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세제도 몇년안에 없어지겠어요

수순 조회수 : 3,311
작성일 : 2025-10-21 14:19:06

한국은행 총재도 전세제도 부정적이고

 

이 총재는 2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세자금대출 DSR 규제 포함은 “가계부채 누적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불가피한 결정”이라며

“여러 서민의 고통이 수반될 수 있지만

반드시 한 번은 끊어야 할 시점이었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전세 3+3+3 한다고 하며는

집주인은 당연히 전세는 알할거고..

 

월세가 이미 전세를 앞섰다고 하니

전세는 역사속으로 조만간 사라질듯

 

IP : 39.123.xxx.96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10.21 2:20 PM (115.138.xxx.1)

    과도기죠 전세가 갭투기라는 기형적 시장을 낳았으니 없어져야 해요

  • 2. 2시20분
    '25.10.21 2:20 PM (58.29.xxx.1)

    보증금 못돌려주는 집들은 전세금 왕창 올려서 받겠죠. 그 때부터 폭등하는 시점

  • 3. 2시20분님
    '25.10.21 2:25 PM (59.6.xxx.211)

    보증금도 못 돌려주는 집에 누가 전세금 왕창 내고 들어간답니까?
    님 같으면 그런 집에 전세 갈거에요?

  • 4. 준비들
    '25.10.21 2:25 PM (211.234.xxx.40)

    국토교통부장관도
    전세제도는 역사적 사명을 다했다
    라고 말했잖아요

  • 5. 전세의
    '25.10.21 2:26 PM (59.7.xxx.113)

    역사적 사명이 뭔지 궁금하네요

  • 6. 2시26분
    '25.10.21 2:32 PM (58.29.xxx.1)

    10억 매매 7억 전세
    전세가 9억으로 올라도 사람들 계약합니다
    안그래도 한 단지에 전세 몇 개 없는데요
    매물 없어서 줄서서 집보는 뉴스 또 나오겠죠
    전세 놓친 사람들은
    차라리 그럼 1억 더 쓰고 사자 이렇게 생각하고요
    매매가 오르는건 당연한 원리입니다
    저라면 당연히 계약 안하죠
    전 무조건 매매로만 실거주해서 ㅎㅎ
    월세화로 되는건 시간 문제고요

  • 7. 에효
    '25.10.21 2:45 PM (125.181.xxx.238)

    전세제도가 있어서 돈모아 집도 살 수있는건데
    젊은애들은 월세 내면서 어떻게 집을 살까요ㅠㅠ

  • 8. 오히려 좋아
    '25.10.21 2:47 PM (223.38.xxx.239) - 삭제된댓글

    부동산 대책 이후의 현

    1. 전세매물 소멸
    2. 월세비용 증가
    3. 주거비용 폭등
    4. 인플레이션 압박 증대(비자가 소유자)
    5. 긴축지속
    6. 추가 민생지원
    7. 양적완화 논의
    8. 자산가격 폭등
    9. 소득격차 심화

    끊어진 사다리를 아예 불태우겠다는데 그래도 좋다는 분들이 많다는 게 킥. 저는 자산가라 이 상황이 오히려 좋습니다만...

    이 와중에 보유세까지 확 올려버리면 영끌 그지들은 나가떨어지고, 물관리도 좀 되겠네요. 올 여름에 울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가보니 영끌, 전세 느낌의 민도 낮은 분들이 꽤 많이 보여 솔직히 좀 불편했습니다.

    보유세를 과도하게 올리면 중산층들은 다 나가떨어질테고, 찐부자들과 중산층, 서민간의 자산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겠죠.

    우리나라도 부유층 거주지의 허들을 좀 높일 때가 됐습니다.

  • 9. 오히려 좋아
    '25.10.21 2:48 PM (223.38.xxx.239)

    부동산 대책 이후의 현실

    1. 전세매물 소멸
    2. 월세비용 증가
    3. 주거비용 폭등
    4. 인플레이션 압박 증대(비자가 소유자)
    5. 긴축지속
    6. 추가 민생지원
    7. 양적완화 논의
    8. 자산가격 폭등
    9. 소득격차 심화

    끊어진 사다리를 아예 불태우겠다는데 그래도 좋다는 분들이 많다는 게 킥. 저는 자산가라 이 상황이 오히려 좋습니다만...

    이 와중에 보유세까지 확 올려버리면 영끌 그지들은 나가떨어지고, 물관리도 좀 되겠네요. 올 여름에 울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가보니 영끌, 전세 느낌의 민도 낮은 분들이 꽤 많이 보여 솔직히 좀 불편했습니다.

    보유세를 과도하게 올리면 중산층들은 다 나가떨어질테고, 찐부자들과 중산층, 서민간의 자산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겠죠.

    우리나라도 부유층 거주지의 허들을 좀 높일 때가 됐습니다.

  • 10. 전세대출이나
    '25.10.21 2:50 PM (221.149.xxx.36) - 삭제된댓글

    좀 없애지..이게 생기면서 전세가가 폭등하기 시작했고 다시 매매가를 올렸는데..
    이걸 왜 안 없앨까요

  • 11. ...
    '25.10.21 2:57 PM (202.20.xxx.210)

    솔직히 전세가 이상한거죠.. 전세 없어지고 확실하게 계층별로 거주지가 나뉘지는 게 차라리 상류층에게는 더 좋다고 생각이 될 듯. 어차피 그들은 평범한 계층(전세 주거자)과 섞이고 싶지 않아해요.

  • 12. ..
    '25.10.21 3:02 PM (148.252.xxx.206)

    그러게 전세대출을 없애라니끼 문재인때 박원순이랑 그리 퍼주더니ㅠ 온갖 폐해 다 낳고. 청약제도도 없애. 민주당만 정권잡으면 살얼음판 걷는 오징어게임되는것 같아요

  • 13. ...
    '25.10.21 3:04 PM (175.212.xxx.179)

    전세 왕창 못올려요.5프로만

  • 14. ㅇㅇ
    '25.10.21 3:07 PM (1.240.xxx.30)

    그거 아시죠? 규제하는 누구는 갭투자로 강남에 아파트 사놓은거. ㅎㅎ

  • 15. ㅎㅎ
    '25.10.21 3:09 PM (222.237.xxx.25)

    임대인, 임차인 모두 본인들에게 도움이 되니까 유지된게 전세제도인데..
    임차인만 좋다면 임대인이 구지 전세를 놓을 이유가 없죠. 무주택자들이 민주당 부동산 정책을 왜 지지하는지 모르겠어요.

  • 16. ..
    '25.10.21 3:17 PM (223.49.xxx.136)

    전세사기 때문에 없어질 것 같아요.

  • 17. 이제
    '25.10.21 3:20 PM (223.39.xxx.31)

    1주택자는 집 팔면 안됩니다.
    전세로 갈 집(특히 좋은 동네 아파트)이 씨가 마를 겁니다.
    걍 내집에 꾹 눌러살아야해요. 보유세는 대출 받아서 내더라도.
    전세고 월세고 이사갈 집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중..

  • 18. ..
    '25.10.21 3:22 PM (110.70.xxx.135)

    몇 년 뒤에 보세요. 강남 3구 벽이 얼마나 더 두꺼워 지는지 . 팝콘 각ㅎ

  • 19. ㅇㅇ
    '25.10.21 3:39 PM (175.196.xxx.214)

    ㄴ 차라리 미국이나 유럽처럼 찐부자만 핵심지 도심에 사는게 나을수도 있어요 세금도 왕창 내는 부류들
    그렴 나와 완전 다른세계 관심 끄고 사는거죠
    집값이 얼마든 월세가 얼마든

    우리나라는 과도기에요
    어쩌다가 서울 살다보니 집값 오른 사람들도 섞여 있고
    나도 서울집 살수 있었는데 이러면서 나도나도 아웅다웅
    진입하려고 난리

  • 20. ..
    '25.10.21 3:56 PM (110.70.xxx.129)

    그간 전세덕에 섞일 수 있어서 나도 같은 급.. 이렇게 생각했지만 실제 집주인과 나의 간극은 크다는 걸 월세 내면 깨닫게 되는 거죠. 그간 한국의 빈부격차. 주거지 가격 격차는 애교 수준이었음을 이제 곧 알게 됩니다.

  • 21. 000
    '25.10.21 4:03 PM (182.221.xxx.29)

    그지들은 그지들끼리 살게 되겠네요.
    서로 치고박고 싸우면서 배급받고

  • 22. 금리
    '25.10.21 4:08 PM (223.38.xxx.73)

    오르면 전세
    금리 내리먼 월세 그렇게 하고 있어요.
    금리의 문제.

  • 23.
    '25.10.21 4:18 PM (118.235.xxx.76)

    예전엔 아파트 육억짜리다 하면 전세 3억끼고 3억만 있으면 샀죠.
    이젠 몇십억대이니 그런 시대 지났고요.
    지금은
    월세 받아서 세금 내야 되는 세상입니다.

  • 24. 없는사람.
    '25.10.21 5:01 PM (125.176.xxx.8)

    월세 세상이 되면
    아 그때가 봄날이였구나 ᆢ
    깨닫겠죠
    전세 제도가 중간 사다리 역할을 했는데 사다리를 치워버리네.
    제도를 잘 정비해서 전세사기를 막아야지 .전세를 없애다니.

  • 25. ....
    '25.10.21 5:39 PM (223.38.xxx.221) - 삭제된댓글

    가붕개들
    대대손손 월세살이 각이네요.
    추카추카

  • 26. ...
    '25.10.21 6:09 PM (223.38.xxx.98) - 삭제된댓글

    저도 전세를 지렛대 삼아 집장만하고,
    박근혜때(정확히는 메르스로 온나라가 난리일 때) 갈아탔다가,
    문재인 대통령님 덕분에 집값이 퀀텀점프해서
    내가 부자라니, 내가 부자가 되다니... 싶어 얼떨떨한 사람인데,
    저처럼 흙수저조차 못되는 무수저 출신 커플이
    그나마 서울에서 자리잡고 돈 모을 수 있었던 게 전세 덕분인데
    앞으로 우리 아이들은 전세가 뭐야? 먹는 거야? 하겠죠.
    애들 결혼할 때 집마련이라도 도와주려면 더 열심히 살아야겠어요.
    안그럼 우리 애들은 평생 월세 살다 끝날 수도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6546 진짜 이딴것도 대통령이었다는게 너무 비현실적이네요 5 2025/10/23 2,185
1766545 영어유치원 24 허허허 2025/10/23 1,965
1766544 김영선 전의원은 또래보다 좀 늙어보여요 2 . 2025/10/23 2,702
1766543 이혼숙려캠프. 남편 개쓰레기네요. 3 . . 2025/10/23 4,617
1766542 계엄한 주제에 민주당 타령 그만해요 40 .... 2025/10/23 1,936
1766541 김정민 거짓말 딱 걸림..띠지 뜯지 말라고 했다 2 2025/10/23 3,341
1766540 미역줄기 데쳐서 볶나요? 5 ㄱㄴ 2025/10/23 1,995
1766539 수능까지 수업하시는 선생님께 1 고3맘 2025/10/23 1,254
1766538 제이미맘 겨울 버전 나만 뒷북인가요? 3 2025/10/23 2,332
1766537 두산 박용만 회장 대단하네요.......참 21 d 2025/10/23 19,268
1766536 요즘은 귀를 어디에서 뚫는지요 4 가을 2025/10/23 1,747
1766535 공무원인데 과장님이랑 싸우면 안되나요? 8 누오오77 2025/10/23 2,568
1766534 송석준 vs임은정 2 그냥 2025/10/23 1,266
1766533 아이돌봄 일 해보신분 4 직업 2025/10/23 2,068
1766532 치아 미백에 대해 7 눈이 부시게.. 2025/10/23 2,563
1766531 요즘 팔순은 어떻게 하나요? 19 어머님 팔순.. 2025/10/23 4,862
1766530 피부질환? 좀 여쭈어요. 1 .. 2025/10/23 685
1766529 여 국토위원 보유세 인상 찬성 '0명' 14 0명 2025/10/23 1,426
1766528 에릭 루는 도대체 몇번이나 도전한 것이죠? 2 대단 2025/10/23 1,285
1766527 카페 알바를 해요. 2 허허허 2025/10/23 3,303
1766526 전세가 없어질까요 15 전세 2025/10/23 3,657
1766525 윤건희가 민비 시해방에 있었던 건 일본 종교와 관련이 크다고 봄.. 14 ㅇㅇ 2025/10/23 3,536
1766524 10시 [ 정준희의 논 ] 고양이에게 맡긴 생선 , 부패한 .. 같이봅시다 .. 2025/10/23 452
1766523 다이어트후에 눈꺼짐요 2 2025/10/23 1,449
1766522 아파트 1층이나 서향은 살기 어떤가요? 22 ........ 2025/10/23 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