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물 끓여 먹기 어떻게 해야하나요?

무식하구나 조회수 : 804
작성일 : 2006-10-02 23:09:19
몇 년을 물을 끓여 먹고 살아왔는데 갑자기 오늘 똑부러지게 입장(?)정리를 하고 싶어서 여쭙니다.
검색을 해봐도 시원한 답은 없어서 도움을 청해요.
수돗물을 끓이지 않고도 마실 수 있다는 말은 안 믿습니다. 물 자체는 깨끗할지 몰라도 배수관을 믿을 수 없기 때문이지요.

1. 수돗물을 받아서 하루나 반나절을 두었다 끓이는 게 좋다는데 왜 그런가요?
냄새가 날아가서인가요?
그렇다면 침전의 문제가 아니니 끓일 때 윗부분의 물만 따로 부어서 끓이는 건 아니죠?

2. 5분 이상 끓이라는 게 맞나요?
저는 젖병 소독 냄비에 물을 끓이는데 하모니카 소리가 나면 불을 조금 줄여 뚜껑을 조금 열고 10분 쯤 더 끓이거든요.
굳이 10분까지 끓일 것도 없을까요?

3. 뚜껑을 열고 끓이라는 말도 있던데 처음부터 그렇게 하는 것은 어려우니 끓고 나서 그렇게 하면 될까요?
뚜껑을 조금 말고 활짝 열어 끓이는 게 좋은가요?

3. 티백을 넣어 마시는데요...
불을 끄고 넣는 것이 좋을까요? 신랑은 끓고 있을 때 넣는 것은 안 좋다며...
티백 포장 겉봉에 써 있을텐데 지금 찾아보니 겉봉이 안 보이네요.
모두 지퍼백에 옮겨 담고 냉장고로 직행했거든요.

글을 쓰고 보니 엄청나게 쪼잔한 사람이네요. ^^*


IP : 203.229.xxx.244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잘 모르지만
    '06.10.3 12:12 AM (211.41.xxx.109)

    수돗물 마실 때 알아두면 좋은 7가지

    1. 전날 밤에 받아둔 수돗물을 마신다
    아침에 물을 틀면 간밤 내내 파이프 안에 고여 있던 나쁜 물질이 수돗물에 녹아 흘러나올 위험이 있다. 저녁에는 그러한 성분들이 모두 쏟아져 나간 뒤이므로 아침보다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다. 저녁에 수돗물을 받아두면 소독약 냄새까지도 말끔히 날아간다.

    2. 마시기 전 3분 동안은 수돗물을 흘려보낸다
    어떤 수돗물을 마시든지 이 과정은 필수다. 아침에 받은 물이 식수로 가장 위험한 것은 물론, 낮 동안이라도 서너 시간 만에 트는 물은 반드시 흘려보낸다. 물의 낭비를 피하려면 흘려보내는 물을 대야에 받아 세탁기에 부어 재활용하면 된다.

    3. 숯은 수중 유해 물질을 흡착, 분해시킨다
    숯은 뛰어난 정수력을 지녔다. 수돗물을 받아 숯을 넣어두면 소독약 냄새도 나지 않고 물맛도 좋아진다. 또 수돗물에 숯을 넣고 끓이면 물맛이 좋아지고 잘 변질되지 않는다. 물 1ℓ에 20∼30g짜리 숯 1∼2개면 적당하다. 참숯을 한번 끓여서 말린 후 쓴다.

    4. 수돗물은 2시간 냉장 후 마시면 가장 맛있다
    미지근한 수돗물일수록 코를 찌르는 소독약 냄새가 강하다. 이 소독약 냄새는 수돗물을 냉장고에 넣어두는 것으로 어느 정도 없앨 수 있다. 수돗물이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 온도는 10∼15℃. 차갑지도 미지근하지도 않아 몸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5. 절대로 온수관의 물은 식수로 쓰지 않는다
    파이프나 연결관의 납 성분은 차가운 물보다 뜨거운 물 속에서 더 쉽게 녹아든다. 그러므로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온수는 식수, 특히 젖병 소독용이나 분유용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반드시 찬물을 끓여서 사용해야 안심할 수 있다.

    6. 물이 끓기 시작한 뒤 5분 이상 더 끓인다
    수돗물을 끓이면 소독약 냄새가 사라져 물맛이 좋아진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뚜껑을 연 상태에서 5분 이상 더 끓여야 더욱 효과가 확실하다. 그러나 염소가 없어지는 대신 잡균이 들어가기 쉬워 그때그때 마실 분량만 끓이는 것이 좋겠다.

    7. 수돗물에 차를 넣고 끓이면 생수보다 안전하다
    수돗물에 보리차나 옥수수차를 넣고 끓이면 수은, 구리, 망간, 카드뮴, 크롬 등 중금속 성분이 차에 흡착돼 그 양이 현저히 감소된다고 한다. 이렇게 끓인 수돗물을 냉장고에 차게 식혀 보관하면 수돗물내의 용존 산소량이 증가하고 세균 번식도 막는 역할을 한다.

    네이버 지식인에서 퍼왔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964 찐 생선 양념을 어떻게 하세요? 2 생선 2006/10/02 417
83963 살인사건이 있었던 집이라는데... 20 전세집 2006/10/02 3,673
83962 도우미 아주머니 월급은 얼마만에, 어느 정도 올려드리나요? 3 직장맘 2006/10/02 959
83961 허벅지밑 무릅위가 아픈데.. 2 걱정되네 2006/10/02 244
83960 아토피아가인데요..세제추천좀 부탁드려요... 5 아토피 2006/10/02 421
83959 지금...mbc 에서 감정코치교육에 대한 특집스페셜하네요 재방 2006/10/02 605
83958 새옷이 빨았는데 소매에 물이 들었어요. 교환가능할까요? 2 .. 2006/10/02 444
83957 밤중수유 끊는 문제요.. 4 밤중수유 2006/10/02 415
83956 강아지 눈물자국 어떻하면... 7 강쥐사랑 2006/10/02 669
83955 어제 칠공주 미칠이보며 ...ㅎㅎ 33 흠흠 2006/10/02 3,107
83954 루이비통 락킷 어떤지요? 2 하나 2006/10/02 2,214
83953 어느게 일반적인걸까 7 2006/10/02 1,273
83952 이젠 뻔뻔해지려 합니다 12 뻔뻔한 며느.. 2006/10/02 2,378
83951 동생이 무서워 바쁜데도 친정집에 내려가야하는 내 신세. 6 2006/10/02 1,686
83950 11 명절시러 2006/10/02 1,105
83949 키플링을 사고자 하는데요.어떤게 좋은지... 3 주책아짐 2006/10/02 622
83948 추석때 조카들한테 무슨 선물 하세요? 6 선물 2006/10/02 704
83947 밥 할까요? 말까요? 9 명절 2006/10/02 1,232
83946 돌안된 아기 비행기타도 될까요? 7 비행기 2006/10/02 463
83945 실리트(Silit) 냄비 써 보신분!!! 3 행복하게 2006/10/02 793
83944 대학동창이 놀러온다기에... 7 소곤소곤 2006/10/02 1,829
83943 사후 피임약에 관해서.. 9 .. 2006/10/02 894
83942 다리알통 세븐라이너하면없어질까요? 볼록 2006/10/02 681
83941 시부모가 시려 6 열받은 며느.. 2006/10/02 5,698
83940 중국어 작문 좀 부탁드릴께요. 8 베리 2006/10/02 330
83939 예전에 luna님이 올리신 글인데요 1 .. 2006/10/02 1,161
83938 코스트코 상봉점 다녀온 이야기. 유후~ 2006/10/02 1,831
83937 동해안 여행계획인데요..^^ 바다보이는 멋진 펜션이나 호텔 추천해주세요.. 3 궁금해요.... 2006/10/02 638
83936 동생이 여드름 흉이 너무 심해서요.... 2 제 동생 2006/10/02 703
83935 알레르기비염때문에 5 비염 2006/10/02 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