 서운해지고 관계가 소원해지는 거 같아요.

  • 5. 새댁
    '08.3.31 4:32 PM (221.145.xxx.89)

    저 오늘 집들이 글 올렸는데요..
    저도 사실 안주고 안받는게 편한 사람이예요...
    친구들 끼리도 생일때 따로 선물 안하고 지냈거든요...

    근데 게 큰 선물이나 돈 봉투 받고나니.. 그것도 되게 걱정이대요.. 빚얻은거 같은 기분도 들고..

    결혼하고.. 돈 나갈거에 대해 남편이랑 딱 정했어요..
    저희는 양가 부모님 생신때는 20만원하기로 했구요..
    형제들은 10만원씩...
    저희는 선물보다는 현금이 더 나을거 같아서..
    만날 수 있으면 현금.. 못 만날거 같으면 상품권택배로 보내기로 했답니다...

    시댁은 한 달에 10만원씩 회비 걷어서 큰 행사 치르구요..
    친정은 저나 동생 둘다 이제 막 결혼했고.. 곧 엄마 환갑이라..
    엄마 환갑은 식구들 초대해서 식사대접하고... 식대는 반반 내기로 했고..
    그 후에는 시댁처럼 10만원씩 모으려고 합니다...

    김장때는 10만원 드리려고 하구요.. 명절때도 10만원 드리기로 했어요..
    정기적 용돈은 안드리구요...

    그런데... 형님과 좀 친해지면... 서로 안주고 안받기 했으면 좋겠어요...
    물론 어른들은 챙기지만요~~

  • 6. shaudic
    '08.3.31 4:36 PM (210.94.xxx.1)

    저희 집도 같아요. 안주고 안받기~ 오랫동안 불협화음없이 꾸준히 지낼수 있는 방법이기도 한거 같아요

  • 7. 원글
    '08.3.31 4:41 PM (125.186.xxx.222)

    그렇죠...받으면 드려야 되고 그게 반복되다 보면 힘들것 같아요.
    어떻게든 지금의 좋은 풍습^^;;을 지켜나가도록 노력해 봐야 겠습니다~~;;

  • 8. 부러워요
    '08.3.31 7:19 PM (211.53.xxx.134)

    부모님은 그렇다 쳐도 형제들끼리는 좀 생략 좀 했음 좋겠어요.. 이젠 받아도 좋은게 아니라 빚이다 싶습니다..

  • 9. 부러워요2
    '08.3.31 9:39 PM (61.34.xxx.121)

    저흰 결혼이 늦어 나이에 비해 아이가 어리답니다. 근데 형제들은 자녀들이 거의 다 장성해서 들어가는 돈이 크죠. 울 애가 올해 겨우7살인데 반해 시누,형님(손위동서)네 아이들은 대학생에 출가한 자녀까지 있어 4월엔 돌잔치까지 있답니다.
    그러니 받는거 보다 나가는게 훨 많아요.

  • 10. .
    '08.3.31 10:19 PM (122.32.xxx.149)

    저희도 부모님 생신하고 명절때 말고는 봉투 왔다갔다 안해요~ 안주고 안받죠.
    그리고 그게 더 속편하고 좋아요~

  • 11. 너무 챙기는
    '08.4.1 12:04 AM (59.14.xxx.63)

    시집때문에 너무 불편해요...안주고 안받았음 딱 좋겠는데...
    뭘그리 따지는게 많은지...

  • 12. 마자요.
    '08.4.1 12:41 PM (147.46.xxx.211)

    서로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서로 부담 없이 비슷하게..
    성격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이 균형감이 너무 좋아요.

  • 13. ..
    '08.4.1 3:15 PM (210.95.xxx.231)

    안주고 안 받기가 좋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9494 초2딸이 맞고 왔는데..ㅜㅜ 10 고민 2008/03/31 1,407
379493 Noni essence 사용해 보신 분 계세요??^^ 갈켜주세요^.. 2008/03/31 1,205
379492 맛없는 배 8 고민중 2008/03/31 978
379491 질문 1 dmlfy 2008/03/31 259
379490 전기충격기 5 불안 2008/03/31 821
379489 하나의사랑 6 ^^추성훈 2008/03/31 998
379488 집 살떄 대출 금액 & 경제권 2 ss 2008/03/31 496
379487 노현희씨는 왜 자꾸 성형을 하는지 모르겠어요.. 38 혹시 2008/03/31 10,920
379486 임신증상이 궁금해요. ^^; 7 궁금해요 2008/03/31 619
379485 23개월 아이.. 어린이집 오늘 처음 보냈습니다. 7 어린이집 2008/03/31 617
379484 초등학생 휴대폰 2 딸맘 2008/03/31 786
379483 요즘 인간이 아닌 인간들을 보며 드는 생각. 3 안전 2008/03/31 1,006
379482 온라인상으로 창평엿 구할수있나여? 5 창평엿 2008/03/31 877
379481 이런서비스도.. .. 2008/03/31 467
379480 내 몸이 약간 이상해요 11 이상하다 2008/03/31 1,912
379479 다이어트 하려는데 헬스클럽 등록:소식과 걸어서 퇴근하기 중 어떤게 실천하기 좋을까요? 6 다욧트 2008/03/31 1,201
379478 예지미인의 오묘한 향 여전한가요? 9 .. 2008/03/31 1,036
379477 생균제가 무엇인지요? 2 ... 2008/03/31 322
379476 옆 배너에 있는 필립스 핸드블렌더 가격이 얼마인가요? 2 궁금 2008/03/31 448
379475 LA MER 크림 써보거나 아시는분??? 11 궁금해요 2008/03/31 853
379474 출산하신지 얼마안되신분.. 기저귀양좀 알려주세요. 4 아기 2008/03/31 411
379473 저가형(60~70만원대) 노트북 가격대비 괜찮을까요? 4 노트북 2008/03/31 850
379472 시냇가 나무 소원 fry 2008/03/31 283
379471 설악 한화콘도랑 대명콘도중 어디가 나은가요?? 5 ... 2008/03/31 1,743
379470 농수산의 빨간호두말고 황금프리미엄호두가 있던데..드셔보신분.. 1 호두 2008/03/31 953
379469 슬리퍼형 운동화 어디서 파나요? 2 궁금 2008/03/31 565
379468 예쁜 머그잔 부부잔 (릴리스가든 분위기) 추천 해주세요^^ 2 단팥빵 2008/03/31 702
379467 초등아들 수학 기탄푸는데 너무 오래 걸려요. 6 연산 2008/03/31 979
379466 제주도에서 가볼만한 식당 소개 해 주세요. 8 최아롱 2008/03/31 933
379465 다가구 주택 상하수도요금에 관한 문제점 문의 2 상하수도 2008/03/31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