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아이 말투는 주양육자 따라가나요? (사투리)

11 조회수 : 1,652
작성일 : 2025-10-19 22:18:58

부모 중 한명이 사투리가 심한 경우 아이는 사투리를 쓰게 될까요? 

한명은 서울 표준어고 한명은 사투리가 강합니다.

아이가 알아듣는데 문제는 없을까요? 같은 말을 해도 말이 달라서 처음에 이해하기가 어려울 듯 한데...

키워보신 분들께 여쭤봅니다. 

IP : 89.147.xxx.198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무크
    '25.10.19 10:32 PM (180.70.xxx.195)

    아니요. 사는 지방 말투를 써요~

  • 2. ㅡㅡㅡㅡ
    '25.10.19 10:35 PM (221.151.xxx.151)

    지내는 지방 말투요.
    예전에 놀러가면 아기들이 사투리 써서 너무 귀엽고 놀랐거든요.
    그 지역 분들이 눈 뜨면 그 말툰데 서울 말 쓰니?해서 웃었어요.

  • 3. ㅂㅁ
    '25.10.19 10:37 PM (112.168.xxx.161)

    수도권에서 나고 자란 울 아들, 제 고향 억양이 아주 약간 있어요. 남편 고향 억양은 전혀 없구요. 부부 둘다 공식적으론 사투리 억양 거의 없는데 집에선 좀 나오나봐요.

  • 4. 서울에서
    '25.10.19 10:44 PM (210.117.xxx.44)

    아이 백일즈음 부산 이사왔는데
    아이 초6인데 사투리없어요.
    선생님들이 넌 어디서 살다왔니?? 항상 물어보세요.
    사투리 안쓰니까.

  • 5. ..
    '25.10.19 11:17 PM (39.7.xxx.37) - 삭제된댓글

    저는 파출부 아줌마 사투리 배워서 지금도 억양 남아있어요

  • 6. ㅡㅡ
    '25.10.19 11:18 PM (118.235.xxx.63) - 삭제된댓글

    아이의 선택이예요.
    또래 집단에게 묻어갈까 가족들 말투를 쓸까.

  • 7. ...
    '25.10.19 11:18 PM (175.119.xxx.68)

    사는 지방 말 따라가요 부모가 쓰는 사투리를 남들보다는잘 알아듣겠죠

  • 8.
    '25.10.19 11:29 PM (118.219.xxx.41)

    저와 비슷한 상황이네요


    남편 경북
    시부모님 경북
    나 서울

    첫째 임신하면서 경북으로 이사 및 합가, 7세때 분가
    아이들이 태어나고 지금까지 사는곳 경북

    이런 상황에
    제 아이들 모두 초1, 초3, 초5 모두 거의 표준말 씁니다

    초5가 올해 사투리를 조금 쓰다가
    (억양을 표준말로 고쳐주면 반항적이었어요, 친구들 선생님 다 사투리 쓰는데????라면서요)
    그런데 경기도 사는 사촌이 갑자기 "근데 너 왜 사투리 써?"
    (그동안 애가 사투리를 안썼거든요, 갑자기 쓰니까 이질적이었나보더라고요)
    이후 표준말, 표준억양 쓰려해요

    여아라서 좀 민감하지만
    사촌의 반응으로 당황했나봐요
    그리고 저희가 대학 서울가면 고생해 라고 말하죠 (아...서울 가는건 부모 욕심이죠 ㅋㅋ)

    암튼 아이들 이 지역 택시 타면 가끔 기사님들이 물어봐요
    애들이 조부모님 댁에 놀러왔냐고요

    제 생각엔 주양육자가 표준말을 쓰니 아이들도 닮아가요

    저흰 아이들이 4살때 어린이집 다니기 시작했어요
    태어나서 3년동안 표준말 많이 듣고
    밤에 조부모님, 아빠 와서 함께 저녁식사..
    그래서 그런건지 아이들이 거의 표준억양 써요..

    대신 초5는 제가 가끔 다시 고쳐줘요
    억양이 자꾸 경상북도 억양이 나올때 있어서요...


    나중에 어디 살지 모르는데..
    사투리를 쓰면 힘들다라는게 저희 부부 생각이라서요
    (남편도 10년 서울 생활했는데, 고향오니 다시 사투리 씁니다
    전 10년 넘게 경북 살게 되니 가끔 사투리 따라해요
    그래도 서울말투 안잊으려고 노력해요 자주 서울을 가는지라 서울서 튀지않고 싶어서요 익명에 묻히는 그 마음)

    지방 사시는 분들께는 기분나쁠 수 있지만
    서울에서 35년동안 나고자라서 더 그런거 같아요

  • 9. ㅎㅎ
    '25.10.19 11:47 PM (49.236.xxx.96)

    저랑 남편 둘 다 사투리 안쓰는데
    울아들은 부산 사투리 원단으로 써요 ㅎㅎ
    안쓰다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어쩔 수 없더라고요
    친구들하고 어울리니까요
    지금 미국에 가 있는데
    여전해요
    웃겨요
    근데 사투리 쓰면 안되나요?

  • 10.
    '25.10.19 11:55 PM (118.219.xxx.41)

    사투리 쓰면 안되는건 아니죠

    근데,
    서울에서 생활 할때
    여자아이는 좀 걸림돌이 되거나, 시선이 몰리니
    빠르게 표준어를 습득하더라고요

    대학가서 다양한 사투리를 접해보니
    특히 여학생이 빠르게 표준어로 바꾸더라고요

    그런 고생을 하지말라는 의미일 뿐,
    사투리를 비하히거나 그런건 아니에요

    저희는 한달에 한번은 서울을 가니
    표준어를 쓰는게 더 편해서
    시선을 덜 받아서
    그럴뿐이에요

  • 11.
    '25.10.19 11:57 PM (61.47.xxx.61)

    사투리 금방 배워요
    아니라고해도 그억양이있더군요

  • 12. ...
    '25.10.20 1:34 AM (180.70.xxx.141) - 삭제된댓글

    저는 수원 사는데
    작은아이 친구네가 부부가 둘 다 부산이예요
    중3인데
    사투리 억양도 없어요 표준어 구사
    집에서는 간혹 사투리 억양만 약간 있게 말 한다네요

  • 13. 부모
    '25.10.20 7:21 AM (211.205.xxx.145)

    표준말. 아이들 1세때부터 경남.부산거주.사투리 전혀 안 써요.
    반전은 친구들이랑 있을때 써요.
    상대방이 표준어쓰냐 사투리 쓰냐에 따라 아이들 쓰는 언어도 달라짐.
    어릴때는 밖에서도 표준말 썼는데 크면서 그런다는데 저는 안 봐서 몰라요.
    저랑 말할때는 표준말 써서요.

  • 14. ...
    '25.10.20 8:21 AM (211.48.xxx.45) - 삭제된댓글

    부모가 사투리 안 써도
    친한 친구의 사투리를 따라하네요 ㅋㅋㅋㅋ
    그리고 서울에서 나고 자라도 부모의 사투리 억양이 묻어나요.
    서울 출생인데 엥 억양이 ? 엄빠 억양을 살짝 따라하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5797 캄보디아 출국 한국인 매년 2000-3000안돌아와 13 ... 2025/10/22 2,240
1765796 피고 이재명의 민주당이 하려는 사법개혁 11 .... 2025/10/22 832
1765795 사법부가 이걸 실행하려고 계획하고 있나보네요 3 ㅇㅇ 2025/10/22 1,877
1765794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추모미사 10월27일.. 2025/10/22 433
1765793 최민희의원실 최근 자녀 결혼식관련, 사실관계를 바로 잡습니다. 31 최민희의원실.. 2025/10/22 15,338
1765792 체중감량하니 좋은 점 중 하나가 6 누리야 2025/10/22 6,013
1765791 코스피 말도 안됨 진짜 8 2차전지러 2025/10/22 5,707
1765790 불교기도에도 난이도나 순서가있나요? 3 능엄주 2025/10/22 807
1765789 호주 멜버른에 1년에 8-9회나 방문한 중국인 여성. 12 걱정 2025/10/22 6,174
1765788 제눈에 피눈물나게 한 사람 벌받으라고 늘 기도해요 8 2025/10/22 2,823
1765787 71년생 요즘 몸 어때요? 10 2025/10/22 4,711
1765786 소기름으로 튀긴 클래식 삼양라면 돌아온다 14 ........ 2025/10/22 4,104
1765785 명언 - 모든 위대한 사람들의 공통점 ♧♧♧ 2025/10/22 1,409
1765784 함께 느껴요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 아,지금 이.. 2025/10/22 669
1765783 더민주 부동산정책 Q&A Sds 2025/10/22 574
1765782 은수저 찾아보세요 9 하푸 2025/10/22 5,106
1765781 아파트 매수할때 부동산은 한곳만 거래하시나요? 6 이삿날 2025/10/22 1,246
1765780 가스레인지 당장 바꿔라" 전문가 경고 나왔다  9 하아… 2025/10/22 6,732
1765779 부모생일을 언제까지 챙겨야될까요?ㅜㅜ 33 숨막혀 2025/10/21 9,316
1765778 금값, 4년 만에 최대폭 하락…트럼프·시진핑 회담 앞두고 과열 .. 끝물인가 2025/10/21 4,739
1765777 경제적인 지향점이 높은 남편 19 Bb 2025/10/21 4,337
1765776 금값이 하락폭이 크네요. 18 .... 2025/10/21 16,730
1765775 체력이 강해야 그체력 바탕으로 에너지도 있고 성공하는것 같아요 5 2025/10/21 2,258
1765774 취중진담 6 와인한잔 2025/10/21 2,480
1765773 오래된 아이 배냇저고리 가지고 계신분 27 있나요 2025/10/21 5,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