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대학 입시에서 논술이란 & 논술 공부 방법

마장댁 조회수 : 899
작성일 : 2004-10-16 02:38:21
원래 논술이란 수능에서 평가 못하는 학생들의 사고력과 배경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대학에서(특히 K대) 편법으로 본고사 대신사용하고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게 바로 고대에서 시행하고 있는 "수리논술(수학문제풀이)"과 각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논술 지문의 영어化입니다. 예전에는 보통 지문이 3개면 영어 지문이 하나였지만 요즘은 2개, 지문 4개중 2개 이런식으로 점차 그 퍼센테이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영어지문의 수준은 솔직히 꽤 영어를 잘하는 고3이라 할지라도 완벽하게 해석하기가 힘든 수준입니다. 특히 성균관대나 고대의 영어 지문 수준은 꽤 높죠.

그래서 이번에 전교조에서 고대가 편법으로 본고사를 봤다고 하는거죠.

논술 공부를 하시려면...

영어지문에 대해서는 영어 공부를...
수리논술에 대해서는 수학 공부를...
평소 영어 공부하듯, 수학 공부하듯 하면 됩니다.
왜냐면 영어지문은 해석을 해서 그 안의 뜻을 알기만 하면 되거든요. 즉, 일반 영어독해라는거죠. 수준만 높은...(영어 독해공부를 본고사 공부하듯..수능보다 높은 수준으로 공부하면 됩니다.)
수학도 마찬가지입니다.
수리 논술이란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고 그것을 마치 옆에 공부 못하는 친구한테 설명하듯 글로 잘 설명해 주면 되는겁니다.(왜 이러한 답이 나왔는지 풀이과정을 상세히 설명해주는 문제임)

그리고 논술 공부를 따로 해야 합니다. 논술 공부는 기출문제 위주로 해주세요.
자기가 지원하는 학교가 아니더라도 그 학교 수준에서 상하로 다 풀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경희대 수준을 지원한다면 카톨릭대 수준부터 고대까지 다 풀어봐야 합니다.

수시준비를 하는 고 2라면 일단 이번 겨울 방학 때 논술을 학원이든, 과외든, 메가스터디같은 인강이든 간에 시작해야 합니다.

하지만 논술은 강의보다는 선생님이 학생이 제시문을 읽고 거기서 논제를 찾고 개요를 작성하고 글을 쓰고 퇴고를 하는 전 과정을 보고 "빨간펜"으로 고쳐주는 작업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과외나 수시를 위한 소수정예 학원이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학교 선생님이 도와주심 더 좋겠지요.

참! 논술 공부할 때 학교별로 구술면접을 더 중시하는 학교도 있으니 논술과 구술면접을 같이 시키세요.

그리고 수시는 전략입니다.

또한 수시를 자신의 실력보다 더 나은 학교를 가기 위한 방편(실제로 그런 학생도 있지만!)으로는 생각하지 마세요.

정시보다는 낫겠지만 수시 합격생들을 보면 대부분 자신이 들어갈만한 실력의 대학을 들어가더군요.

열심히 하시면 수시합격도 멀지 않답니다.
그럼 어머님도 즐공!
IP : 221.138.xxx.28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024 김선곤 님 누드배 주소 아시는 분 1 수니 맘 2004/10/14 887
    24023 저녁에 뭘 먹을까? 3 하하하 2004/10/14 869
    24022 아기옷과 장난감 등등 기증할만한 곳 아시는 분~ 4 나눔 2004/10/14 913
    24021 압구정 현대 백화점 근처에 에쁜 꽃집? 9 2004/10/14 1,411
    24020 전부 무료(퍼온글입니다).유인경의 수다수다닷컴에서 5 김수진 2004/10/14 1,266
    24019 저 임신인것 같은데...요 6 예비맘 2004/10/14 1,118
    24018 영어 홈스쿨I. H.S 아시는분? 1 최지문 2004/10/14 913
    24017 [re] 답글 잘보고 쪽지 보냈어요.(냉무) 최지문 2004/10/15 935
    24016 호박고구마가 맛이....... 22 호박고구마 2004/10/14 1,642
    24015 [re] 봄봄님!~~~ 2 호박고구마 2004/10/14 889
    24014 잠이 웬수!!! 4 잠순이 2004/10/14 900
    24013 머리가 나빠서.. 4 카푸치노 2004/10/14 855
    24012 선진국은 농업도 강하다 2 왕시루 2004/10/14 888
    24011 남자의 바람은 정녕 습관입니까? 7 jill 2004/10/14 1,812
    24010 참게장 먹으려니 디스토마가 무서워서요... 5 게장백반 2004/10/14 1,127
    24009 집중력을 키우는 방법? 3 집중력꽝 2004/10/14 918
    24008 아기를 출산한지 한달가량 되었는데요.. 2 mini 2004/10/14 868
    24007 ^^ 오늘 처음 가입했어요~! 5 유후~ 2004/10/14 881
    24006 두루넷 2 스카이 블루.. 2004/10/14 883
    24005 3~4만원대 선물 5 선물 2004/10/14 952
    24004 전기 매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2 게으름 2004/10/14 880
    24003 엔돌핀 식품/식자재 질문 호리 2004/10/14 957
    24002 어제 살림돋보기의 채칼 받았어요~ 7 작은아씨 2004/10/14 1,371
    24001 배즙? 1 지앵이 2004/10/14 870
    24000 실크아미노산이란 건강식품(약) 드셔 보신분 계세요? 1 유민맘 2004/10/14 926
    23999 오늘은... 3 환이맘 2004/10/14 870
    23998 ◆ 마지막 와인강좌 공지 입니다 ◆ 2 김새봄 2004/10/14 883
    23997 갈치속젓 추천해주세요. 젓갈 2004/10/14 881
    23996 [re] 저희 아파트는 빈병까지 돈으로 바꿔와야 해요~ 2 휘발유 2004/10/14 881
    23995 반상회 다들 나가세요? 28 휘발유 2004/10/14 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