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요즘은 둘째 산후조리 어떻게들 하시나요?

둘째맘 조회수 : 475
작성일 : 2006-01-19 22:12:23
요즘 둘째를 데리고 산후조리 하는 분들이 많은가요?

첫째가 동생보는 것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고, 떼어놓을 수록 질투가 심하다고 해서..

데리고 조리하고 싶은데...어찌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두돌 터울로 출산을 해야하는데, 맘은 안잡히고 그렇네요.

첫째가 여태껏 떨어져 자 본 적이 없어요. 몇번 시도를 했지만, 실패..

요즘은 동생 보는 것이 무의식중에 불안한지 더더욱 안아달라고 앵기고 붙어다닙니다.


큰애를 데리고 집에서 조리하고 싶은데..친정 엄마는 엄두가 안나시나봅니다.

친정과 가깝다 보니, 엄마가 첫째때 다녀가시며 두집 살림하시느라 고생 많이 하셨거든요..

엄마 힘드시면 도우미를 출퇴근으로 불러서 빨래, 청소, 식사준비 도움 받을 생각도 하구요.

산후전문이 좋을지..가사도우미면 될지 모르겠지만...

둘째고 모유수유도 쉽게 한 편이라 가사도우미도 괜찮지 싶긴 한데..


시어머니께서는, 은근히 큰애가 안떨어지는 것도 서운해 하시는 것 같은데..

사람 사서 쓰면서까지 큰애 끼고 있는다고 서운해 하시진 않을지..살짝 걱정도 됩니다.

아니면, 친정엄마가 그까짓 것도 못해서 사람쓰냐고 생각하시진 않으실지..

시어머니께 맡기면...3일정도 울리면 떨어진다지만,

큰애가 받을 스트레스와 충격..맘이 짠해서 못하겠어요..


친정엄마가 봉도 아니고..친정엄마 도움 없이 도우미만 불러서 있을까도 생각하는데,

친정에서 신경도 안쓰냐고 생각하실지도 몰라서..시댁 시선도 좀 신경쓰이구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결정은 못하겠고..답답하네요.
IP : 211.212.xxx.24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같은 처지
    '06.1.19 10:22 PM (61.251.xxx.88)

    저도 담달에 둘째 출산하는데, 어쩌겠어요.
    믿느니 친정엄마요. 언니밖에 없으니...
    엄마네랑 언니네가 가까워서 둘째 데리고 조리는 엄마네서 하고 첫째는 언니에게 떠 넘기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말처럼 쉽게 될지...
    그리고 엄마 힘드니까 이틀이나 삼일에 한번은 가사 도우미 불르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 2. 크리스탄티움
    '06.1.19 10:29 PM (211.212.xxx.108)

    둘째를 완전히 떼어놓는 것은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닌것 같아요. 둘째의 충격이 심히 엄청나더라고요. 차라리 산후전문 아줌마를 집에 모셔오는 것은 어떨까요?

  • 3. 둘째맘
    '06.1.19 10:30 PM (211.212.xxx.24)

    에고......................... 슬슬 후유증이....................
    소름끼치고 춥고 속이 미식미식..........ㅠㅠ

  • 4. 산후조리
    '06.1.19 10:45 PM (222.235.xxx.234)

    전4년전이었지만,첫애..데리고,입주도우미..썼었어요.
    대부분,첫째를..친정에..맡기고,산후조리원에..들어가거나.
    아니면,저처럼,첫애..데리고,입주도우미나..출퇴근도우미..쓰는분들이..대부분이죠.
    친정엄마만,너무..고생시키는것도..그렇고.또..큰애까지..있으면,더욱이..힘들잖아요.
    저희시어머닌..당연하게..생각하시던데요.

  • 5. 예명
    '06.1.20 2:15 AM (218.239.xxx.108)

    저도 저희 큰애와 작은애24개월 차이가 납니다.
    지금 큰애는 27개월 작은애는 3개월되었꺼든요.
    저는 2주는 조리원 3주는 산후도우미를 썼어요.
    큰애는 저와 떨어져 본적도 없구 저없이는 잠도 못자는데..
    제가 조리원에 2주 들어가면서 친정에 있다 저녁에는 집으로 와서 애아빠랑 잤어요.
    문제는 조리원 들어간 2주가 지금도 후회스러워요.
    큰애가 받은 스트레스와 충격의 여파가 아직도 남아있네요.
    둘째 낳으러 가기 전까지 저희 애는 잠이 없는 아이지만 저녁잠은 푹 잘 자는 편이었는데..
    지금은 몇 번 씩 깨서 울어요.
    남편 말로는 남편과 함께 잔 2주 제가 조리원에 있는 동안 몇 번씩 깨서 엄마 찾다 울고 잠들었다고
    하더라구여.
    그리고 2주간 떨어진게 동생탓이라 생각되어서 그런지
    지금은 나아졌지만 많이 힘들어하고 스트레스도 너무 많이 받아서
    어린게 지루성 피부염까지 생겼더라구여.

    처음부터 산후도우미..출퇴근 도우미 쓰세요..
    2주 조리원에서 조리하고 3주동안 저는 산후도우미 썼는데..
    산후도우미가 집안일, 아침, 점심, 저녁도 챙겨주고, 아기 목욕시켜주고 아기 관리해주고
    가장 좋았던건..
    저희 큰애랑 많이 놀아주더라구여..
    큰애랑 산책도 가주고 큰애 많이 챙겨주면서 아기보다 더 많이 신경써주더라구여.
    아기는 신생아때는 먹고 자고 목욕하고 또 먹고 자고 하니까..
    아기랑 엄마 자고 쉬라고..
    큰애랑 놀아주고 책도 읽어주고 많이 챙겨주어서..
    조리원에서 2주동안 떨어졌던게 아직도 가슴이 많이 아파요..
    큰애와 떨어지지 마세요.

  • 6. 저도
    '06.1.20 9:59 AM (222.108.xxx.36)

    큰애 39개월이고 2달후 출산입니다. 임신하고 아이가 어리광도 많이 늘고, 그전에는 엄마를 잘 안찾았는데 꼭 제옆에서 자려하고, 안떨어지려 해서 걱정이예요. 그나마 올해 나이는 5살이되서 이달부터 어린이집에 반일반보내요. 동생낳기전에 미리 조금씩 떨어지는 연습하려구요.
    아이가 이렇게 5살이되도 동생 생기니까 나름대로 힘이든가봐요. 제친구네도 저랑 비슷한데 동생태어나고 나니 손님이라도 와서 동생한테 아는척하면 더 떼쓰고, 울고, 힘들어 한다고 그러네요.
    전 엄마도 직장생활 하셔서 산후조리를 오래는 못해주시고, 보름정도 계획하셔서 집에서 친정엄마 도움받을 생각이고 나머지 2주정도는 가사도우미 도움정도 생각하고 있어요. 큰애는 물론 데리고 있어야 하구요. 아이들이 나름대로 충격을 많이 받는거 같더라구요. 동생낳아도 큰애를 더 이뻐하고 챙겨야 동생을 챙기려 든데요.

  • 7. 현민맘
    '06.1.20 10:00 AM (58.76.xxx.56)

    저도 2주 후에 둘째 출산예정이랍니다. 큰 아이랑은 32개월 차이구요.
    처음엔 조리원 들어갈까 하다가 큰 아이한텐 심적으로 스트레스를 줄 것 같아서 산후도우미를(입주도우미 4주) 부르기로 했어요. 주위에서 조언 들어보니, 가사도우미는 산후도우미보다 저렴하지만, 말 그대로 가사 위주이지 큰 아이한테 신경을 써주거나 하지는 않는대요. 대신 산후도우미는 그 쪽으로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라서 큰 아이를 많이 배려해준다고 합니다. 어차피 조리원 들어가실 생각이셨다면 그 비용으로 입주4주 부르셔도 비슷할 것 같네요. 물론 출퇴근으로 하심 더 저렴하구요. 도우미 부르시고 친정 어머님께서 가끔 왔다갔다 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참고하세요~ ^^

  • 8. 형민짱
    '06.1.20 11:21 AM (210.94.xxx.38)

    첫째 4살때 둘째 출산 했습니다. 일단은 시어머니 눈치는 보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첫째를 많이 신경써 주세요... 저는 둘째가 좀 아파서 큰애 신경을 많이 못써줬는데 마음이 아파요. 첫째도 참 힘들어했어요.. 밤마다 둘째 젖 물리고 첫째 쓰다듬어 재우느라고 .. 어떻게 그 시간을 보냈나 모르겠네요. 하지만 엄마 몸도 위하셔야 하는 건 물론이죠. 꼭 좋은 보약이라도 드시고요. 저는 산후 도우미 부르시고 친정어머니에게도 도움 받으라고 하고 싶어요. 적어도 3주는 꼭 조리 잘 하시고요..(원래 산후 조리는 100일(?) 이랍니다 호호) 가능한 도움 다 받으시고 남편이 첫째 많이 이뻐해 줘야 합니다.. 한 1년은 힘드시겠지만 키워놓으면 형제끼리 잘 노는 무습네 흐뭇하답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449 쌀 바구미 퇴치법 아시는 분 4 ^^ 2006/01/19 262
49448 누구 라미네이트 치료 받은분 계신지요? 라미네이트 2006/01/19 180
49447 큰일났어요!! 아이가 머리에 이가... 9 머리 2006/01/19 924
49446 명절 스트레스.. 1 명절 2006/01/19 307
49445 곶감 추천해 주세요 4 설선물 2006/01/19 474
49444 친구 결혼선물 4 롤롤 2006/01/19 449
49443 식기 세척기.... 1 요셉피나 2006/01/19 428
49442 젊은 시어머니가 계셔도 제사는 며느리가 모시는 경우... 15 며느리 2006/01/19 1,431
49441 어린이집 비용 얼마나 내세요? 3 어린이집 2006/01/19 693
49440 유아교육과의 전망은요? 3 유아교육과.. 2006/01/19 458
49439 라식수술해보려고 합니다...부산지역 어느병원이 유명하고 잘할까요? 3 부산아짐 2006/01/19 171
49438 초등학교 취학통지서는 언제 나오나요 ? 6 love 2006/01/19 1,308
49437 이런 친구가 되게 하여 주소서 2 회상 2006/01/19 437
49436 저 닉네임 바꿨어요.. 4 토이(toy.. 2006/01/19 304
49435 수다떨 친구가 필요해요, 9 .. 2006/01/19 929
49434 아빠 실업급여 문의 7 ㅡㅡ; 2006/01/19 512
49433 둘째 출산후 산후조리때문에 걱정입니다. 12 우울해요.... 2006/01/19 676
49432 삔또 상하는 말.... 15 좀.. 2006/01/19 1,636
49431 보기에 민망.... -.- 7 ... 2006/01/19 1,814
49430 코스트코 포도 먹고 계세요? 8 포도 2006/01/19 1,264
49429 82에서 쪽지는 몇개까지 받을 수 있나요? 3 궁금 2006/01/19 200
49428 보험을 해지해야 할까요. 4 상담여 2006/01/19 357
49427 비밀.. 5 ... 2006/01/19 1,201
49426 출산비용 원래 본인들이 부담하는 거 아닌가요? 24 동생 2006/01/19 1,406
49425 트리몬티나 나무 도마 어디서 구입하나요? 4 꼼꼼보기 2006/01/19 347
49424 혹시 김형경의 세월 읽어보신 분 계신가요? 18 음.. 2006/01/19 1,121
49423 초등여자아이가 자꾸 거기(?)가 간지럽다네요 4 질문 2006/01/19 621
49422 어머님이 형님 눈치를 많이 봐요,,, 10 둘째며느리 2006/01/19 1,393
49421 설에 시댁에 돈 드리려고 하는데 7 명절 2006/01/19 845
49420 50대 상사 사모님 설선물 리플 플리즈~~~!!! [17]+(어제에 이어서....) 3 소스 2006/01/19 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