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예비 시댁에 얼마를 보내야 할까요..

ㅜ. ㅜ 조회수 : 4,564
작성일 : 2011-10-14 11:48:00

이제 상견례도 마치고 , 예단 이랑 혼수준비해야하는데요..

 

예단 보낼때  삼총사+ 현금예단 요렇게 하는게 보통이라고해서,,

준비하려구하는데요 ,,

 

현금예단 어떻게 해야하나요 ? 요즘 보통이 1000이라고 하던데 ..

 

 

저는 지방대 나와서 서울에서 대학원 다니면서 회사 다니구있구요 ..

예비 신랑은서울대 나와서 서울대 박사과정 밟고,, 이제 지방대 교수로 막

취직되서 내년부터 수업하거든요 ㅠ ㅠ

 

 

 

아무래도 1000 + 알파 해야겠죠...

 

 

너무 어렵고 힘드네요 준비하기..

 

IP : 61.82.xxx.3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애플이야기
    '11.10.14 11:49 AM (118.218.xxx.130)

    보통 그정도 하더라고요 하지만 내 형편에 맞추어서 해야지 무리할 필요까지는 없지 않을까 싶어요

  • 글쓴이
    '11.10.14 11:50 AM (61.82.xxx.3)

    아 그럼 그냥 보통 하는대로 하면 될까요!?
    남친 직업때문에..자꾸 더해야하나..하고 해서요 ㅠ 아무래도 좀 부담되는건 사실이에요..

  • 2. ...
    '11.10.14 11:50 AM (175.119.xxx.38)

    집을 어떻게 마련하냐에 따라서 결정되는것 같아요...
    그런 정보를 안주셔서 답변 드리기가 애매하네요.

  • 글쓴이
    '11.10.14 11:54 AM (61.82.xxx.3)

    아 집은 전세로 광명쪽에 얻어주시기로 하셨어요..
    1억 5천정도요 ..

  • 3. 저도애매
    '11.10.14 11:53 AM (222.238.xxx.247)

    집얘기는 없으셔서......글에쓴 상황봐서는 적은것같은데.....

    2억5천 전세얻어주셨는데 현금1500 예단삼총사 시어머님 명품백 해드렸어요.

  • 4. ,,,
    '11.10.14 11:55 AM (110.13.xxx.156)

    요즘은 집값이 너무 올라서 원글님이 집값 보테면 그정도 하시구요
    남자가 다 하면 예단 요즘 이천정도 합니다. 남자 고만 고만해도 예단 천정도는 가는게 보통같아요
    결혼이라는게 내형편에만 맞춰서 하면 코다쳐요. 남자들 내형편이 3천이라고 3천들고 장가가면 평생 말듣잖아요 시부모도 원망하고 상대 형편에 비슷하게 맞추세요

  • 5. ...
    '11.10.14 11:57 AM (122.42.xxx.109)

    여자가 예단할 때 무리하지 말고 형편에 맞추어서 할 것 같으면 남자도 무리해서 집마련할 필요없어야죠.

  • 6. 아들가진
    '11.10.14 11:58 AM (112.151.xxx.168)

    엄마로 이런얘기 들으면
    여자들이 집값의 반만이라도 했으면 합니다.
    자기는 안하면서 시댁서 안해주면 난리난리...
    이중잣대는 그만~

  • 7. 보통은
    '11.10.14 11:59 AM (222.106.xxx.110)

    집값의 10%가 예단의 최소 커트라인입니다.
    원글님 같은 경우는 적어도 1500.... 하지만 남자분 직업이 있으니 2천은 하셔야 나중에 뒷말 안나오시겠네요.
    자꾸 힘들다 힘들다 하시는데, 몇천이 힘들면 수억은 얼마나 큰 돈이겠습니까.
    정 무리시면 차라리 집을 작게 받으세요.
    받는건 괜찮고, 하는건 부담이신건 아니겠죠..? ^^;;;

  • 8. ,..
    '11.10.14 12:09 PM (59.9.xxx.175)

    집값 생각하면 1500은 적어도 해야 되는 것 같고
    직업이 저러니 2천 플러스 알파로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9. 딸만가진
    '11.10.14 1:01 PM (168.154.xxx.55)

    위에 댓글 다신거 보니..여자들이 집값 반이라도 했으면 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결혼하고 시댁 갈때 친정도 가고 명절에도 똑같이 친정과 시댁을 공평하게
    하는것도 당연히 생각하신거죠?

    아직 아이들이 어리지만 정말 이런 계산하고 주고받는 우리나라 결혼풍습좀
    빨리 해결되기를 바래봅니다.

  • 저도 딸가진 엄마인데요
    '11.10.14 1:17 PM (222.106.xxx.110)

    꼭 이런 댓글 달리는데요.. 그렇게 하나하나 다 따지실꺼면 원론적으로 앞으로 이 원글님이 버실 수입과 대학교수인 남자분의 수입( 연금 사회적 평판)까지 다 따지셔야 합니다.
    솔직히 여자들이 대부분 자기보다 잘 버는 능력있는 남자랑 결혼하는데, 결혼비용이라도 반반해도 절대 여자에게 손해 아니라고 생각해요. (요즘 시댁살이 고되게 하는 경우도 거의 없고(저도 며느리 입장이지만), 엽기시댁 만나는 그런 특이 케이스 빼면요. 다들 나름 평등하게 시댁과 친정 조율하며 삽니다. 82엔 힘든 분들만 글을 올리니 마치 그게 일반적인 것처럼 보이지만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결혼비용도 남자가, 경제적인 책임도 남자가 다 지는 경우에 시집살이 좀 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러면 또 자기는 반반했는데, 시집살이한다는 댓글이 달리는데요, 그건 또 예외죠...)

  • 그리고
    '11.10.14 1:20 PM (222.106.xxx.110)

    여자가 집을 전적으로 해왔으면 좋겠다는 것도 아니고, 비슷하게라도 부담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왜 계산적이라는 말을 들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저도 같은 여자지만, 오히려 혼사에서 주판 치밀하게 튀기는건 우리 여자들이 아니던가요? 여자들이 주판을 튀기는건 당연히 정당한거고, 남자들이 같은 행동을 하면 욕 먹는 일이 되나요? 대한민국은 남자도 여자도 불쌍합니다. 제발 한쪽 탓만 하는 풍습은 이제 제발 그만 봤으면 합니다.

  • 일단
    '11.10.14 1:43 PM (175.117.xxx.132)

    혼수/집값 반반 대고... 예단 안보내고
    그러면 여자가 할말있겠죠.

    그런데 어쨌거나 이혼불사해야 한다는거죠.
    여기서 말하는 좋은게 좋은거다라는 마음으로 살면 다 소용없음

  • 솔직히
    '11.10.14 2:20 PM (113.199.xxx.33) - 삭제된댓글

    결혼하면 여자들 친정 자주가지 시집 자주가나요
    그놈에 명절 제사 타령좀 하지 맙시다
    평소에 친정분들과 더 어울리거 사실 이면서
    그 일년에 몇차례 시집가는게 대수라서 이러세요
    그리고 요즘 누가 시집살이 한답니까?
    그러니 결혼도 어느 한쪽만 너무 부담을 주면 안된다는거지요

    남자가 거의 다 장만하고 시작했어도 여자들 시집에 충성?하나요
    천만에죠....

  • 10. 정확히는
    '11.10.14 2:06 PM (150.183.xxx.252)

    양가에 아무도움 안받는게 정답이죠.
    그리고 명절 제사 이런것도 프리하게.

    뭘 복잡하게 따지나요?

  • 11. ,,,,
    '11.10.14 2:40 PM (125.177.xxx.12)

    근데 기본 삼총사가 뭔가요??

  • 그거이
    '11.10.14 9:36 PM (14.33.xxx.99)

    반상기(요즘은 유기반상기 많이해요)이불 은수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871 여야 원내대표, 한미FTA 통과 뒤 ISD 재협상 추진 15 세우실 2011/10/31 3,044
33870 아이허브 사이트에서 모르고 주문 눌렸는데 자동 결제 되버렸나봐요.. 3 2011/10/31 2,389
33869 역시 자식사랑은 엄마 맞나봅니다~ 14 오드리 2011/10/31 3,815
33868 머그컵 어디꺼 사용하시나요? 6 살빼자^^ 2011/10/31 3,169
33867 오늘이 한명숙 전 총리님의 법원판결이 있는 날입니다. 2 ^^별 2011/10/31 2,432
33866 미니 튀김기 쓰시는 분 계시나요? 5 살림살이 중.. 2011/10/31 7,583
33865 무청으로 시레기 만드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3 시레기 2011/10/31 4,739
33864 스페인 빵 중에 을 뭐라고 읽나요? 4 ... 2011/10/31 2,974
33863 14k로 된 펜던트 고리만 파는 곳 있을까요? 4 궁금이^^ 2011/10/31 2,612
33862 1시 결혼식 끝나고 경복궁 다녀오기 괜찮을까요? ^^; 7 궁금 2011/10/31 2,568
33861 [보도자료] 한미FTA 여야정 합의문에 대한 민주노동당 입장 13 참맛 2011/10/31 2,495
33860 상조회사 어느 곳이 좋은가요? -추천해주세요. 2 알려주세요 2011/10/31 2,703
33859 좋은 인상 1 웃자웃자 2011/10/31 2,616
33858 책에 관심없는 아이 엄마가 노력해 성공하신분 계신가요? 5 독서 2011/10/31 2,891
33857 시금치는 잎만 먹나요?? 3 저녁메뉴 2011/10/31 2,176
33856 임신하고 싶으신 분들 우리 사무실로 오십셔~~ 7 당황스럽네 2011/10/31 2,992
33855 나꼼수 관객들 “재미와 진실을 현장에서 보고 싶었다” ^^별 2011/10/31 2,012
33854 한미FTA 광고에 참여정부 홍보참모들 뿔났다. 3 ^^별 2011/10/31 2,286
33853 말없이 군대간 아들 이야기 다음 메인에 떴네요 bl 2011/10/31 2,605
33852 눈찢어진아이는 오버 맞다고 봐요. 17 흠.... 2011/10/31 3,855
33851 미성년자가 집주인인경우 확정일자를 못받나요? 2 옆집 2011/10/31 2,749
33850 성북동고대병원 근처 1박할수잇는 모텔이나 숙박 추천해주세요 6 audi 2011/10/31 2,789
33849 이정희 의원님이 한미 FTA '여야 서명' 한거 맞대요 7 을사조약 2011/10/31 2,793
33848 박원순 "시민들로부터 협찬받아…계속 그렇게 살렵니다" 6 세우실 2011/10/31 3,119
33847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1 비와외로움 2011/10/31 1,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