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애들은 직장인이 되었는데도 왜 출가할 생각을 안할까요ㅠ
외국은 자녀가 성인 되면 무조건 출가하나요?
1. ㅇㅇ
'25.11.22 9:40 AM (211.193.xxx.122)독립
왜 외국 따라해야되죠?2. 원글님이
'25.11.22 9:43 AM (175.124.xxx.132)아이들을 잘 챙겨주시나 봐요. 부모 그늘이 좋으니 떠나기 싫은 게 아닐까요..
3. ㅇㅇ
'25.11.22 9:44 AM (211.234.xxx.249)대부분 그렇긴해요
4. 대부분
'25.11.22 9:47 AM (118.235.xxx.187)그렇죠. 우린 다해주고 그쪽은 유아들도 양말도 본인이 신게 기다려줘요. 한국은 한가족 우리둥지 미국은 일단 독립을 기본으로 생각하고 키워요
5. 일본
'25.11.22 9:58 AM (118.238.xxx.137)현재 도쿄에 거주중인데요. 점점 부모랑 같이 사는 성인 자녀가 늘고 있다는 방송 봤어요.(일본 방송) 20,30대 반정도에 달한다고, 특히 집세 비싼 도쿄는 더 높구요.
6. ...
'25.11.22 10:25 AM (14.52.xxx.22)아는집 돈벌면서 월세도 같이내고 외식하면 본인밥값은 본인들이 낸다고....
돈 많은집은 고등 때부터 bmw 타고 다니고 돈 타서 써요.7. 외국? 나름인데
'25.11.22 10:37 AM (183.97.xxx.222)동서양의 문화의 차이와 경제적인 문제에 달린거예요.
우리나라는 아이를 낳으면 서너살까지 끼고 자는 문화서부터 좀 자라서 유치원, 초등,중.고에 가도 사사건건 부모가 자녀의 학교일에 나서고 간섭, 집착하죠.
서구권 애들은 반대로 아무리 울고 발버둥쳐도 아이방, 아이 침대에 따로 재우고 서너살된 아이가 길 가다가 넘어져도 부모가 뛰어가 일으켜 주지도 않고 스스로 일어나도록 하는등 개인주의 문화에 기인되어 있고 독립심을 키워주고 대부분은 고교 졸업하면 성인이니까 니 인생 니가 알아서 살아라 식인데 독립하기엔 경제적인 이유로 부모집에 빌붙어 사는 경우도 많은데 아무래도 사회적인 시선이 좋친 않아요.8. ...
'25.11.22 10:42 AM (71.184.xxx.52)미국 같은 경우는 대학교 1학년 때는 많은 학교들이 기숙사 생활이 의무사항이어서 저절로 독립하게 되요. 2학년 때부터는 마음 맞는 친구들이랑 같이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9. 제가
'25.11.22 10:46 AM (221.149.xxx.157)잘못 알고 있는 건가요?
출가는 속세를 떠나 종교에 귀의하는걸 뜻하는 말이 아닌지..
일반적으로 독립이라 하는것 아닌지요10. ㅇㅇ
'25.11.22 10:59 AM (106.102.xxx.251)대학교가 대부분 집을 떠나서 다녀야 하잖아요
직장도 그렇고요
그러니 고등학교 졸업후 집을 나와 독립해야 하는 환경이죠
집 안떠나고 고향에서 즉 시골마을에서 계속 사는건 찌질이들일
경우가 많죠
미국영화에 많이 나오잖아요
하이스쿨때 인기없었던 주인공이 명문대 진학후 오랜만에
고향에 오니 학교다닐때 인기 최고였던 동창이
고향에 남아 식료품점이나 주유소에서 일하는 쭈구리가
되있더라
그래서 격세지감 느끼는 장면요
미국도 성공하려면 대도시로 나가야 하고 그때부터
부모와 독립해서 살아가는거죠11. ㅇㅇ
'25.11.22 11:01 AM (106.102.xxx.251)우리나라는 집에서 학교 다니고 직장다닐수 있으니
결혼전까지 부모랑 사는게 더 많았죠
결혼도 20대때 하니까 졸업후 몇년만 부모랑 살면됐죠12. 아이 참
'25.11.22 11:16 AM (189.203.xxx.227)자꾸 미국 기숙사 얘기하는 분들,
그게 독립입니까?
그게 이 문맥에서 출가입니까?
기숙사, 밥값, 컴값, 책가뵤, 마차라떼값..그거 다 누가 내나요?13. 낙동강
'25.11.22 11:20 AM (210.179.xxx.207)나라가 크니까요
14. 그게
'25.11.22 11:21 AM (70.106.xxx.95)서구에서는 만으로 18세이상인데 부모님 집에서 살면 찌질이 루저라고
보는 이미지가 강해요.
왠만하면 그맘때 대학가서 따로 살고 방학때만 오다가
대학졸업하면 직장 구해서 집 밖으로 나가고 여친남친 생기면 동거하다 결혼- 이 어지간한 사람들의 루트니까요.
근데 최근엔 서양에서도 경제난과 구직난등으로 부모님에게 독립안하고 성인된이후에도 부모님 집에 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고는 해요. 그래도 아직도 남자가 여자를 집으로 오라고 할때 집에 부모님이 있으면 여자가 질색하고 도망가는 내용이 영화나 드라마에 나와요. 한심한 놈 이러면서.15. ....
'25.11.22 11:38 AM (71.184.xxx.52)자꾸 미국 기숙사 얘기하는 분들,
그게 독립입니까?
그게 이 문맥에서 출가입니까?
기숙사, 밥값, 컴값, 책가뵤, 마차라떼값..그거 다 누가 내나요?
물론 경제적인 면까지 포함하는 완벽한 독립은 아니겠죠.
하지만 스스로 내 생활의 모든 것을 컨트롤해야 하는 독립의 첫 발걸음이에요.
만 18세부터 그것을 시작하니까, 그 이후로 계속 내 상황에 맞게 삶을 변주하면서 사는거죠.
그후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거의 없어요.
그리고 보통 운전면허증 획득하는 고등학생 시기부터 보험료는 자신이 벌어서 내는 것으로 가르칩니다.
대학 2학년부터는 기숙사 생활 할 수 없으니까, 파트 타임해서 월세는 자기가 부담하는 경우도 많고요.
저는 매사츄세츠에서 유학하고 지금도 같은 주에 사는데, 다른 곳은 말씀드릴 수가 없지만 여기는 그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