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맛없는 김치...어떻하죠?

김치.. 조회수 : 1,207
작성일 : 2006-11-21 13:25:48
누가 주긴 했는데...배추김치예요.
양념도 많이 들어가고... 맛있게 생겼는데...
맛이 없네요.
영~~
이상하게 쓸어놓아도 손이 안 가고...
냉장고만 차지하고 있어요. 김치냉장고도 없는데...김장해서 받은 김치도
넣어야 하는데....

그냥 버리자니....벌 받을꺼같고...
그냥 묵히자니...자리차지만 되고...냉장고 쓰기도  불편하고..

어떻하는 것이 좋을지요?



IP : 58.120.xxx.7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럼
    '06.11.21 1:31 PM (125.132.xxx.133)

    배추안의 부재료들어갔던것 다 털어내시고 들기름있음 그거넣어서 볶으세요.
    멸치좋아하시면 같이 넣어서 볶아도 좋구요 아니면 약간의 된장을 첨가하셔도 괜찮아요.

    아니면 그냥 김치만 들기름넣고 볶으신후에 살짝 설탕첨가하셔서 뚜껑닫고 잠시 두었다가 국물없이 만들어놓으면 반찬으로 먹기도 좋아요.

    볶는다는 의미가 김치찌개를 하는데 국물양이 거의 반정도 없다고 생각하시면서 익히시는거를 말씀드리는거예요.

  • 2. 씻어
    '06.11.21 1:39 PM (210.217.xxx.54)

    쌈 싸 먹어도 맛있어요.
    손에 냄새 나니까...싸서 미리 쌈밥 만들어 놓아, 집어만 먹게 해도 되거든요.

  • 3. 저는
    '06.11.21 1:49 PM (211.33.xxx.43)

    이번에 김장김치가 와서 김치냉장고를 다 차지해버리는 바람에 기존 김치 처리가 걱정인데..
    다 오래되고 맛도 별로거든요.
    그냥 안에 내용물 좀 정리하고 살짝 씻어서 참치랑 같이 조금씩 볶아놓을까 생각중이에요.

  • 4. ..
    '06.11.21 1:55 PM (125.186.xxx.17)

    김치만두 만드시는건 어떨까요?
    쫑쫑 썰어서 꼭 짜면 김치소비가 꽤 많거든요
    너무 번거로우실려나?

  • 5. ^^
    '06.11.21 1:55 PM (211.229.xxx.171)

    집에서 식사를 많이 하시나요??
    저희는 애들없이 둘이 직장 생활할대는 반찬이 안줄더라구요
    그런데 애들 생기고 집에서 꼬박꼬박 식사를 하니 김치도 많이 먹게되요
    집에서 식사를 많이 하신다면 한 세포기쯤 양념 털어서 물에 한번 헹궈서 물기없이 볶아드세요
    질척하면 오래두고 먹으면 맛없으니
    좀 잘게 썰으셔서 물기없이 꼭짜셔서 기름이랑 양념 넣고 무치셔서 팬에 볶아서 통에 넣어놓고 드세요
    설탕도 좀 넣으셔야 맛있어요
    이것만 있으면 김에 밥놓고 볶은 김치 올리시고 둘둘 말아먹어도 너무 맛있어요
    아니면 참치랑 단무지정도만 첨가해도 되구요
    그냥 반찬으로 드셔도 되구요
    오래 먹으려고 한통씩 볶아놔도 금방 다먹어버려요

  • 6. 저도
    '06.11.21 1:59 PM (211.221.xxx.154)

    맛없는 김치가 좀 있어서 버리긴 아깝고 어떻게든 처리를 해보고자
    양념 씻어 쌈싸먹어보기도 하고 참치랑 볶아서 먹어도 보고 전도 해먹고..
    근데요. 김치가 맛이 없으니까 뭘 해도 맛이 안 나던걸요.ㅠㅠ
    아직도 남았는데...흐미...ㅜㅜ

  • 7. 저도
    '06.11.21 2:00 PM (211.202.xxx.186)

    쌈을 싸먹거나(씻어서요~)
    다시 무쳐서 먹거나
    볶아 먹습니다.
    그럼 괜찮아요.
    그리고 속이 많이 들어있다고 하시니 밖에 두셔서 신김치를 만드셔서 김치찌개를 해서 드시면 어떠실까요?
    속이 많이 들어간 김치는 김치찌개를 하면 맛있는데..
    가장 강추는 싸서 먹는거요~

  • 8. 전..
    '06.11.21 2:28 PM (222.101.xxx.163)

    전..버렸어요... 가장 활용도가 높은 음식아이템이 김치라는걸 잘 알지만...정말 별의별짓을 다해도 도저히 맛이 없고 손이 안가는 맛없는 김치였거든요....뭘해도..아무도 손도 안대고..익히면 나을까싶어 익혀도 봤지만...그 김치들만 보면 머리가 아프고 골치가 쑤시길래 음식물 쓰레기봉투 20리터짜리 사서 싹 쓸어담아 버린적이 있네요....음식버리면 죄받는다지만 그 스트레스가 너무 힘들고 짜증나서 싹 갖다버렸더니 속이 후련하더라는........그리고 맛난김치로 다시 냉장고에 채워넣으니 낫더라구요..걍 버리세요

  • 9. 근데요
    '06.11.21 7:40 PM (220.75.xxx.143)

    김치속을 털어버리시고 밥할때 김치깔고 그 위에 불린쌀넣어서 밥해드시면 참 맛있습니다.
    속을 털었기때문에 싱거울수 있으니까 양념장 만들어서 비벼먹으면 맛있어요. 아까운 김치 버리지 마시고 밥해드세요. 또 하나, 김치속까지 좀 굵게 썰어서 냄비밑에 깔고 그위에 고등어 통조림, 혹은 꽁치통조림을 넣고 조려보세요. 생선보다 김치가 더 맛있어요.

  • 10. 몸엔 안좋지만.
    '06.11.21 10:20 PM (124.58.xxx.171)

    고추참치에 양념 조금 더해서 볶아 드세요... 김치를 넉넉히 볶아 익힌뒤 참치 넣어서 드세요. 그럼 김밥 속으로 다른것 안넣고 먹어도 맛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1134 쿠쿠압력밥솥 녹쓸었는데... 4 쿠쿠밥솥 2006/11/21 498
91133 트리 어디서 살까요? 2 크리스마스 2006/11/21 337
91132 부동산 관련 사이트 어디가 괜찮은가요? 9 궁금... 2006/11/21 920
91131 가구 리폼하면 비용이 많이 나오나요? 2 이사 2006/11/21 389
91130 세입자 내보내기 조언 주세요.. 9 똥똥맘 2006/11/21 1,192
91129 회사 준비중에 아이가 아프면 ㅜㅜ 3 속상맘 2006/11/21 443
91128 코스트코에 헹겔칼 파나요? 2 사고파 2006/11/21 544
91127 슬림-30 1 다요트 2006/11/21 401
91126 엄마 사드릴껀데, 편안한 신발(컴포트화) 어느 브랜드가 좋은가여??ㅋㅋ 10 girlor.. 2006/11/21 1,109
91125 민성원 공부캠프 보내보신분? 궁굼맘 2006/11/21 390
91124 선배맘님들 탄탄세계명작 싼곳 아시는분 계신가요(내용무) 3 제일싼곳? 2006/11/21 279
91123 어머님... 11 .. 2006/11/21 1,344
91122 일본 여행 질문입니다. 4 예희맘 2006/11/21 578
91121 기획 부동산.. 12 2006/11/21 1,098
91120 제주도를 1월에 가고 싶은데요~항공권이 그때가 비쌀까요? 4 제주 2006/11/21 617
91119 토마스가 뭔지.. 9 휴.. 2006/11/21 1,259
91118 선 본 남자 7 2006/11/21 1,441
91117 반신욕조 사려합니다. 4 888 2006/11/21 478
91116 아쿠아 진공 청소기.. 라는 청소기 사용해보신 분 계세요? 혹시.. 2006/11/21 117
91115 아이들 겨울 실내화 2 요즘 2006/11/21 398
91114 지금이라도 영어연수를 떠나고 싶은데.. 5 싱가포르 2006/11/21 762
91113 대전목동 어린이집 보내보신분 계신가요? 투민맘 2006/11/21 204
91112 코스트코에 라마킨(수플레컵) 파나요? 1 질문 2006/11/21 507
91111 아무리 퍼넣어도 안 매운 고추가루.... 5 고추가루 2006/11/21 878
91110 모태 신앙 말구요 나이 들어서 종교 가지신 분들 ? 9 그래요 2006/11/21 842
91109 국세청 환급사기 조심하세요.. 1 ... 2006/11/21 319
91108 귀에서 자꾸 똑똑 이런소리가나요. 2 .. 2006/11/21 463
91107 싸이스타 강희재씨 아세요? 요즘 카피땜에 ㅎ 3 모르는세계 2006/11/21 25,182
91106 푸에르인형 파는데 아시는분 계셔요? 2 사고파요!!.. 2006/11/21 539
91105 계약기간 전에 집주인이 집을 빼달라고 하면?? 9 잠오나공주 2006/11/21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