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황우석 신화는 가짜다'라는 분명한 목표로부터 시작한 PD수첩

KBS기자의 글 조회수 : 1,378
작성일 : 2005-12-04 21:51:30

<MBC의 '의도'와 '검증능력'부터 검증받아야.>

일방적이고 압도적인 국민여론에 맞서, 그리고 세계적인 학술지와 과학자들에 정면으로 맞서서,
저명한 과학자의 연구결과가 거짓말임을 입증하려는 MBC의 의욕만큼은 높이 평가합니다.

그러나, 같은 언론인으로서, 게다가 지근거리에서 근무하는 방송인으로서 '언론자유'의 깃발아래
MBC를 지지할 수 없음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MBC측이 취해온 그동안의 보도태도와 언행을 살펴보면, 과연 저명한 과학자를 검증할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럽습니다.
MBC 스스로의 도덕성부터 검증받아야 하지 않을까요?


우선 MBC는 더욱 솔직했어야 합니다.
담당 PD를 포함한 최근의 MBC측 관계자들의 언행과 보도내용 등을 되집어보면,
MBC는 일관되게 황우석 교수의 연구결과 자체를 신뢰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유상 공여된'(저는 '난자 매매'가 부정적인 선입견을 유도하는 부적합한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난자, 그리고 (있는지 없는지조차 몰랐던 헬싱키 선언에 위반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받은)
'연구원의 난자 제공'이 애당초 피디수첩측이 제기한 의혹의 핵심이었습니다.

국민들의 비난여론이 빗발칠 때도 MBC측은 황우석 박사의 연구 성과 자체를 의심한다는
속내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여론이 계속 악화되자, 나중에서야 황 박사의 연구성과 자체를 부정하는 의혹들을 시사하기
시작했습니다.
애당초부터 '입장을 까고' 얘기하지 않았다는 의심을 받는 대목입니다.
이는 다른 말로 하면, 입장을 숨겼다는 것이고, 정직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방송 취지가 불순하다'는 국민여론에 힘을 실어주는 빌미가 됩니다.


MBC의 취재 과정에서 문제점은 없었는가 하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선, 아주 잠시나마 취재진의 신분을 감췄다는 점입니다.
고발 프로그램의 특성상 어쩔수 없었다는 변명은 설득력이 없습니다.
엄청난 범죄의혹이 드러난 것도 아니었고, 증거인멸이나 도주의 위험성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엄청한 물리적 힘을 가진 조폭세력도 아니고, 거대 권력도 아닌데,
신분을 속이면서까지 접근했다는 점은 취재윤리에 어긋난다는 비난을 자초하는 대목입니다.

또, '강압성'취재를 했다는 일부 언론보도가 있었습니다.(이건 사실로 드러났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의혹도 명쾌하게 해명되야 할 대목입니다.
당초 MBC는 황박사의 연구 결과가 아니라 연구의 방법론을 문제 삼으며,
크나큰 윤리적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도했습니다.

마찬가지로, MBC 역시 취재의 방법론에 대해서 같은 잣대를 적용해야 합니다.
어쩐 일인지, 이 문제는 MBC의 '부인' 한마디로 그냥 어영부영 넘어가 버렸습니다.
언론 자유는 무제한으로 보장돼야 하는 성역이 아닙니다.
최소한 취재대상에 적용하는 윤리성을 취재주체에게도 적용했어야 합니다.


언론사마다 미묘한 차이가 있더군요. 정말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지만, 통념상 보수-진보의 대립이 황 박사에 대한 신뢰-불신의 대립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보수적 성향의 언론들은 황 박사의 연구 성과에 힘을 실어주면서 MBC의 보도 경위와 내용 등에
의혹을 제기하는 입장입니다.
반면에, 진보적 성향의 언론들은 과학-거대언론-정치-자본-맹목적 애국심으로 이어지는
무언의 담합의혹까지 암시하면서 황 박사에 대한 재검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같은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과 결과가 이렇게도 다를 수 있구나, 새삼 놀랍습니다.

우선 제 입장은
이번 만큼은 진보성을 자랑하는 언론들이 '모든 절대적 권위에 반대해야 한다'는
명제에 지나치게 경도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습니다.


일부언론이 끊임없이 제기하는 의혹은 어디까지나 진실이 아니라 의혹입니다.

의혹은 누구나 제기할 수 있습니다.
모든 과학적 명제와 과학적 진실은 끊임없이 의심받아 왔고 도전받아 왔고 그러면서 발전돼 왔습니다.
그러나, 이런 식의 '과학자 마녀사냥'식으로 진행돼서는 안됩니다.


지금 진행되는 것은 네티즌에 의한 피디 수첩 마녀사냥이 아니라 진보 언론들에 의한
황우석 마녀 사냥이라고 생각합니다.

물증은 없지만 심증과 정황이 있으니까 거대한 비리가 있을 것이라는 식의 정치 공세와
놀라울 만큼의 유사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언론은 보도로 얘기해야 합니다.
기자는 기사로 얘기하고, 피디는 프로그램으로 얘기해야 합니다.
그러나 지금 MBC의 행태는 '정보 흘리기', '의혹 제기하기' 등 정치인들의 언론 플레이를
연상케하고 있습니다.
MBC가 뉴스를 통해 방송한 내용도 진실의 고발이 아니라 의혹의 제기에 불과했습니다.
의혹을 일단 제기한 뒤 당사자들에게 해명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과학의 영역이 아니라
정치의 영역입니다.


저는 지금 황 박사에 대해서 모든 것을 재검증하자는 얘기는 지금까지 이뤄놓은
연구 성과를 모두 부정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MBC의 취재 제작진이 얼마나 많은 전문성이 있는지,
얼마나 전문성이 높은 과학자들의 자문을 받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모든 것을 의심하는' 언론의 자유가 제일 중요하다면, 그래서 세계적 과학자들이 인정한
연구성과를 재검증하고자 한다면, 우선 방송사 스스로부터 검증받아야 합니다.
방송사 스스로 자신들의 황박사 검증 방법이 과연 과학적인 근거와 설득력이 있는지부터
검증받아야하는 것 아닙니까?


국민여론과 네티즌, 그리고 보수언론들이 제기하는 문제는 MBC의 주장보다
더욱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MBC가 당초 황 박사의 연구성과 자체에 불신을 갖고 있다고 솔직하게 입장을 밝히고
정면돌파했다면 여론이 이런식으로 흘러가지는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MBC의 태도는 일관성이 없었습니다.
'여기 찔러보고 저기 찔러보는' 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방송을 통해 이야기하지 않고 일종의 '언론플레이'를 통해 의혹을 확산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정치인들이나 하는 짓입니다.

그러니까, MBC가 처음부터 '황박사 연구는 가짜다'라는 선입견을 갖고 접근했다는
비난이 나오고 있는 것입니다.



MBC의 첫 보도가 나온 이후, MBC를 편드는 일부 언론은 '생명 연구 윤리의 재정립'을 위해
거쳐야할 진통이자 과정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황 박사의 연구를 재검증하자고 동조하고 있습니다.
MBC의 입장변화에 발맞춰 일부 언론의 입장도 함께 동조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선입견에 의한 일방적인 편들기입니다.

MBC에 대한 비난을 '맹목적 애국심' '언론자유에 대한 침해' '자본과 과학의 담합'이라고
폄훼하는 진보적 언론도 이번에는 맥을 잘못 짚고 있다고 봅니다.
우선 MBC부터 검증했어야 합니다.
제보 경위, 제보 내용, 취재과정상의 윤리성, 검증방법의 적절성, 의혹제기의 타당성 여부 등부터
검증했어야 합니다 .

MBC스스로 밝혔듯이 황박사의 연구가 가짜라는 증거는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의심이 가니까 검증하자고 합니다.
이것은 궤변입니다.

검증하고 싶으면, 검증능력부터 공인받고 검증에 나서야 합니다.
세계적인 권위의 과학저널이 한국의 실험실을 직접 찾아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 검증을 신뢰할 수 없다는 발상도 놀랍습니다.
비전문적인 방송사가 과학적 연구성과를 검증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황박사 측의 입장을
논박하려면, 스스로의 능력부터 검증받아야 합니다.


세계적 과학저널을 불신하고, 세계적 과학자들을 불신하면서, 과학분야에 특화된 언론도 아니고
일반 언론이 과학적 연구성과를 총체적으로 처음부터 다시 검증하겠다고 나선다면,
이런 식으로 과학자들을 검증한다면 한국에서 살아남을 과학자는 없습니다.
과학하지 말란 얘기입니다.


의혹에서 시작해 의혹으로 점철돼 있는 곳에 진보언론들도 앞다퉈 의혹을 보태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궁금증을 의혹으로 덧붙이자면, MBC가 황박사의 연구 자체를 불신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점입니다.

기자는 연역적으로 취재하기도 하고 귀납적으로 취재하기도 합니다.
즉, 직관 등에 의해 결과를 예측하면서 관련 자료들을 모아가기도 하고,
취재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내기도 합니다.

연역적 취재는 고정관념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선입견과의 경계선에서
위험한 줄타기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한 취재방법입니다.
따라서 '거대 독재 권력'에 맞선다는 역사적 당위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연역적 취재방법이 개인적으로 그렇게 바람직한 것이라 여기지 않습니다.

이번 파문을 지켜보노라면, MBC의 취재 방법은 다분히 연역적입니다.
일반국민과 시청자들, 그리고 제가 보기에도, '황우석 신화는 가짜다'라는 분명한 목표부터
설정한 것으로 비춰집니다.

저는 MBC로 하여금 그러한 판단을 내리게한 배경이 정말 궁금합니다.

(덧붙임: 오해가 있을 지도 몰라서 뒤늦게 몇말씀 덧붙입니다.
저는 황우석 박사의 연구에 대해서 적극 찬성하는 입장이 아닙니다.
'난자'를 연구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 옳은지 아직은 의문입니다.
'난자'를 실험대상으로 삼는 것이 생명윤리상 옳은지에 대한 논란은 충분히 제기 가능하다고 보고,
사회적 합의를 위해서 더 많은 공개 토론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나, 지금의 논란은 그런 차원이 아닌 것 같기에 개인적인 소견을 적어보았습니다.)
IP : 219.240.xxx.4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malibu
    '05.12.4 10:48 PM (222.237.xxx.73)

    단순히 특종을 노리고 했다고 하기엔..뭔가 석연치가 않네요

  • 2. 아무래도
    '05.12.4 10:53 PM (58.140.xxx.128)

    황우석 교수를 시기하는 집단의 사주가 있었던듯 합니다...제보한 사람을 색출해서 조사해봐야될꺼 같아요

  • 3. 제보자
    '05.12.5 1:12 AM (220.76.xxx.127)

    울랄라세션, 투개월, 김도현이 끝까지 남을 것 같지 않나요?

  • 4. --;;
    '05.12.5 3:08 AM (219.240.xxx.45)

    위 글을 쓴 사람은 KBS의 나신한 기자입니다.

    YTN으로부터 취재과정부터 협박과 거짓이었다는 것이 밝혀지기 전에 쓰여진 것으로
    그의 추측이 정말 맞아떨어진 것입니다.
    현재 저런 생각이 정상적인 방송인들의 주된 생각입니다.
    MBC의 목적이 뭘까요?
    생각해보십시오.

  • 5. 창피해
    '05.12.5 11:41 AM (202.30.xxx.27)

    나라 안팎으로 이게 무슨 망신이란 말입니까

  • 6. 우둔녀
    '05.12.5 12:52 PM (58.120.xxx.84)

    아이들한테는 꼬마김밥이 더 인기인거 같아요.
    저희집 큰딸이 못먹는 야채가 많은데 요건 몇가지 안들어서 좋아하더라구요..ㅎㅎ

    엘리가 좀 귀엽죠? ㅋㅋㅋ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6634 집을 사는게 좋을까요? 아님 저축하는게 좋을까요? 22 2005/12/04 1,583
296633 전업주부님들 하루종일 뭘하고 지내시나요 10 하루가 지겨.. 2005/12/04 1,690
296632 시부모님께 처음 인사드릴때... 5 ... 2005/12/04 636
296631 답변 달아주신 모든 어머니들께 정말 감사드리고 싶어서요.. 7 Gina 2005/12/04 822
296630 제가 저희엄마 자식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죠? 2 뇌졸증 2005/12/04 881
296629 혹시 의사선생님들 계시면 꼭 읽어주세요....꾸벅. 2 냄새가..... 2005/12/04 825
296628 홍대앞 산수유요? 아님 중국집 코스 싸고 맛난 알려주시와요 궁금이 2005/12/04 92
296627 교육투자(유아때부터냐 중고등때 집중이냐?) 질문 5 초보엄마 2005/12/04 753
296626 남편이 업무 스트레스에 시달릴때.. 4 아내 2005/12/04 412
296625 어머니랑 친구분 모시고 갈만한 곳(영화, 연극, 미술관, 음식점 모두모두~) 2 질문 2005/12/04 176
296624 음악을 들으면서 가사가 좋아서....... 2 DJ 2005/12/04 502
296623 고층아파트 1 궁금이 2005/12/04 364
296622 눈이 언제 왔었나요? (서울) 1 유리공주 2005/12/04 275
296621 루이비통 모노그램 스피디 태닝 어찌하나요? 7 하얗다 2005/12/04 806
296620 면세점의 화장품 구입가격 4 이상하다 2005/12/04 600
296619 새아파트에 전세 입주하신분 안계시나요? 8 소심녀 2005/12/04 796
296618 대치동 은마나 미도 상가 업체 중 이받이 음식 어디가 좋은가요? 7 궁금이 2005/12/04 673
296617 포터블오디오 어떤걸로 사야할까요? 5 준비중 2005/12/04 243
296616 화장품 조언... 4 화장품 2005/12/03 675
296615 아이의 성적표. 7 좌절 2005/12/03 1,035
296614 초등학적부의 기록 15 입시생엄마 2005/12/03 1,055
296613 종로구 오피스텔이 궁금.. 6 입시생엄마 2005/12/03 406
296612 사과 맛있는거 어디 없을까요??? 9 사과.. 2005/12/03 1,022
296611 애가 폐렴 아닌가의심되네요 3 걱정 2005/12/03 327
296610 시집오라는 아저씨 2탄(?)-좀 길어요.. 16 심난ㅜ.ㅜ 2005/12/03 1,708
296609 풍성해보이는 크리스마스 트리는? 1 트리 2005/12/03 174
296608 외고 보낸 엄마 계신가요 13 외고 2005/12/03 1,553
296607 감수성 풍부한 남자가 좋아요 3 취향 2005/12/03 753
296606 루이가방이요~ 1 가방 2005/12/03 561
296605 가계부 어디가 좋은가요 3 아줌마 2005/12/03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