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건축사가 5급상당 박사급인가요?

ㅇㅇ 조회수 : 1,446
작성일 : 2025-11-10 14:53:29

아래댓글에 5급상당 박사급이라고 해서..

건축사 까내리려는것은 아니고 직장다니면서 몇년 공부해서 건축사 따는걸 여러번봐서 그래요. 그정도급인가요?

IP : 211.234.xxx.125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11.10 2:55 PM (1.239.xxx.246)

    맞습니다.

  • 2. ...
    '25.11.10 3:01 PM (211.246.xxx.186)

    같은여자가 계속 질문 올리는갑네

  • 3.
    '25.11.10 3:11 PM (117.111.xxx.170)

    챗지피티한테 물어봤어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급 건축사 시험 난이도는 5급 공무원(국가직)보다 더 어렵다고 평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두 시험은 성격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단순 비교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공통점
    • 둘 다 합격률이 매우 낮고,
    수년간 준비하는 수험생이 많음
    • 전문성·집중력·체력 모두 요구

    ???? 체감 난이도 비교
    • 1급 건축사는 실무 경험이 있어야 통과 가능한 전문 실기시험이라
    단순 공부로는 어려움.
    “지식 + 경험 + 응용력 + 시간 압박”이 모두 필요합니다.
    • 5급 공무원은 대학 전공 수준 이상의 이론·암기력·논리력이 요구됩니다.

    요약하자면

    ???? 5급 공무원은 “두뇌 싸움”
    ????️ 1급 건축사는 “경험과 기술의 싸움”

    둘 다 국가 최고 수준의 시험이라, 일반적으로 “1급 건축사는 5급 공무원급 난이도 이상의 전문직 자격”으로 인정받습니다.

    1급 건축사(한국 건축사 기준)의 연봉에 대해 명확·공식적으로 공개된 평균 자료는 많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참고 가능한 정보들이 있습니다.



    ✅ 참고할 수 있는 자료
    • 기사에 따르면 한국의 건축사 평균 연봉이 약 1억 1,900만원이었다는 조사 결과가 있습니다. 
    • 하지만 이 수치는 “건축사 전체 평균”이고, 경력·사무소 규모·개업 여부 등에 따라 매우 큰 편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또한 “1급”인지 “2급”인지, 또는 개업자(사무소 대표)인지 직원인지 등에 따라 수입이 많이 다릅니다.



    ⚠️ 고려해야 할 사항
    • “1급 건축사” 자격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신입 경력 초기라면 수입이 적을 수 있고, 반대로 대형 설계사무소의 대표이거나 개업을 통해 설계 수주를 많이 받는 경우 상당히 높은 수입을 낼 수도 있습니다.
    • 수주 건축물의 규모, 설계비 수준, 운영하는 사무소의 규모, 프로젝트 수, 지역 등이 연봉에 큰 영향을 줍니다.
    • 공개된 평균만으로 “1급 건축사 = 연봉 1억”이라고 일반화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 예시로 보는 현실적 수입
    • 개인사무소(3~5년차): 연매출 1.5억, 순수익 약 6천만 원
    • 중견사무소(직원 10명 내외): 연매출 10억, 대표 순수익 2억 내외
    • 서울 강남권 고급주택 전문사무소: 한 건당 설계비 3천~1억 원
    • 공공건축 중심 사무소: 공모 수주 3~5건 시 연매출 7억 이상 가능
    • 리모델링 전문 사무소(고급 인테리어 중심): 수익률 높지만 불안정

    ???? 수익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프로젝트 규모 – 단독주택보다 관공서, 학교, 복합건물일수록 수익 큼
    2. 입지 – 서울·수도권은 단가가 2배 이상
    3. 대표의 경력 및 명성 – 경력 20년 이상이 되면 고급 고객층 유입
    4. 수주 방식 – 공모전 당선, 건설사 협업, 입찰 등
    5. 운영 효율성 – 인건비와 외주 관리에 따라 순이익 크게 차이


    ⚖️ “건축사무소는 수익보다도 브랜드화와 네트워크 구축 후 폭발적 성장이 가능한 업종”입니다.
    초창기엔 어렵지만, 10년 이상 경력 + 신뢰 구축 후엔
    전문직 중에서도 상위권 수입을 올릴 수 있습니다.

  • 4. ㅇㅇ
    '25.11.10 3:14 PM (116.89.xxx.138)

    건축학과 나오면 건축사되는거 아니었나요? 시조카가 건축학과 나와서 현재 건설현장에 소장?으로 나가던데..

  • 5. ...
    '25.11.10 3:29 PM (211.235.xxx.49)

    건축학과 나오면 일단 건축기사 부터 따는걸로 알아요
    건축사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 6. 빙그레
    '25.11.10 3:33 PM (122.40.xxx.160)

    건축기사 건축사 건축기술사.
    용어가 비슷해 전문가나 관심쪽 일하는 사람들은 정확히 알지만 일반인은 몰라요.
    이세개가 완전 다른 수준이라는것을.
    레벨 자체가 다릅니다.

  • 7. 윗님
    '25.11.10 4:09 PM (211.230.xxx.41)

    건축사, 시공시술사, 구조기술사죠.
    분야가 다름
    건축기사는 학부 재학중에도 따고요.

  • 8. 와우
    '25.11.10 4:16 PM (211.170.xxx.35)

    건축사 5급상당 박사급이라고 생각합니다~

  • 9. 현직 건축사
    '25.11.10 4:35 PM (14.51.xxx.251)

    건축사는 2027년부터 5년제 건축학과 졸업자만이 실무경력 후 시험 볼 자격이 주어집니다.
    내년까지는 1차 예비시험 통과자들(4년제, 전문대 졸업 후 5년이상 경력자)이 볼 수 있고 합격률은 10%정도입니다
    건축사는 설계, 감리, 설계의도 구현을 할 수 있는 법적 자격증으로 건축 인허가를 할 수있는 권한이 유일하게 있습니다. 요즘 TV에 건축가라고 나오시는 분들은 자기 이름으로는 건축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옛날에 별정직으로 건축사를 구할때 5급 대우라고 들었습니다.

    시공기술사는 4년제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여 시공쪽으로 업무를 하는 사람들의 최고 자격증이며, 기사자격증과는 비교할 수 없습니다.

    건축 구조 기술사는 구조설계 부분의 자격증으로 1년에 10명도 합격이 어려우며, 구조기사자격증은 없습니다

    이상 현직 건축사가 설명드립니다

  • 10. ....
    '25.11.10 5:09 PM (58.29.xxx.4)

    근데 애초에 응시자들 풀이 다르지 않나요.
    5급 지원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스카이 적어도 서성한 정도이고 문과 최고 인재들이고
    건축사은 일단 건축과나 건축학과? 그 정도 과 안에서만 응시하니까 응시자들 실력을 비교하기가 어렵지 않나요

  • 11. ㅇㅇ
    '25.11.10 5:16 PM (104.28.xxx.51)

    건축사는 아니고
    건축기술사가 박사급이죠
    본래 ㅇㅇ기술사가 박사급이고
    은행에서도 전문직군으로 분류되어
    전문직대출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030 검찰총장 언제 뽑나요. .. 18:32:28 22
1772029 대장동 1차 수사팀 "항소 논의 패싱"…검사들.. 여유11 18:32:26 32
1772028 절임배추 안 사고 8포기 샀는데 느무 좋아요 풍족 18:31:15 110
1772027 2어번… 1 맞춤법 18:29:02 52
1772026 국민연금에 이어 분리과세까지 1 .. 18:28:42 148
1772025 매달 100만원씩 1 돈모으기 18:28:15 227
1772024 스텐프라이팬 뭐가 좋아요? 1 18:27:42 49
1772023 위메프 결국 파산 선고 내렸네요 ........ 18:26:54 185
1772022 달걀말이에 양파 다져서 넣었더니 2 .. 18:23:03 524
1772021 절인배추 공장 사장님은 "절대 암 사는 1가지".. 1 김장철 18:20:43 641
1772020 저 어제 무쇠 롯지 깨 먹음요 ... 18:20:16 155
1772019 수능선물.. 4 Cc 18:18:16 180
1772018 김혜성 사태는 김선생 아버지까지 창과방패의 지지않는 싸움이네요 10 ㅓㅏ 18:17:59 318
1772017 김용민 의원 “추경호 체포동의안 표결, 이번주 내로 해야“ 5 ㅇㅇ 18:14:43 289
1772016 퇴직연금 일시금 안 되고 연금만 되는게 내년부터 시행되나요? 2 18:11:14 320
1772015 이번주 왜이리 안가나요 5 ㅜㅜ 18:08:58 382
1772014 냉수육(10분 삶고 1시간 숙성) 냉장고에 1 냉수육 18:00:40 242
1772013 나이들수록 점점 예뻐지고 있어요 14 ㄱㅎㄹ 17:59:57 1,346
1772012 온라인 쇼핑몰 환불 불가 상품 구매햇는데 환불 방법 좀 제발 알.. 4 17:58:49 316
1772011 26년의 집념 남자 대단하네요 ㅠㅠ 2 .... 17:54:17 1,223
1772010 스타우브무쇠 2 17:51:50 343
1772009 고려대서도 '집단 커닝' 발각됐다…원격 부정행위 방지 시스템 '.. 6 ... 17:47:22 783
1772008 순두부 유통기한이 오늘까지인데요 5 ㅇㅇ 17:46:14 289
1772007 속눈썹 눈에 들어가는데 노화? 질병? 1 ... 17:38:45 273
1772006 스래드에서 주식 종목 알려준다는거요 6 ..... 17:37:57 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