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어머님이 텃밭에서 고구마를 캐서
한박스 주셨는데요
남편도 아이도 안좋아해요
저도 단걸 안좋아해서
제손으로 사먹진 않았는데
열심히 먹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자주 쪄서
먹다보니 배가 급하게 고플 땐
과자나 빵보다 낫겠지싶어 며칠 열심히 먹었어요
원래 위가 좀 약한편이고
요즘 스트레스가 좀 있긴한데요
위가 좀 아파요
속이 편하지 않구요
좀전에도 고구마 하나 먹었거든요
혹시 고구마가 위에 안좋은가요?
시어머님이 텃밭에서 고구마를 캐서
한박스 주셨는데요
남편도 아이도 안좋아해요
저도 단걸 안좋아해서
제손으로 사먹진 않았는데
열심히 먹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자주 쪄서
먹다보니 배가 급하게 고플 땐
과자나 빵보다 낫겠지싶어 며칠 열심히 먹었어요
원래 위가 좀 약한편이고
요즘 스트레스가 좀 있긴한데요
위가 좀 아파요
속이 편하지 않구요
좀전에도 고구마 하나 먹었거든요
혹시 고구마가 위에 안좋은가요?
고구마 때문에 속이 쓰린거면
저거 다 어쩌나요ㅠ
김치랑
정 안되겠으면
주변에 나눠주세요
속쓰리진 않을텐데요
평소에 위가 안좋으셨던거 아닐까요
아니면 생으로 드셨나요
찐고구마만 먹었어요
드세요
다른 음식과 함께
제가 고구마를 정말 좋아하거든요
그래서 늘 겨울에 엄청 많이 먹었는데
작년부터 이상하게 고구마만 먹으면 속이 쓰려서
알아보니 위에 안 좋다고 해요
오늘도 시어머니께서 고구마 보내주셔서
설마하며 구워먹었는데
속이 또 쓰리네요
이제 안 먹을려구요
우연히 저도 속쓰림 있다가 이글 보고 나니 저도 어제 고구마를 많이 먹었더라고요. 찾아보니 정말 고구마가 위산 자극해 속쓰림과 관련이 있네요. 가끔 먹어야겠네요
https://m.blog.naver.com/freedomhani/223987030537
고구마 속쓰림은 식이섬유 과다 섭취, 아교질과 타닌 성분이 위벽을 자극하는 것, 공복 섭취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위 건강이 좋지 않다면 고구마 섭취를 줄이고, 공복에 먹지 않으며, 섭취 시에는 다른 음식과 함께 먹거나 소량씩 먹는 것이 좋습니다.
속쓰림의 원인
식이섬유 과다 섭취:
고구마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소화에 부담을 주고, 위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위산 과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위벽 자극 성분:
고구마에 함유된 아교질과 타닌 성분이 위벽을 자극하고 위산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공복 섭취:
공복에 고구마를 섭취하면 위산 분비가 촉진되어 속쓰림이나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역류성 식도염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위장 질환:
평소 위염, 위궤양 등 위장 질환이 있는 경우, 고구마가 위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속쓰림 완화 및 예방 방법
공복 섭취 피하기: 공복에 고구마를 섭취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소량씩 섭취하기: 과도하게 섭취하지 말고 소량씩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하기: 밥이나 다른 음식과 함께 먹어 소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위 건강 상태 확인하기: 위장 질환이 있다면 섭취 전 의사 또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안 식품 선택하기: 위장 점막을 보호하는 감자(녹말과 판토텐산 풍부)나 당근 등 다른 식품을 대안으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너무 감사해요
자료들도 찾아주시고
고구마 이제 안먹어야겠어요
튀김 같은 거 만들어서 남편 줘야겠네요
저도 고구마 먹으면 신물올라와요.
저도 고구마가 안먹혀요. 먹으면 신물 올라오고.
고구마 장아찌로 만들어 먹으니 꽤 먹게 됩니다.
반찬 아니라 좀 슴슴하게 해서 오며가며 집어먹는데
간장물 끓일 필요도 없이 간단해요.
이분 레시피에서 간장만 약각 줄여 보세요
이대로 해도 짜진 않더라고요.
https://youtu.be/LborLpsP06g?si=N0MYmFL_Dp8JxNL9
저도 속쓰려서 ,김치랑 먹으면 괜찮던데요.
저도 위가 약해서 2개 작은 사아즈로 간식으로 먹어요.
빈 속에 먹으면 속쓰린 게 맞고요,
의사들이 항상 하는 말로는 ‘껍질에 영양이 많고, 껍질이 속쓰림을 막아 주니 함께 먹어라!’입니다.
더불어 아주 빈 속보다는 뭔가 따뜻한 거 약간 드시고
(삶은 계란, 흰밥 한 숟가락, 삶은 야채 등)
그 다음에 찐고구마 껍질째 드시면, 건강에도 좋고 속도 안 아플 거예요.
10월초부터 내년 여름까지
고구마를 주식으로 먹는 제가
이상한거였군요
질리지도 않고 속도 안쓰리고
체중도 변화없고
한대접씩 삶아두고 먹거든요^^;
공복에 김치랑 찐고구마 먹고 위에 탈 났어요
평소 위염 없는데 이상하다 ᆢ했더니
공복에 고구마가 좋은게 아니군요
저두 속쓰려요~~
저는 빈속에 먹어도 아무이상 없지만
이웃에 나눠요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아침에 빈속에 의외로 먹음 안되는 음식이네요
모르고 살았어요
고구마 아침 빈속에 안좋아요
의외로 토마토도 안좋구요
저도 아침으로 고구마구워 먹는데 속쓰림은 없네요. 전 밥보다 좋아해서 10월부터 내년봄까지 먹을거 쟁여놓고 먹어요~
맞아요. 매스컴에서도 많이 나왔어요.
빈속에 고구마 금지음식 중 하나에요
고구마가 그런줄 처음 알았네요.
저도 위장이 약해서 위염 자주 나타나는데 조심해야겠어요.
빈속에는 안먹으려고요
제겐 매운음식에 준하는 게 고구마예요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 1769094 | 국정원 특채가 좋은 선택일지 고민중입니다 21 | Iilili.. | 2025/10/31 | 2,783 |
| 1769093 | 브로컬리 좋다는데 2 | 건겅하자 | 2025/10/31 | 1,412 |
| 1769092 | 중딩딸 공개수업 3 | ㅇㅇ | 2025/10/31 | 712 |
| 1769091 | 전월세 거래 65%가 월세, '전세의 월세화' 심화 8 | 예정된미래 | 2025/10/31 | 1,024 |
| 1769090 | 옷반품 오전에 가도 될까요? 8 | ㄱㄴㄷ | 2025/10/31 | 1,290 |
| 1769089 | 화장실에서 볼일보고 변기뚜껑 다 내리나요 21 | ㅇㅇ | 2025/10/31 | 3,571 |
| 1769088 | 깐부치킨 대신 교촌치킨...주식 4 | ..... | 2025/10/31 | 2,624 |
| 1769087 | 사랑 많이 받고 자랐을거 같다 51 | ᆢ | 2025/10/31 | 13,799 |
| 1769086 | 진보 유튜버들은 참 착하네요 8 | ㄱㅂㄴ | 2025/10/31 | 1,926 |
| 1769085 | 제주 동문시장에서 뭐 사올까요~? 7 | ........ | 2025/10/31 | 1,020 |
| 1769084 | 삼성전자, HBM 내년 물량 사실상 완판했다… “증산 검토” 2 | ㅇㅇ | 2025/10/31 | 1,448 |
| 1769083 | 한효주,오구리슌 드라마에 고백 ost 5 | ..... | 2025/10/31 | 1,225 |
| 1769082 | 정권 바뀐거 실감할 때 9 | ooo | 2025/10/31 | 1,448 |
| 1769081 | 낙엽지는 가을 인생도서 3 | 추천도서 | 2025/10/31 | 750 |
| 1769080 | 미술 전공하신분이나 고수님들 질문입니다~~ 9 | 궁금 | 2025/10/31 | 1,080 |
| 1769079 | 50이상 관리의 차이라... 34 | ㄱㄱㄱ | 2025/10/31 | 6,110 |
| 1769078 | 깐부치킨이 신생 브랜드예요? 20 | 현소 | 2025/10/31 | 3,210 |
| 1769077 | 82님들. 소파 좀 골라주세요 18 | ... | 2025/10/31 | 1,168 |
| 1769076 | 오늘도 주식은 , 4200 포인트를 향하여 2 | 주식폭망 | 2025/10/31 | 1,516 |
| 1769075 | 어제 못참고 깐부치킨 시켰어요 4 | ㅇㅇ | 2025/10/31 | 1,455 |
| 1769074 | 잰슨황이 한국인들이 좋아할거 가지고 왔다고 6 | ... | 2025/10/31 | 3,707 |
| 1769073 | 이재용 회장의 행복은 별거 아니라는 말이 이상하게 심금을 울리네.. 14 | 희한 | 2025/10/31 | 5,068 |
| 1769072 | 거니) 문화재 수장고 방문한 심리분석 5 | 행동력빠른 .. | 2025/10/31 | 1,772 |
| 1769071 | 혹시 호서대 여름방학기간이요 2 | ... | 2025/10/31 | 781 |
| 1769070 | 윤석열 역사에 남을 최대 치적 11 | .. | 2025/10/31 | 4,7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