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다음 가상 편지를 쓴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우리 학생들에게
만약 삶이 너무 힘들고 지친 나머지 스스로 삶을 마감하려는 누군가가 있다면 어떤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사람은 그 행위가 자신에 대한 의무에 어긋나지는 않을까 물을 수 있는 이성을 지닌 존재입니다. 남은 인생이 쾌적함보다 해악의 위험이 크다는 이유로, 자기 사랑의 관점에서 이쯤에서 삶을 단축하겠다는 원리를 준칙으로 삼을 수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여기서 그 사람은 스스로에게 물어야 합니다. 과연 이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될 수 있을까? 힘겨운 상태를 벗어나려는 목적으로 나 자신을 저버려도 될까? 견딜 수 있으면 인생을 살고, 견딜 수 없으면 인생을 버린다면, 견딜 만한 상태로만 자신을 보존하기 위한 한낱 수단으로 자신의 인격을 이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에게 말해 주세요.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하나뿐인 사람. 포기하고 싶어도 포기할 수 없고, 포기해서도 안 되는 사람. 그가 바로 당신이라고 말해 주세요.
① 쾌적함과 해악의 크기를 비교하여 보편적 법칙을 수립해야 한다.
② 자기 보존을 위한 노력은 자신의 인격을 수단으로만 대하는 것이다.
③ 자기 사랑의 원리에 근거한 준칙이 의무에 부합하는 경우는 없다.
④ 인간은 자신의 인격성을 포기해서는 안 되는 존엄한 존재이다.
⑤ 인간은 자기 사랑을 목적으로 도덕 법칙을 수립하는 이성적 존재이다.
ㅡㅡㅡㅡㅡㅡ
칸트 이야기인 것 같네요.
수험생 아니라 지금 힘드신 분들도 마음에 담아두세용
정답은
9빼기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