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회창씨가 5년전에 대통령이 되었었다면 어땠을까요?

궁금 조회수 : 1,722
작성일 : 2008-01-29 20:20:05
저는 5년전에 이회창씨를 찍었고
노무현씨가 대통령 되었을때 그래 새로운 사람이 해봐도 좋겠지하고
마음속으로 지지했습니다
그런데 5년동안 집값만 오르고 제대로 정치를 못한것 같아요
지금은 또 이명박씨 때문에 나라가 시끄럽고요
첫 단추를 잘못 끼워서 계속 문제가 되는게 아닐까요?
5년전에 이회창씨가 대통령이 되었다면
이렇게 비 상식적인 많은 일들이 좀 적지 않았을까요?
저는 지금은 외국에 이민와서 살고 있어 이번 투표는 못했지만
나라 걱정이 많이 되네요
제가 사는 곳은 캐나다인데 벌써부터 이곳 기러기 엄마들은
본인들이 결정을 아주 잘했다며 힘들어 하던 엄마들도
언제 그랫냐는듯이 기분들이 좋더군요
최소한 영어만 되도 먹고 사는데 지장 없겠다며 좋아하네요
좀 나라가 정상적으로 돌아갔으면 좋겠어요
IP : 99.248.xxx.23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1.29 8:26 PM (211.59.xxx.51)

    댁이 말하는 정상이 뭔가요? 거기서 영어만 되면 먹고사는데 지장없게 되어서 기쁘시다면서요.

    첫단추를 잘못 끼웠다니........뭐가요?
    영어 공용화를 해야하는데 기러기아빠아닌 이 조국땅의 돈없는 참새, 박새아빠들이 그걸 막아서요? 정말 열통터지네...

  • 2. 윗님
    '08.1.29 8:33 PM (121.172.xxx.243)

    글을 좀 잘못 읽으신게 아닌지...
    윗분은 영어로 먹고사는게 지장없게 된다고 한 사람이 아니고 그쪽 분위기가
    그렇다고 전하는 거구요
    우리처럼 요즘의 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개탄하는 분중의 하나인 아군인 것 같은데..
    정말 요즘 2메가의 행태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일들 뿐이군요.

  • 3. 그럼
    '08.1.29 8:58 PM (61.255.xxx.64)

    찍은사람들은 대체 누구인가요 귀신들인가요

  • 4. jk
    '08.1.29 8:58 PM (58.79.xxx.67)

    글쎄요. 별 차이 없었을거라고봅니다만...

    깨놓고 말해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것은 사실 dj정권의 잘못입니다.
    이러면 또 노무현이 아무런 잘못이 없다! 이런 뜻으로 받아들이실것 같은데 아뇨. 노무현 정권이 잘못했죠.
    근데 그 씨앗은 다 dj정권이 뿌렸던 것입니다.

    이전에 없어졌지만 부동산 전매가 가능했죠.. 그걸 가능하게 만든게 dj정권입니다.
    그리고 부동산 관련 규제들을 왕창 풀어버린게 역시 dj정권이었구요.
    근데 dj정권을 뭐라고 할 수가 없는게 그때당시에는 그게 필요했어요
    imf때문에 부동산이 완전히 폭락했거든요. 그래서 부동산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 규제들을 왕창 완화시켰답니다. 그래도 dj정권때는 막상 부동산 가격은 별로 안올랐죠.

    그게 노무현 정권 이후로 미친듯이 부동산 가격이 오르게 되는데 씨앗은 모두 다 dj정권에서 심어놨던거죠.
    그렇기에 이회창씨가 집권을 했어도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건 별 차이가 없었을겁니다.

    다만 주가는 지금처럼 높지는 않았겠죠. 아마도 최고 한 1600대 아니면 1700대가 최고였고 지금보다는 낮았을거라고 생각합니다(그래도 어쨌던 사상최고치입니다)

    한나라당의 비리는 여전했을거구요(차떼기~~ 차떼기~~) 그리고 아마도 열린우리당이 제1야당이 되어서 과반수에 버금가는 의석을 가지고 있었을테죠.
    그리고 적어도 이명박씨가 대통령이 되는건 힘들었겠지요. 박근혜씨는 쫓겨났을수도 있구요(참고로 이전에 박근혜씨는 지발로 한나라당 탈당한적도 있음)

    다시 말해서 이회창씨가 집권하고 난 뒤에 다음 정권은 우리당이 가져왔을수도 있고 우리당의 인기도 지금처럼 땅바닥에 떨어지지는 않았겠죠. 반사이익도 있고 또 나름대로 우리당의 유명한 인물들도 많았으니.. 지금 대통령 당선자가 우리당이었을수도 있겠지요. (수도권 아파트를 폭등시킨 이회창에 대한 반발로 ^^)

  • 5. 그냥지날수 없는
    '08.1.29 9:04 PM (61.255.xxx.64)

    왜 이런글만 올라오면 그냥 지나칠 수가 없는 걸까요 혼자서 다 할것같이 덤비는 저 에너지야 말로 대통령이면 뭐든지 할수 있는 것인가요 그런데 왜2박기는 행정수도도 막을수 있는 막강함으로 대통령에게 대 들었잖아요 지금 지가 대통령 될건데 지가 대통령이면 못대들고 딴사람이면 대들수 있나요 무슨 ... 몇칠이면 될일을 5년동안 어쩌구 하면서 엉둥한 전봇대만 빼들면 일 을 다 잘한냥 설쳐대는 2박이 인수위는 한물간듯 횡설수설 도대체 상식이 통해야지

  • 6. 저는
    '08.1.29 9:06 PM (61.99.xxx.247)

    부동산에 더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은 세금이나 전매 규제 분양가 제한... 이런 거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거시 금융정책과 금융규제라고 봅니다. 이거 그나마 한게 2007년 초였으니 4-5년 부동산 때려 잡는다 말로는 난리였지만 사실상 방관한거죠.

    솔직히 경제면에서는 이회창이 되었어도 별 차이가 없었을 거 같구요. 금융정책 정공법으로 하기가 쉽지 않죠. 부동산 폭등해도.. 반대로 긴축 금융해도.. 욕먹기는 마찬가지..

    이회창씨가 선거 무렵에는 대북 문제에 대해서도 좌우 눈치를 골고루 보느라 의외로 전향적이었거든요? 뭐 막상 되었다면 또 어찌했을지 모르겠지만... 노통도 정말 배신이었으니까요.

  • 7. ...
    '08.1.29 9:28 PM (121.140.xxx.151)

    헉.. 첫단추요...?
    노무현대통령이 왜 첫단추입니까.... 어떤 의미에서요?
    임기 내내 자신의 실수와 잘못 몇 배 이상으로 매도되어온 대통령이지만,
    이제는 이명박 선출과 그 혼란까지 노무현 탓을 하심 정말 곤란하지요.

  • 8. ?
    '08.1.29 9:51 PM (116.124.xxx.21)

    과거에 대한 가정은 정말 무의미 하다고 봐요...
    이회창씨가 대통령이 되었음 어땠을 것 같아요?
    지구가 멸망했을 수도 있지요..무의미한 가정입니다..

  • 9. 글쎄요.
    '08.1.29 10:58 PM (121.88.xxx.64)

    노무현 대통령이 막말로 나라를 팔아먹으려다 실패한 것도 아니고....

    죄와 죄인을 구별하기가 싶지는 않지만, 그의 무능에 화가 나다가도 다른 대통령과는 비교도 안되게 즈려밟히는(?) 모습에 안쓰럽습니다.

    위에 어느분의 말씀처럼 왜 첫단추로 삼아 원없이 원망을 해대는 대상이 스스럼없이 노무현 대통령인지 도통 이해할 수 없네요...

  • 10.
    '08.1.30 7:18 AM (124.50.xxx.177)

    의미없는 생각인거 같습니다.

    그리고 윗분의 말씀에 동감이요.

    누구는 나라를 팔아먹는 수준까지도 간거 같은데..

    그때는 다 잊으신듯 하네요.

  • 11. 세상에
    '08.1.30 10:37 AM (163.152.xxx.46)

    첫단추가 노무현이었군요. 그 이전 대통령은 다들 귀신들이 집권했었나 봅니다.

  • 12. 다들..
    '08.1.30 4:30 PM (210.115.xxx.210)

    잊고 사나봐요..
    imf의 주범을..
    노대통령만큼 국민에게 자유를 준 사람이 어딨습니까?
    이제 언론이고 뭐고 찍 소리도 못할날이 한달도 안남았어요..

  • 13. 참나
    '08.1.30 7:51 PM (221.143.xxx.123)

    이것도 다 노무현 때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049 혹시 도움을 받을수있을까요?? 3 한까칠,왕소.. 2008/01/29 311
170048 돌잔치 어느 선까지 부르세요? 6 짜증나 2008/01/29 575
170047 예비소집에 다녀왔어요. 3 초등 2008/01/29 267
170046 외대 영어과 그리고 부산대 정치외교과 수석,, 어딜 보내야 할까요? 26 .. 2008/01/29 2,247
170045 님들은 작은돈을 아끼며 사시나요? 아님..사고싶은건 거의 구입하시나요? 14 고민고민 2008/01/29 1,842
170044 배꽃 이걸 변명이라고... 8 분노 2008/01/29 1,354
170043 배꽃어린이집..시인했네요 18 이걸변명이라.. 2008/01/29 3,323
170042 시댁에 가고 싶기도한데 껄끄러운 아주버님이 계세요 6 명절에 2008/01/29 806
170041 루이비통 네버풀제품 아시는분들 여쭤볼께요 4 루이비통문의.. 2008/01/29 1,088
170040 학년 학기 지난 교과서들 죄다 버리시나요 4 교과서 2008/01/29 618
170039 돌잔치에 현금 어느정도? 15 .. 2008/01/29 1,236
170038 돈 개념이 부족한 남편... 9 2008/01/29 1,031
170037 제사 6 아랫동서 2008/01/29 605
170036 어떻게 하면 기분 상하지 않게 거절할수 있나요? 17 나비부인 2008/01/29 1,462
170035 한살 어린 작은 엄마는 설이 무섭습니다. 7 소심대마왕 2008/01/29 1,065
170034 유전에 대해서 4 베어 2008/01/29 338
170033 여기서 종종 둘째가 더 이쁘다는 글 볼때면.. 21 여기 2008/01/29 1,749
170032 300만원을금리높은곳에넣고싶은데요~ 5 이자 2008/01/29 733
170031 회사에서 운영하는 구내식당 재료비... 1 맛있는밥 2008/01/29 576
170030 예전에 보티첼리 창고세일 알려주신 님께~ 8 감사합니다... 2008/01/29 1,622
170029 윗동서 딸 축의금은... 8 축의금 2008/01/29 871
170028 제가 너무 야박한 가봐요.. 7 씁쓸한 맘 2008/01/29 1,362
170027 양평 코스트코 평일에도 주차가 힘든가요? 6 우유 2008/01/29 1,330
170026 아이들이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3 황금돼지 2008/01/29 317
170025 5억이면 여자 조건, 인물 상관없이 사짜한테 시집갈수 있나요 34 친구상담 2008/01/29 5,644
170024 수제햄,,설선물해도 좋을까요? 23 소심.. 2008/01/29 796
170023 초등학교입학을 아예 안 시키겠다는데... 25 ? 2008/01/29 2,703
170022 호주, 뉴질랜드 여행을 위한 안내책자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여행 2008/01/29 109
170021 배꽃어린이집 9 분노 2008/01/29 865
170020 기숙형공립고가 어디인가요 7 공립고 2008/01/29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