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쌀벌레 안 생기는 실온 쌀 보관법 알려주세요! (쌀냉장고 구매추천 사양)

.... 조회수 : 1,015
작성일 : 2025-10-22 16:19:08

쌀을 쌀통에 넣어 보관했는데, 쌀벌레가 생겨서 정말 며칠을 고생했습니다.

원래 보관하던 쌀에서 생긴 쌀벌레가 아니라, 지퍼백에 담긴 봉지 잡곡에서 생긴 쌀벌레가 옮아가서 전체에 번졌더라구요.

쌀을 버리지 않고 다 골라내서 냉장고에 넣어서 먹고 있어요.

고민은 앞으로도 쌀을 쌀통에 보관해야 하는데

냉장고에 쌀통을 넣을 공간이 없다는거에요.

아무리 궁리를 해도, 쌀통을 넣으면 김치 넣을 공간이 없거든요. (김치냉장고 없습니다)

공간이 넓으면 쌀냉장고, 김치냉장고 다 사서 쓰겠지만 없으니까요.

쌀 보관할때 냉장고에 넣으라고 하는데 냉장고 말고 실온 보관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고추랑 계피, 살벌레 방지 겨자도 넣고 보관했는데 여름에는 쌀벌레가 한번 생기면 번지더라구요.

 

아까 어떤 글에 보니 종이를 쌀통 바닥에 깔면 쌀벌레가 안 생긴다는데 맞을까요?

오히려 또 어디서는 공기를 밀폐하고 진공상태로 놓으라고 하고...

사실 지퍼백에 구멍 뚫린데서 쌀벌레가 발생해서 번진거거든요.

다행히 밀폐된 통에 담긴 쌀은 이상이 없었습니다.

실온은 밀폐만이 답이라 생각했는데, 또 종이를 깔으라고 하니 이유가 있나 해서요.

IP : 211.217.xxx.25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밀봉만잘해도
    '25.10.22 4:25 PM (220.75.xxx.238)

    패트병에 담아놔도 벌레 생기진 않던데요
    지퍼백에 구멍으로 벌레가 들어간것 같은데 통세척을 꼼꼼하게 하거나 새 패트병에 담으시면 그렇게 염려안해도 되잖을까요

  • 2.
    '25.10.22 4:33 PM (14.43.xxx.124)

    페트병에 담아놓으면 몇달이 되도벌레안생겨요

  • 3. 소용량
    '25.10.22 4:41 PM (121.147.xxx.48) - 삭제된댓글

    사서 드세요. 전 10킬로 이하로 구매해서 항상 실온에 방치하고 먹습니다. 잡곡찹쌀 섞지 않고 종이포대 그대로요. 종이포대는 곰팡이가 안 생깁니다. 밀봉 잘해서 쌀벌레만 조심하면 됩니다.
    잡곡 포장 비닐에 구멍이 있는 이유는 일종의 환기 때문입니다. 잡곡에 수분이 있어요. 밀봉했다면 수분이 위로 올라가 온도차이 나는 곳에 맺혀 곰팡이가 증식해요.
    유통되는 동안 마르라는 의미죠. 완벽히 마른 곡식을 밀봉해야 곰팡이로부터 안전하니 확인이 어려우니 종이를 이용하거나 제습제를 넣거나 하는 겁니다.

  • 4. ㅣㅣㅣ
    '25.10.22 4:41 PM (122.32.xxx.124)

    쌀사서 바로 페트병에 소분해놓으면 실온에서도 몇달간 멀쩡합니다.

  • 5. 소용량
    '25.10.22 4:43 PM (121.147.xxx.48)

    사서 드세요. 전 10킬로 이하로 구매해서 항상 실온에 방치하고 빨리 먹습니다. 잡곡찹쌀 섞지 않고 종이포대 그대로요. 종이포대는 곰팡이가 안 생깁니다. 밀봉 잘해서 쌀벌레만 조심하면 됩니다.
    잡곡 포장 비닐에 구멍이 있는 이유는 일종의 환기 때문입니다. 잡곡에 수분이 많이 있어요. 밀봉했다면 수분이 위로 올라가 온도차이 나는 곳에 맺혀 곰팡이가 증식해요.
    유통되는 동안 마르라는 의미죠. 완벽히 마른 곡식을 밀봉해야 곰팡이로부터 안전하나 확인이 어려우니 종이를 이용하거나 제습제를 넣거나 하는 겁니다.

  • 6. ---
    '25.10.22 4:48 PM (175.199.xxx.125)

    간간히 쉬지 않고 올라오는글.....쌀보관---페트병이 최고~~

  • 7. ㅁㅁ
    '25.10.22 6:00 PM (112.187.xxx.63)

    일년치 쌀을 사놓는 댁 아닌이상
    그냥 그 종이 쌀포대가 최적의 보관이라고 배웠습니다
    지퍼백같은거에 요즘 햅쌀 수분 많은거 담아두면
    빨리 변패되라고 부채질 하는격이고

    쌀통 재질이 뭔지 모르지만
    나무통이면 틈새에 박힌쌀알들에 벌레한번 생기면
    그냥 계속 생기는 지름길이구요

  • 8. 항아리
    '25.10.22 7:08 PM (112.152.xxx.109)

    항아리에 10kg 씩 사서 넣고
    아파트 거실 구석에 놓고 먹어요
    싹 다 먹으면 또 사서 부어놓고..
    10 년 되었는데 여름에도 한번도
    벌레 생긴적 없어요

  • 9. 어제
    '25.10.22 7:10 PM (74.75.xxx.126)

    어디서 봤는데 쌀 페트병에 보관하면 안 좋대요. 무엇보다 식품이 플라스틱과 오래 접촉하면 환경호르몬 물질이 쌀에 스며들어서 유해하고 조금이라도 습기가 들어가면 곰팡이도 쉽게 생기고 햇볕드는 곳에 보관하면 또 뭐가 안 좋다나? 그러고보면 아기 젓병도 환경 호르몬 때문에 플라스틱 피하고 무거워도 유리병 소독해 쓰잖아요. 플라스틱 젓병이나 식기면 BPA free 제품 골라야 한다고 하고요. 플라스틱 생수병은 BPA free 제질이 아니니까 오래 쓰거나 반복해서 사용하면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나온다고요.

    쌀벌레가 문제라면 저는 작은 항아리에 담아서 그늘에 보관하니 다시는 안 생기던데요. 도자기나 스텐에 담아 보관하는게 제일 안전하대요.

  • 10. 소량
    '25.10.22 8:56 PM (112.168.xxx.110)

    4키로씩 사먹는데 그것도 여름에는 냉장고에 넣습니다.

  • 11.
    '25.10.22 10:19 PM (121.167.xxx.120)

    날씨 탓인지 농사 방법 탓인지 상온에 놔두면 벌레 생기거나 회색 곰팡이 생겨서 두번 버리고 나서는 냉장고 보관해요

  • 12. ...
    '25.10.23 3:55 PM (211.217.xxx.253)

    페트병에는 안 담고 대신 쌀통 2L짜리에 나눠서 담구요.
    쌀통 사놓은건 플라스틱 10kg짜리입니다.
    항아리나 도자기에 담아도 쌀벌레 많이 생긴다고 하구요.
    가장 좋은건 밀폐용기에 보관인데 최근에 산 쌀통은 밀폐용기가 아니라 문제이고

    위에 댓글에 잡곡 포장비닐에 구멍 뚫린게 수분 때문이라고 하는데, 여태껏 곡식류 사면서 곰팡이 핀적은 단 한번도 없습니다.
    모두다 온도나 습도 올라갈때도 곰팡이가 아닌 쌀벌레가 발생한거였구요.
    다른 밀폐포장된 잡곡은 쌀벌레가 발생하지도 번지지도 않았습니다.
    문제는 원래 밀폐포장도 안된데다 쌀벌레 유충까지 있던 불량 잡곡이 내부 쌀벌레가 바깥까지 유입되어 사단이 난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6495 곽튜브가 인기 많나요? 19 00 2025/10/23 5,305
1766494 저 90살 생일에 우리애가 62살인데 춤 춰준대요 6 ㅋㅌ 2025/10/23 2,514
1766493 집에서 무연뜸(미니) 하시는 분 계신가요? 5 집에서 2025/10/23 717
1766492 그릇을 부셔오다,무슨뜻인지 아시는 분? 70 우리말 2025/10/23 5,640
1766491 민주당 지지자들 정부 억지옹호 피곤하네요 33 .. 2025/10/23 1,774
1766490 엔비디아도 막혔다…"삼성이 표준" 740조 시.. 3 ㅇㅇ 2025/10/23 4,671
1766489 분당 아름다운가게 들어가보니 7 어제 2025/10/23 3,202
1766488 당근) 종로 용산 쪽 2 찾아요 2025/10/23 726
1766487 김건희,13조8천억원 국외 반출 시도 정황 드러나 12 ........ 2025/10/23 3,428
1766486 음주운전 피해자인데, 벌금처리하면 끝인건가요? 7 음주운전 2025/10/23 692
1766485 40후반 분들, 사람 지칭할때 쟤 걔 이런말 쓰세요? 6 바닐코 2025/10/23 1,627
1766484 달서) 국힘 53.2% 민주 24.7% 13 ㅇㅇ 2025/10/23 2,430
1766483 솔직합시다 오래 살면 개이득 아닌가요? 16 이득 2025/10/23 3,637
1766482 엑스트라버진 오일로 달걀 후라이 해도 괜찮나요? 5 참나 2025/10/23 2,144
1766481 짙은 브라운 색 염색 원했는데 시커먼스 됐어요 6 ㅇㄹ 2025/10/23 1,570
1766480 명태균, 오세훈 보며 "아파트 키 줘요 ..울면서 나.. 7 2025/10/23 5,252
1766479 손목 아프신분들 어떻게 지내시나요? 6 부자되다 2025/10/23 1,378
1766478 주거형 오피스텔 만족스럽게 사시나요. 17 .. 2025/10/23 3,973
1766477 밥솥에 부착하는 주걱 홀더 사려다가.jpg 2 샤워기 홀더.. 2025/10/23 1,814
1766476 누구 의견이 더 합리적인지 의견 부탁드려요 7 라라 2025/10/23 1,125
1766475 이런 친구 넘 후지죠 ? 2 ........ 2025/10/23 2,781
1766474 공복에 고지혈증약 복용 7 ::: 2025/10/23 2,213
1766473 7시 정준희의 해시티비 라이브ㅡ 이미 죽었어야 할 것들이 아직.. 2 같이봅시다 .. 2025/10/23 617
1766472 검버섯 성형외과 보라매, 야탑 소절이 2025/10/23 617
1766471 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걸까요? 3 운동 2025/10/23 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