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어머님이 텃밭에서 고구마를 캐서
한박스 주셨는데요
남편도 아이도 안좋아해요
저도 단걸 안좋아해서
제손으로 사먹진 않았는데
열심히 먹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자주 쪄서
먹다보니 배가 급하게 고플 땐
과자나 빵보다 낫겠지싶어 며칠 열심히 먹었어요
원래 위가 좀 약한편이고
요즘 스트레스가 좀 있긴한데요
위가 좀 아파요
속이 편하지 않구요
좀전에도 고구마 하나 먹었거든요
혹시 고구마가 위에 안좋은가요?
시어머님이 텃밭에서 고구마를 캐서
한박스 주셨는데요
남편도 아이도 안좋아해요
저도 단걸 안좋아해서
제손으로 사먹진 않았는데
열심히 먹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자주 쪄서
먹다보니 배가 급하게 고플 땐
과자나 빵보다 낫겠지싶어 며칠 열심히 먹었어요
원래 위가 좀 약한편이고
요즘 스트레스가 좀 있긴한데요
위가 좀 아파요
속이 편하지 않구요
좀전에도 고구마 하나 먹었거든요
혹시 고구마가 위에 안좋은가요?
고구마 때문에 속이 쓰린거면
저거 다 어쩌나요ㅠ
김치랑
정 안되겠으면
주변에 나눠주세요
속쓰리진 않을텐데요
평소에 위가 안좋으셨던거 아닐까요
아니면 생으로 드셨나요
찐고구마만 먹었어요
드세요
다른 음식과 함께
제가 고구마를 정말 좋아하거든요
그래서 늘 겨울에 엄청 많이 먹었는데
작년부터 이상하게 고구마만 먹으면 속이 쓰려서
알아보니 위에 안 좋다고 해요
오늘도 시어머니께서 고구마 보내주셔서 
설마하며 구워먹었는데
속이 또 쓰리네요
이제 안 먹을려구요
우연히 저도 속쓰림 있다가 이글 보고 나니 저도 어제 고구마를 많이 먹었더라고요. 찾아보니 정말 고구마가 위산 자극해 속쓰림과 관련이 있네요. 가끔 먹어야겠네요  
https://m.blog.naver.com/freedomhani/223987030537
고구마 속쓰림은 식이섬유 과다 섭취, 아교질과 타닌 성분이 위벽을 자극하는 것, 공복 섭취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위 건강이 좋지 않다면 고구마 섭취를 줄이고, 공복에 먹지 않으며, 섭취 시에는 다른 음식과 함께 먹거나 소량씩 먹는 것이 좋습니다. 
속쓰림의 원인
식이섬유 과다 섭취: 
고구마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소화에 부담을 주고, 위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위산 과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위벽 자극 성분: 
고구마에 함유된 아교질과 타닌 성분이 위벽을 자극하고 위산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공복 섭취: 
공복에 고구마를 섭취하면 위산 분비가 촉진되어 속쓰림이나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역류성 식도염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위장 질환: 
평소 위염, 위궤양 등 위장 질환이 있는 경우, 고구마가 위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속쓰림 완화 및 예방 방법
공복 섭취 피하기: 공복에 고구마를 섭취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소량씩 섭취하기: 과도하게 섭취하지 말고 소량씩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하기: 밥이나 다른 음식과 함께 먹어 소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위 건강 상태 확인하기: 위장 질환이 있다면 섭취 전 의사 또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안 식품 선택하기: 위장 점막을 보호하는 감자(녹말과 판토텐산 풍부)나 당근 등 다른 식품을 대안으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너무 감사해요
자료들도 찾아주시고
고구마 이제 안먹어야겠어요
튀김 같은 거 만들어서 남편 줘야겠네요
저도 고구마 먹으면 신물올라와요.
저도 고구마가 안먹혀요. 먹으면 신물 올라오고.
고구마 장아찌로 만들어 먹으니 꽤 먹게 됩니다.
반찬 아니라 좀 슴슴하게 해서 오며가며 집어먹는데
간장물 끓일 필요도 없이 간단해요.
이분 레시피에서 간장만 약각 줄여 보세요
이대로 해도 짜진 않더라고요.
https://youtu.be/LborLpsP06g?si=N0MYmFL_Dp8JxNL9
저도 속쓰려서 ,김치랑 먹으면 괜찮던데요.
저도 위가 약해서 2개 작은 사아즈로 간식으로 먹어요.
빈 속에 먹으면 속쓰린 게 맞고요,
의사들이 항상 하는 말로는 ‘껍질에 영양이 많고, 껍질이 속쓰림을 막아 주니 함께 먹어라!’입니다.
더불어 아주 빈 속보다는 뭔가 따뜻한 거 약간 드시고
(삶은 계란, 흰밥 한 숟가락, 삶은 야채 등) 
그 다음에 찐고구마 껍질째 드시면, 건강에도 좋고 속도 안 아플 거예요.
10월초부터 내년 여름까지
고구마를 주식으로 먹는 제가 
이상한거였군요
질리지도 않고 속도 안쓰리고
체중도 변화없고
한대접씩 삶아두고 먹거든요^^;
공복에 김치랑 찐고구마 먹고 위에 탈 났어요
평소 위염 없는데 이상하다 ᆢ했더니
공복에 고구마가 좋은게 아니군요
저두 속쓰려요~~
저는 빈속에 먹어도 아무이상 없지만
이웃에 나눠요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아침에 빈속에 의외로 먹음 안되는 음식이네요
모르고 살았어요
고구마 아침 빈속에 안좋아요
의외로 토마토도 안좋구요
저도 아침으로 고구마구워 먹는데 속쓰림은 없네요. 전 밥보다 좋아해서 10월부터 내년봄까지 먹을거 쟁여놓고 먹어요~
맞아요. 매스컴에서도 많이 나왔어요.
 빈속에 고구마 금지음식 중 하나에요
고구마가 그런줄 처음 알았네요.
저도 위장이 약해서 위염 자주 나타나는데 조심해야겠어요.
빈속에는 안먹으려고요
제겐 매운음식에 준하는 게 고구마예요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 1768874 | ‘런베뮤’ 개점 뒤 4년간 산재 69건…노동장관 “엄정 대응” | ㅇㅇ | 2025/10/30 | 1,641 | 
| 1768873 | 사과계의 에르메스 맛있네요 40 | 하하 | 2025/10/30 | 19,298 | 
| 1768872 | 나는솔로 출연진들 의상이.. 15 | 나는솔로 | 2025/10/30 | 5,414 | 
| 1768871 | 여성임원 최다 배출학교 순위 17 | 음 | 2025/10/30 | 4,735 | 
| 1768870 | 정애리 금보라씨 다 아랫니만 보여요 16 | 나도언젠가 | 2025/10/30 | 7,156 | 
| 1768869 | 초콜릿 추천 좀 해주세요 5 | aaaa | 2025/10/30 | 1,138 | 
| 1768868 | 젠승황 덕분에 재벌둘 11 | ........ | 2025/10/30 | 6,079 | 
| 1768867 | 전문대 수시 합격 12 | 아 | 2025/10/30 | 2,735 | 
| 1768866 | 드라마 보고 마음의 울림을 정말 오랜만에 느껴봤어요.(밀회) 4 | 음.. | 2025/10/30 | 2,342 | 
| 1768865 | 무릎 관절 시술도 있나요? 5 | 관절 | 2025/10/30 | 1,073 | 
| 1768864 | 김해순 유라시아통합연구원장 “서독, 정권 바뀌어도 통일정책 연속.. | light7.. | 2025/10/30 | 428 | 
| 1768863 | 인구조사 우편물 안 오는 사람도 있나요? 5 | 질문 | 2025/10/30 | 1,506 | 
| 1768862 | 부모가 집을 사준다는거 15 | 아줌마 | 2025/10/30 | 4,825 | 
| 1768861 | 명품시계 수리 4 | 만두맘 | 2025/10/30 | 744 | 
| 1768860 | 나솔)정희광숙은 영수현숙과 아예 상종안함.. 7 | .. | 2025/10/30 | 4,051 | 
| 1768859 | 대한민국이 진정 강대국이 된거 같아요.... 8 | ㅇ | 2025/10/30 | 2,646 | 
| 1768858 | 트럼프 신라금관 걱정된다. 34 | ........ | 2025/10/30 | 19,296 | 
| 1768857 | 깐부회동 정겹네요ㅋㅋ 19 | ... | 2025/10/30 | 5,882 | 
| 1768856 | 연금 이정도면 13 | .. | 2025/10/30 | 3,134 | 
| 1768855 | COUPANG 상시모집 5 | 동네아낙 | 2025/10/30 | 1,601 | 
| 1768854 | 마일리지 대기 연락잘오나요? 3 | 항공권 | 2025/10/30 | 741 | 
| 1768853 | 코스트코 반품 하러가기 귀찮아 그냥 먹었네요 11 | .. | 2025/10/30 | 3,264 | 
| 1768852 | 여자 남자..근데 생물학적으로도...생리적..생애주기...다 남.. 21 | ㅡ | 2025/10/30 | 3,426 | 
| 1768851 | 나경원 핏대 세우자 정성호 '폭발'... "비상 상황이.. 13 | 목소리크다 | 2025/10/30 | 4,464 | 
| 1768850 | 금융주는 왜 저런가요? 7 | .... | 2025/10/30 | 2,9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