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전도연-김민선 "대통령께서도 '식코' 보아야"…

식코 강추 조회수 : 1,871
작성일 : 2008-03-31 14:33:42
전도연-김민선 "대통령께서도 '식코' 보아야"….

시사회후 영화 '식코' 강추
  

[마이데일리 = 정경화 기자] 전도연 "마이클 무어에 동의한다"

배우 전도연을 비롯한 오만석, 김민선, 그리고 김기덕 감독 등 영화 '식코'의 시사회장을 찾은 배우와 감독들이 영화에 열렬한 지지를 보냈다.

지난 27일 저녁 영화 '식코'의 VIP 시사회가 열렸다. '식코'의 VIP 시사회장을 찾은 손님들은 마이클 무어 감독의 영화 '볼링 포 콜럼바인', '화씨 911'을 떠올리며 신작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시사회장에는 전도연, 오만석, 김민선, 차수연, 강인형, 김혜나, 지아 등의 배우들을 비롯해 김기덕, 이재용, 민규동, 장률, 이병우 감독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날 영화를 관람한 배우와 감독들은 "역시 마이클 무어"라며 감탄했다.

배우 전도연은 "마이클 무어의 생각을 존중하고 동의 한다. 여러분 더 이상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지 말자"라며 영화에 지지를 보냈다. 배우 오만석은 "우리나라의 많은 부분에 해당되는 이야기인 것 같다. 많은 분들이 봐야 할 영화다"라고 평가했다. 배우 김민선과 김혜나는 "대통령께서 꼭 이 영화를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의료보험민영화가 뜨거운 정치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요즘 미국의 민영의료보험의 폐해를 꼬집은 영화 '식코'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영화 '식코'는 오는 4월 3일 개봉된다.

[사진 = 영화 '식코']

(정경화 기자 chmong@mydaily.co.kr)


제발 보험제만큼은 건드리지 말아줘!!!!!!!!!!!!!
부탁이야 이메가!!!!!!


IP : 219.248.xxx.25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08.3.31 2:39 PM (124.50.xxx.177)

    이제 곧 출산을 앞두고 있는데 걱정이 태산이네요.

    손가락 봉합수술하는데 6,000만원이 든다니..

    돈 없으면 조용히 죽어야 한다는 말인지..

    식코라는 영화 다른 사람은 안보더라도 대통령은 꼭 봐야 할거 같네요.
    봐도 깨달음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 2. 왠지
    '08.3.31 3:20 PM (211.35.xxx.146)

    내용이 무시무시할 것 같네요.

  • 3. 영화
    '08.3.31 4:16 PM (222.238.xxx.3)

    ‘애덤’은 토목절단 작업 중 중지 손가락과 약지 손가락의 끝이 잘리는 사고를 당한다. 이후 그는 손가락 접합수술을 받기 위해 다급히 병원을 찾지만 이를 위해 가운뎃손가락은 6만 달러, 넷째 손가락은 1만2000달러가 필요하다는 말을 병원 측으로부터 전해 듣는다. 약 7000여만 원에 이르는 거액. 평소 넉넉지 못한 생활을 해오던 애덤은 결국 가운뎃손가락을 포기한다. - 영화 ‘식코’의 한 부분 -



    해당 영화는 ‘볼링포콜럼바인’, ‘화씨 9·11’로 유명한 마이클 무어 감독이 미국 의료보험 체계의 허점을 파헤쳐 미국에서도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미국이 국가의료보험체제를 버리고 민영의료보험으로 바뀐 이후 자국민들이 겪고 있는 후유증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민영의료보험 활성화와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등 의료 산업화를 골자로 한 이명박 정부의 주요 보건의료 정책이 미국 할리우드발 영화 ‘식코’(Sicko, 병자나 환자를 뜻하는 미국의 속어) 개봉을 앞두고 정치권은 물론 각 사회계의 철퇴를 맞고 있어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식코’보기 캠페인까지 전개하고 있다.

    특히 건강보험 당연지정제의 경우 현재 모든 병원이 이 제도에 따라 건강보험에 자동으로 가입돼 있어 건강보험 가입자는 모든 병원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의료계에서는 이 제도가 병원의 선택권을 빼앗고 있다며 폐지를 주장하고 있으며 정부도 이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상황.

    “우리도 곧 손가락을 골라야 하는 날이 올지 몰라”



    ▲ 영화 ‘식코’의 홍보 포스터


    이 제도가 폐지되면 건강보험증을 지참한다 해도 진료를 못 받거나 또는 현재 의료비 수준에 비해 더 비싼 값을 치르고 진료를 받아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통합민주당은 지난 20일 ‘복지야 어디있니?’ 제하의 매니페스토 자료집을 발간한 뒤 이명박 정부를 겨냥 “암, 중증질환 치료비 80%까지 보장성 확대, 만 5세 이하 아동 의료비 전액 무료, 약값 20% 인하, 의료안전망기금 설치 공약을 내세웠던 현 정부가 건강보험 당연 지정제 폐지라는 무모한 정책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영화 ‘식코’의 내용을 빗대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로 인해 우리도 곧 손가락을 골라야 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김주한 민주당 부대변인은 지난달 20일 당시 대통령직 인수위로부터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완화 추진입장이 새나온 직후 논평을 통해 “의료 양극화를 일으키는 것이 국민통합을 위한 것이냐”고 반문한 뒤 “건강보험의 근간을 훼손하는 당연지정제 완화 정책은 전면 취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앞서 참여연대, 보건의료단체연합, 건강연대, 공공노조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최근 서울 모처에서 ‘식코’ 시사회를 연 것은 물론 ‘식코보기 공동캠페인’ 연대를 꾸린 뒤 새 정부의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를 강하게 질타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보건의료노조 홍명옥 위원장은 “의료산업화 추진을 위해 노무현정부가 개악하려했던 의료법과는 차원이 다를 정도의 파장이 우려된다”며 “새 정부가 추진하려는 민영의보 활성화와 당연지정제 폐지는 보건의료제도 붕괴에 핵폭탄이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어 홍 위원장은 “지금 건강보험 제도는 누구나 최소한의 기본적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일종의 산소호흡기”라며 “이명박 정부는 온 국민을 유지하는 산소 호흡기를 민영의보 활성화 등을 구실로 강제로 떼어내려 한다”고 맹 비난했다.

    참여연대 역시 24일 오는 총선을 앞두고 ‘꼭 해야 할 8가지, 절대 해선 안 될 4가지 복지정책’을 각 정당 선거대책위원회에 전달, 이 중 해서는 안 될 4가지 복지정책에 △영리법인화 및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등을 넣고 정부를 압박했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는 “민간보험을 활성화하면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이 늘면서 의료서비스는 건강보험을 이용하는 서민층과 민간보험을 이용하는 부유층으로 이원화돼 양극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한 뒤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논의를 도마 위에 올려 “모든 의료기관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국민의 접근성을 제한할 뿐 아니라 의료의용의 양극화와 계층화를 부추길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국민 건강권에 대한 새 정부의 빈곤한 의식”

    민주당을 비롯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등 정치권도 이와 목소리를 함께 하고 있어 불협화음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천영세 민노당 대표는 23일 한양대학교 병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려고 하는 의료산업화 정책은 의료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며 “병원의 영리법인화, 민간의료보험 확대,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등을 막고 국민 건강의 최후 보루인 건강보험을 반드시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지혜 창조한국당 부대변인은 최근 논평을 통해 “이명박 정부가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를 검토 중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국민건강권에 대한 새정부의 빈곤한 의식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며 “건강보험 당연지정제가 폐지되면 서민들은 건강보험료를 꼬박꼬박내도 정작 아플 때는 건강보험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부대변인은 “국민건강 양극화를 심화시키며 국민의 건강조차 경제논리로 이해하려는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는 철회돼야 한다”며 “보건의료영역은 공공성을 확보해야할 영역이지 국민의 생명이 경제적 능력에 따라 좌지우지 돼서는 안 된다”고 일침을 가한 뒤 영화 ‘식코’의 단체관람을 적극 권장하기도 했다.

    김재훈 기자

  • 4. 제발
    '08.3.31 10:59 PM (58.141.xxx.50)

    안됐으면 좋겠어요 우리 아들은 축농증이라 아마 보험에도 못들거에요ㅜ.ㅜ

  • 5. 제발
    '08.4.1 11:58 AM (58.224.xxx.204)

    안됐음 합니다. 저도 약골이고 울아이 아토피비염이고 축농도 자주오고..전 큰병원도 가끔 가야되고요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9434 베트남 커피 받았어요 9 베트남 커피.. 2008/03/31 1,382
379433 밀린 적금.. 해지하는게 나을까여? 2 적금 2008/03/31 573
379432 4학년 6학년 전과 사고 싶어요 3 동주맘 2008/03/31 291
379431 출산후 3-7일 이제 끝났어요, 가사도우미나 육아도우미 업체 추천좀- 애둘엄마 2008/03/31 410
379430 선행이 뭔지.... 2 현이맘 2008/03/31 690
379429 토요일 하루간의 휴가..보고드립니다. 6 아들네살 2008/03/31 864
379428 로만손퍼플이라는 브랜드 아세요? 1 내 가방.... 2008/03/31 373
379427 사이즈 질문좀 할께요^^ 2 사이즈 2008/03/31 212
379426 냉장고 청소만해도 달라진다. 17 ... 2008/03/31 2,749
379425 유치원발표 1 질문 2008/03/31 302
379424 커피_와인_차 친구 구한다고 올렸었어요 4 친구구함 2008/03/31 775
379423 다이어트에 관한 몇가지 궁금한 점..(광고글 아님) 4 우울맘..ㅠ.. 2008/03/31 561
379422 견학 다들 보내시나요? 3 걱정맘 2008/03/31 755
379421 "나는 안 찍었다" 티셔츠 래요..ㅋ 20 나도안찍었다.. 2008/03/31 1,686
379420 최근 네일관리 받아보신분 계신가요? 2 초보가한건지.. 2008/03/31 564
379419 싱크대 필름지or시트지 붙이는거요~ 2 궁금 2008/03/31 723
379418 아나운서 이금희씨와 노회찬 후보 (사진) 26 오래된 미래.. 2008/03/31 8,393
379417 여유자금으로 오피스텔 투자할려고 하는데 어느 지역이 좋을까요?(일산, 강남, 서초) 4 저축돌이 2008/03/31 934
379416 핸드폰 문자 2 어머나 2008/03/31 463
379415 3월생 애들이 더 영리할까요 20 흠.. 2008/03/31 2,364
379414 요즘 초등학생들 무슨책 많이 읽나요? 2 . 2008/03/31 548
379413 장사 여전히 잘 된것 같더라구요. 17 주말 코스트.. 2008/03/31 1,784
379412 마지막 스캔들 넘 재밌어요~~~!! 12 내마스 2008/03/31 1,667
379411 시작했어요.. 다이어트(광고 아님.) 2 드디어..... 2008/03/31 507
379410 형님의 와이프를 뭐라고 부르나요? 5 궁금 2008/03/31 1,496
379409 (급질)오리털 파카 세탁 어떻게 하나요? 7 갓난이 2008/03/31 1,744
379408 임대아파트에 문의드려요... 1 임대아파트 2008/03/31 427
379407 일산 어린이 폭행 사건과 비슷한 사람을 목격했는데 8 목격자 2008/03/31 3,354
379406 집수리 안해주려는 집주인,, 입장이 궁금합니다.. 16 세입자 2008/03/31 1,722
379405 방학에 한국가서 국어학원 보내고파요... 5 외국사는 애.. 2008/03/31 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