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시누이 아들의 아들 돌잔치

do 조회수 : 5,655
작성일 : 2025-11-02 15:07:36

오늘 오전에 시누이가 전화가 와서

저에겐 시조카의 아기 돌에 놀러오라고 해요.

이전에 얘기할때 시누이가족과 사돈가족 해서 

하기로 했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는데

아이가(시조카) 부페를 30명 예약해서 

부담없이 올라고 하는데 ㅎ 

금반지를 하긴 부담이고

시조카의 아들 돌때 어떻게 해야할지.

현금으로 한다면 얼마가 적당할지.

남들은 얼마나하는지 물어봅니다

제겐 시누이 아들의 아들 입니다 ㅋ

 

IP : 182.161.xxx.45
3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1.2 3:12 PM (1.235.xxx.154)

    부부가 가실거 같은데
    50은 하셔야할거 같아요
    제 시조카는 부담이라고 양가 직계만 모였대요
    저는 그래도 자주보는 사이라서 30 줬어요

  • 2. 30
    '25.11.2 3:14 PM (112.162.xxx.38)

    정도 하면 되지 않을까요?

  • 3. ...
    '25.11.2 3:16 PM (211.198.xxx.165)

    30 주면 될거 같아요

  • 4.
    '25.11.2 3:16 PM (1.176.xxx.174)

    가까운 가족끼리 돌잔치하면 되지 시누이의 아들의 아들. 흠
    안 가도 되는 사이 같은데 초대했다니 20이나 30.
    제기준 50은 너무 오버.

  • 5. ..
    '25.11.2 3:16 PM (39.7.xxx.48)

    직계인데 반지도 안하는데
    50은해야죠
    저는 여동생 애 돌 50했어요

  • 6. ..
    '25.11.2 3:17 PM (39.7.xxx.48)

    시누이 아들에 아들이면 30

  • 7. ...
    '25.11.2 3:22 PM (122.35.xxx.170) - 삭제된댓글

    동생 아이 돌이랑 조카 아이 돌은 다르죠
    조카의 아이 돌은 30 이면 무난해보입니다

  • 8. Aa
    '25.11.2 3:23 PM (211.201.xxx.98)

    그냥 조카의 아들인건데
    시누이 아들의 아들.이러니까 꽤 멀게 느껴지네요.
    하기에 따라 멀수도 가까울수도 있는 사이.
    부부가 가시면 30정도.
    좀 아깝다 싶으면 20도 괜찮아보여요.

  • 9. ....
    '25.11.2 3:23 PM (223.38.xxx.182) - 삭제된댓글

    30.

  • 10. ..
    '25.11.2 3:24 PM (210.178.xxx.60) - 삭제된댓글

    직계 아니에요.
    위에 여동생애돌에 50한거는 적당하고 여기는 조카손자잖아요.
    달라요.
    부부가면 30해야할건데 요즘 돌잔치 욕먹으니 진짜직계만하지 그러네요

  • 11. 요즘무슨돌잔치
    '25.11.2 3:29 PM (221.138.xxx.92)

    시누이 아들이면 50
    그 아들의 아들이면 30

  • 12. Df
    '25.11.2 3:34 PM (121.128.xxx.230)

    조카가 5명이고 걔들이 낳은애기들 조카손주가 6명인데
    한번도 돌잔치한다고 연락온적없어요
    솔직히 속보이지않나요? 결혼때 축하받았으면됐지
    뭔 애 돌까지 부르나요 짜증날듯싶어요

  • 13. 직계는아닌듯
    '25.11.2 3:35 PM (122.32.xxx.24)

    애기 엄마 입장에서
    시어머니의 형제들이 부부동반으로 참석하는거에요
    그런데 먼 사이는 아니죠
    그정도면 남편의 사촌들, 삼촌들 참석이니까요
    보통 이렇게 아이 기준 애기 엄마 아빠의 부모형제 친외가로 삼촌 사촌들까지 모이는게
    돌잔치의 일반적인 범위죠 여기에 엄마 아빠의 가장 가까운 친구들 정도?
    일반적인 돌잔치 초대 범위

  • 14. do
    '25.11.2 3:47 PM (182.161.xxx.45)

    대충 얼마해야할지 감이오네요.
    시누이집 아이2 시동생 아이2
    둘씩 낳을지 하나날지 모르지만 사실 이렇게 가려면 여섯번에서 여덟번 정도 다녀야 할 거 같네요.모두 같은 도시에 살거든요.
    전 아이는 하나이고 결혼했지만 서울과 지방이니 아이가 아이를 낳아도 초대 안할래요.

  • 15. 티거
    '25.11.2 3:51 PM (223.39.xxx.217)

    ㄷㄷㄷ근데 요즘 돌잔치 정말로 직계만 하거든요ㅠ
    조카의 결혼식때 50씩 하는데
    정말 다들 그 조카의 자녀돌잔치까지 30,50씩 하세요???
    너무 충격..

  • 16. ㅇㅇ
    '25.11.2 3:57 PM (210.96.xxx.191)

    적당히 하세요. 시누이 아들부터 어릴때부터 돈만 들어가더군요. 대학. 취업 결혼 아기태어나 선물등 등 나오는건 없고

  • 17. 조카
    '25.11.2 4:00 PM (1.176.xxx.174)

    조카 아이 돌잔치때 잘 안 부르죠.
    시누이가 인원수 안 될까 싶어 부르는듯.
    조카결혼식도 100이 기본인데 조카 수도 많고 은퇴한 상태라 50정도 할까 생각중.
    조카 돌잔치면 밥값 정도 20정도도 무난해요

  • 18. ……
    '25.11.2 4:02 PM (118.235.xxx.173)

    요즘 직계만 하지 누가 시조카 아이 돌잔치까지 갑니까 그것도 30이나요? 결혼식도 아니고 돌잔치에 30을 해요??

  • 19. 님때는
    '25.11.2 4:04 PM (180.71.xxx.214)

    왔어요 ? 왔으면 하고. 안왔었고
    앞으로 뭐 주고 받을 관계 아님. 안가면 되지 않아요 ?
    얼마나 보겠어요

  • 20. 시조카
    '25.11.2 4:08 PM (223.39.xxx.131)

    돌잔치는 그래도 가죠.
    호텔급 아니면 30.

  • 21. do
    '25.11.2 4:20 PM (182.161.xxx.45)

    제딸은 결혼했고 아직 애기없어요. 아이생겨도 돌때 안부를거예요.
    윗님 시조카가 아니고 시조카의 아들요.

  • 22. 친정조카
    '25.11.2 4:23 PM (118.235.xxx.173)

    아이 돌이라 글올려 보시지 ㅋ

  • 23. ..
    '25.11.2 4:24 PM (182.209.xxx.200)

    30 주면 많이 주는거 아닌가요?
    안 불러주면 제일 좋겠지만, 일단 부부 둘이 가니 부페값 생각해서 20이나 30 하세요.
    50은 쫌 오버.

  • 24. ....
    '25.11.2 4:26 PM (49.161.xxx.218)

    시조카의아들
    30이면되요

  • 25. 부르셔도
    '25.11.2 4:30 PM (1.176.xxx.174)

    일 있다고 안 가셔도 되요.
    조카가 형제 있으면 거기도 오고 당사자 양가 합치면 10명이 넘는데 친구도 좀 올거고.
    시조카입장서는 이모부부 고모부부는 꼭 안와도 되는

  • 26. ..
    '25.11.2 4:35 PM (58.234.xxx.182)

    저도 곧 닥칠 일인데 조카의 자녀 백일,돌을 모른척해야하나 어쩌나 걱정이네요
    결혼 때 100했는데 금반지 가격이 100육박하니 반지는 못하겠고 휴...
    친정쪽이나 시가쪽이나 조카들 결혼 부조는 받은만큼 주고 준 만큼 받으니 문제 없지만 고모,이모 할머니 ,작은할머니 입장에서 계속되는 행사들 난감해요

  • 27. 부담
    '25.11.2 4:42 PM (58.29.xxx.42)

    시조카 결혼에도 백씩 축의금 했는데 또 출산 줄줄이라 간단히 선물해도 추석에 20 만원씩 했어요
    돌잔치에는 제발 안부르면 좋겠어요
    10명 넘고 다들 2명은 낳아야지 말하고 외동 제자식은 비혼 확고해요

  • 28. do
    '25.11.2 4:44 PM (182.161.xxx.45)

    윗님 맞아요. 시댁에 남편 시누이 시동생 3남매인데
    저희는 딸하나 시누이는 딸 아들 시동생음 아들둘.
    결혼식도 한번받고 네번. 축의금하려니 것도 약간은 속쓰린데
    그조카들의 아이들까지 불려 다녀야하는지 난감입니다.

  • 29. 안가도
    '25.11.2 5:13 PM (59.8.xxx.68)

    굳이 안가도 되요

  • 30. 시조카
    '25.11.2 7:05 PM (219.251.xxx.190)

    시조카도 아니고 시조카네 아이 돌잔치까지 가나요?

  • 31. ...
    '25.11.2 7:47 PM (211.201.xxx.112) - 삭제된댓글

    시조카도 아니고 시조카네 아이 돌잔치까지 가나요?

    작성자 :
    ...

  • 32. ....
    '25.11.2 7:47 PM (211.201.xxx.112) - 삭제된댓글

    시조카도 아니고 시조카네 아이 돌잔치까지 가나요?2222

  • 33. 안갑니다
    '25.11.2 11:16 PM (118.218.xxx.119)

    시누 아이4명이고 우린 1명인데
    나이차이도 많이나고
    시누 아이 4명다 입학 졸업 가끔 수학여행 수능 다 챙겨주고
    우리 아이 초등입학할때 시누가 몰랐다고 아무것도 안해주더라구요
    모를리가 있나요?
    시누 아이 3명 다 결혼해서 돌잔치 했는데 안부르고 안갑니다
    출산했을때는 봉투 줬구요

  • 34. 노노
    '25.11.3 12:14 AM (221.140.xxx.8)

    안가도 됩니다!!!!!!!!!!!!!!!!!!!!!!!!!!!!!
    한 번 가면 나머지 조카의 자식들 돌잔치 다 참석하셔야 됩니다. (댓글 보니 다 참석하실 생각??)
    축하한다 시간 안되어 못간다. 잘 치뤄라. 하고 끝.

    그냥 눈치보여 돈 얼마라도 보내실 것도 같은데 안해도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9127 ‘저 자리가 우리 자리였어야 해’···APEC 성과 바라보는 국.. 17 00000 2025/11/02 4,641
1769126 쿠팡 에서 사먹는 음식들 추천 부탁드려요 4 ㅇㅇ 2025/11/02 1,874
1769125 손잡이 긴 스텐 냄비 사고 싶어요 1 ... 2025/11/02 819
1769124 독감예방접종 맞으세요? 23 .... 2025/11/02 3,993
1769123 날이추워져요~ 8 ㅇㅇㅇ 2025/11/02 1,811
1769122 칼국수 겉절이 너무 맛있는데.. 1 st 2025/11/02 2,137
1769121 소파 색 크림 vs 베이지 3 ... 2025/11/02 951
1769120 이상한 내일 날씨 1 지나가다 2025/11/02 3,363
1769119 첫 눈에 반했어요.. 10 이런일이 2025/11/02 3,858
1769118 초등학생 운동 주4회 과한가요? 14 ddd 2025/11/02 1,058
1769117 첫 알바였던 공장 일 3 후기 2025/11/02 2,143
1769116 강남성형외과 재@ 오@지 카라@ 경험해보신 분 9 여니 2025/11/02 1,430
1769115 서울 디자인페어 간단히 구경하세요 제밌어요 2025/11/02 745
1769114 할머니가 장파열로 응급실인데 수술을 안하시겠대요 5 손녀 2025/11/02 3,870
1769113 "세계 역사상 처음"…국민연금, 올해 200조.. 13 ... 2025/11/02 4,519
1769112 이게 피싱메시지인가요? 4 . . 2025/11/02 1,620
1769111 돈이 있어도... 8 인생무상 2025/11/02 3,552
1769110 홍시4~5개 드실수 있으세요? 25 달다 2025/11/02 3,695
1769109 갭투자 막히자 5대銀 전세대출 5천385억 급감…1년반만에 최대.. 15 ******.. 2025/11/02 3,057
1769108 불국사에서 칠레 대통령에게 사진찍자고 하면 3 APEC 2025/11/02 3,477
1769107 암환자 먹는 식욕촉진제 노인이 복용해도 되나요? 10 ........ 2025/11/02 1,625
1769106 쌀값이 이렇게 올라서 무료급식소같은데서는 부담이 크겠어요 22 ㅇㅇ 2025/11/02 2,492
1769105 "AI칩 설계, GPU 아닌 HBM 중심 전환…K반도체.. ........ 2025/11/02 1,222
1769104 김치통 가지고 시외버스 탈 수 있나요? 8 요즘 2025/11/02 1,622
1769103 이천시에 사시는 분들께 문의 합니다 3 . . . .. 2025/11/02 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