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전세 세입자

전세 조회수 : 466
작성일 : 2007-10-02 17:37:50
저희가 집을 팔려고 하는데 세입자때문에 걱정이네요.

99년에 7월6일날 전세4천만원에 계약한 세입자가 말썽이네요.

마침 매수인이 있어 계약할려고 세입자한테 집을 비워줄수 있냐고 하니. 자동으로 2년씩 연장되서 2009년 7월까지 못나간다고 하네요.-지금까지 만8년 살았습니다.

저희 아버지는 어려운 사람들 뭐하러 전세금 올리냐면 99년부터 지금까지 한번도 전세금을 인상하지 않았거든요.

아버지가 당연히 그분이 비워주실줄 알고 매수인한테 장담을 하셨구요

지금 시세로는 그집이 전세가 8천5백만원정도라고 하네요.

50대 아저씨 혼자사시는데 몇달씩 집에도 없고. 약간 사기꾼 같은 아저씨 입니다.

99년에 4천만원 계약서 쓴이후로 계약서를 다시쓰거나 한적은 없고 그냥 쭉~ 세입자가 살아온 상태입니다.

이 세입자는 무조건 소리버럭버럭 지르면서 "2년씩 자동연장이라고 절대로 못나간다고 하네요"

방법좀 찾아주세요.

저희아버지는 좀 충격이신거 같아요. 어렵게 사시는분한테  도움주시면서(지금계산하니 매달45만원씩 세입자한테 주신거나 마찬가지네요) 살아온거라구 나름대로 자부하셨는데. 세입자가 이렇게 나오니 배신감같은게 드는거 같아요.
IP : 221.146.xxx.13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7.10.2 5:49 PM (211.198.xxx.72)

    제가 봐도 원글님네 사정은 안타까운데, 집주인이 만기 3개월 전에 계약 해지 통보 같은 걸 해야 한다고 어디서 들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았으면 세입자에게 권리가 있다고 들은 것 같아요. 부동산에 한번 알아보시구요.
    그 세입자를 살살 구슬러보면 안될까요? 이사비 플러스 알파 해줄테니까 나가달라는 식으로...
    아니면 전세 끼고 팔면 어떨지요? 좋게 해결되길 바랍니다.

  • 2. 원글이
    '07.10.2 6:14 PM (221.146.xxx.131)

    매수인이 전세가격을 올려주던지. 아님 세입자를 바꿔야 한다네요.

    매수인입장에선 당연히 4천5백만원이나 더 들여서 집을 사실수는 없으니까요.

  • 3. ...
    '07.10.2 6:30 PM (211.49.xxx.147)

    묵시적 계약연장으로 세입자가 살고 있는 경우라면
    무조건 2년 보장 받는게 아니라 집주인이 계약해지 통보하면 6개월이었나...
    그 안에 세입자가 나가야되는거 아닌가요?
    세입자가 계약해지 통보할경우엔 3개월이구요...
    부동산에 한번 알아보셔요

  • 4. 사랑비
    '07.10.2 7:40 PM (116.123.xxx.17)

    임대차의 묵시적갱신에 대한 오해-최광석 변호사



    부동산임대차문제와 관련해서 묵시적갱신에 대한 법률상담을 참 많이 받게 된다. 묵시적갱신이란, 임대차기간만료시까지 계약의 연장 등에 관해서 임대인이나 임차인간에 아무런 언급이 없이 임대차기간이 도과하였고, 임대차목적물을 종전과 다름없이 계속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사실 묵시적갱신의 문제는 그다지 복잡한 법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많이 오해하고 있다는 것을 상담을 통해 자주 느낀다.

    아마도 이는, 현행법상 부동산임대차의 묵시적갱신에 관해서는 민법, 주택임대차보호법,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등 여러 가지 법에서 두루 규정하고 있고, 이들 법에서 묵시적 갱신의 요건이나 효과에 대해서 각기 달리 규정하고 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점에서 묵시적갱신에 관한 정리를 간략하게 해 보고자 한다.

    이들 법규는 적용범위에 차이가 있다. 즉, 주택임대차보호법이나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경우 민법의 특별법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어, 이들 법에 규정되고 있는 내용은 민법에 우선해서 적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민법에 앞서 주택임대차보호법이나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내용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경우, 주거용건물의 임대차 전반에 대해서 적용되는 반면,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상가건물 전반에 대해서가 아니라, 상가건물 중 일정금액 이하의 환산보증금(서울의 경우 240,000,000원)에 해당하는 영업용의 상가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따라서, 묵시적갱신과 관련해서, 주거용건물의 경우에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내용을, 상가건물 중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 정한 일정금액 이하의 보증금에 해당하는 영업용상가의 경우에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고, 그 밖의 나머지 주거용 건물 이외의 건물임대차에 대해서는 민법이 적용된다. 결국, 묵시적갱신과 관련해서는, 임대차되는 부동산이 이들 3가지 법 중에서 어느 법에 적용되는지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우선, 주거용 건물에 대해서 적용되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제6조 제1항에서 ‘임대인이 임대차기간만료 전 6월부터 1월까지에 임차인에 대하여 갱신거절의 통지 또는 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만료된 때에 전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본다. 임차인이 임대차기간만료 전 1월까지 통지하지 아니한 때에도 또한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제2항에서는 ‘제1항의 경우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정함이 없는 것으로 본다.’라고 하며, 법 제4조 제1항에서는 “기간의 정함이 없거나 기간을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라고 규정되고 있다. 따라서, 묵시적갱신이 될 경우에는 임대인으로서는 2년의 기간 동안 전임대차계약과 동일한 조건으로 임대할 수밖에 없게 된다.

    반면,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보호를 목적으로 한다는 차원에서 제6조의 2에서 “제6조 제1항의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 대하여 계약해지의 통지를 할 수 있고, 이 경우에 해지는 임대인이 그 통지를 받은 날부터 3월이 경과하면 그 효력이 발생한다.”고 규정하여, 임차인에게는 2년의 구속 없이 (3개월 정도의 제한 하에서) 자유롭게 해지할 수 있는 방법을 허용하고 있다.

    한편,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상가건물의 경우, 법 제10조 제4항은 “임대차기간 만료 6개월에서 1개월 사이에 임대인이 임차인에 대하여 갱신거절의 통지 또는 조건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만료된 때에 전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본다. 이 경우에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정함이 없는 것으로 본다.”고 하고, 법 제9조에서는 “기간의 정함이 없거나 기간을 1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1년으로 본다.”고 하여, 일단 1년 동안 전임대차계약과 “동일”한 조건으로 임대기간이 연장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이후 임차인의 갱신요구권 행사에 따라 총 5년간의 범위에서 임대차기간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은 별개의 문제).

    다만, 주택임대차보호법과 동일한 취지에서 상가임차인보호를 위해, 법 제 10조 5항에서는 “ 묵시적 갱신의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 대하여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고, 임대인이 그 통고를 받은 날부터 3월이 경과하면 그 효력이 발생한다.”고 하여,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가임차인에게는 기간의 구속 없이 (3개월 정도의 제한 하에서) 자유롭게 해지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민법이 적용되는 임대차의 경우에는, 임대차기간 종료 후 상당한 기간 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묵시적갱신이 이루어지면, 기간의 약정 없는 임대차로 보고, 부동산의 경우 임차인이 해지통보하면 1개월, 임대인이 해지통보하면 6개월 이후에 해지의 효력이 발생하게 된다. 임대차기간 종료 후 상당한 기간 내에 임대차종료를 주장하는 등 이의를 제기하면 묵시적으로 계약이 갱신되지 않고 임대차계약기간종료와 동시에 계약이 종결된다. 이 때 “상당한 기간”이라 함은, 대략 일주일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5. 사랑비
    '07.10.2 8:10 PM (116.123.xxx.17)

    대한 법률구조공단
    http://www.klac.or.kr/ 문의하시면 정확한 답을 얻을수 있으리라 봅니다

    그리고 1년이내에 보증금을 증액한 적이 없으면 전세금은 올려받을수 있다고 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6394 동천 래미안 추가 당첨자입니다. 4 동천래미안 2007/10/02 811
146393 초등학생 학부형님들께 여쭤요~(댓글원츄) 4 얼마짜리 2007/10/02 808
146392 제가 이상한가요, 남편이 이상한가요? 13 우울증 2007/10/02 2,293
146391 7살 아이와 앙코르와트 여행 괜찮을까요? 7 앙코르와트 2007/10/02 565
146390 60대 분이 부르시면 좋을 노래 추천해주세요~ 1 노래 2007/10/02 172
146389 오빠결혼식 옷차림 궁금해요 6 궁금이 2007/10/02 842
146388 사업하는 남편둔 여자는 하루가 살얼름 판이구... 5 .. 2007/10/02 1,563
146387 남북 정상회담 ak 2007/10/02 176
146386 어젯밤 아파트 계약하고 왔어요 7 질렀어요 2007/10/02 1,477
146385 한의원에서 일하려면... 7 궁금해요.... 2007/10/02 1,268
146384 CMA 도 해지하면 수수료 같은게 있나요? 2 문의 2007/10/02 465
146383 남해에 있는 한실한의원 가본적있으신분 7 ^^ 2007/10/02 1,382
146382 코스트코에 파는 김치 3 궁금 2007/10/02 634
146381 출산 후 발이 시려요 3 꽁꽁 2007/10/02 426
146380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4 가을 2007/10/02 626
146379 불교와 미신은 다른걸텐데요... 12 불안.. 2007/10/02 782
146378 남자양복(까망이) 간지나는걸로 추천해주세요^^ 3 추천부탁 2007/10/02 433
146377 임신부들이 꼭 챙겨야 할 무료 혜택 2 예비맘 2007/10/02 861
146376 시누가 돌아가셨는데.... 1 자유 2007/10/02 889
146375 죄책감이 느껴지는데요... ㅠ.ㅠ 11 ... 2007/10/02 1,914
146374 일반 산부인과와 보건소 병행 어려운가요? 4 임산부 2007/10/02 334
146373 크리넥스케이스 1 요조숙녀 2007/10/02 396
146372 가스렌지 가스냄새 맡으면 머리 아프나요?? 6 가스렌지 2007/10/02 1,849
146371 관광호텔 사우나에서 안마.. 5 심란 2007/10/02 1,088
146370 영문으로 된 교수 직함 좀 해석해주세요. 8 어려워요 2007/10/02 1,324
146369 가계부 무엇이 문제일까요? 조언 좀 주세요. 11 ven 2007/10/02 882
146368 유한양행 임테기 불매운동~~~ 9 실망 2007/10/02 2,869
146367 최근에 노래방 다녀보신분 계신가요? 2 노래방 2007/10/02 380
146366 가스오븐렌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추천 2007/10/02 369
146365 머리... 1 !! 2007/10/02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