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딸이 월세 내느니 지금 집을 사는 게 어떻겠냐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dprh 조회수 : 3,227
작성일 : 2025-10-18 11:09:05

 

딸이 집을 사려고 하네요. 34세, 6억 이하의 매물에 한해서 생애최초 주택마련하는 젊은이에게 주는 
저리 혜택을 받아서 사려고 하는데, 지금 이 시점에서 더 기다리는 게 나을지 바로 사는 게 나을지 판단이
안 선다고 제게 조언을 구하는데, 제가 지방에 사는데다 부동산쪽으로 아는 게 없어놓으니 엄마라고 제대로 된
조언을 주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재는 2억 5천 보증금, 월 55만원의 반전세로 살고 있습니다. 아이는 월세 주느니 저리로 대출 갚아나가는 게 낫겠다 싶다고 하는데, 저는 잘 모르겠네요. 아직 계약기간도 내 후년까지 남아있는데, 벌써 뭐 이렇게 서두를 필요가 있나 싶은 게 제 마음이거든요.  아이는 오늘 내일로 빨리 결정을 지으려고 하는 모양이에요. 

 

IP : 211.218.xxx.157
3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답
    '25.10.18 11:33 AM (39.125.xxx.210)

    솔직히 정답을 모르니까 결국 본인이 원하는 해로 하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요.
    전재산이 걸린 문제라서 참 어려워요.

  • 2.
    '25.10.18 11:39 AM (116.120.xxx.222)

    따님판단이 현명하다고봐요
    월세는 그냥 공중에 사라지는 돈이지만 대출내서 갚아나간다 생각하면 집은 남으니까요

  • 3. 원글
    '25.10.18 11:40 AM (211.218.xxx.157)

    제가 준 조언도, 지금 가격에서 떨어져도 주거의 안정성이 확보돼서 괜찮다 싶으면 저질러라 했는데... 쉽지 않네요

  • 4. ..
    '25.10.18 11:42 AM (115.143.xxx.157)

    자꾸 집사는게 현명하다느니 누구나 다 아는 소리만하는데
    그게 아니라 지금 걱정은 이게 상투 가격인지 아닌지에요

  • 5. 원글
    '25.10.18 11:47 AM (211.218.xxx.157)

    아 님의 판단이 딸의 생각과 같네요. 근데 돈이 빤해놓으니 20년도 넘은 대단지 구축 아니면 나홀로 준신축 정도가 할 수 있는 최선인가봐요.

  • 6.
    '25.10.18 11:47 AM (175.197.xxx.135)

    어디에 사려는지 모르겠지만 충분히 알아보고 하면좋쵸
    내집 가지고있음 그게 씨드머니가 돼서 움직일 수 있고 이사걱정 덜 수 있으니 전 좋다고 봅니다

  • 7. 원글
    '25.10.18 11:48 AM (211.218.xxx.157)

    점 두개님이 짚은 핵심이 사실 고민의 요체지요

  • 8.
    '25.10.18 12:00 PM (211.235.xxx.175) - 삭제된댓글

    6억 집에 상투랄게 뭐가 있어요
    동네에 따라 다른데 어디를 말하는지 모르니
    여지껏 오르지않았음 앞으로도 오르지않을거고
    조금씩이라도 올랐음 앞으로도 오를거니 사는거죠
    산다면 대단지구축을 사고 나홀로 신축은 아니라고 봐요

  • 9.
    '25.10.18 12:01 PM (211.235.xxx.175) - 삭제된댓글

    6억 집에 상투랄게 뭐가 있어요
    동네에 따라 다른데 어디를 말하는지 모르니
    여지껏 오르지않았음 앞으로도 오르지않을거니 사지말야하고
    조금씩이라도 올랐음 앞으로도 오를거니 사는거죠
    산다면 대단지구축을 사고 나홀로 신축은 아니라고 봐요

  • 10. 그런데
    '25.10.18 12:03 PM (118.235.xxx.136)

    만약 6억짜리 집을 사려면 대출이 3억5천이 더 필요하고
    5억짜리 집을 사려면 2억5천이 더 필요한데,

    대출 가능액과 월납 원리금이 얼마일지를 따져봐야ㅇ하지 않나요?

  • 11.
    '25.10.18 12:06 PM (211.235.xxx.175)

    6억 집에 상투랄게 뭐가 있어요
    동네에 따라 다른데 어디를 말하는지 모르니
    여지껏 오르지않았음 앞으로도 오르지않을거니 사지말야하고
    조금씩이라도 올랐음 앞으로도 오를거니 사는거죠
    과거 몇년 실거래가 봐서 망망대해 수평선이면 아닌거에요
    산다면 대단지구축을 사고 나홀로 신축은 아니라고 봐요

  • 12. 원글
    '25.10.18 12:10 PM (211.218.xxx.157)

    점 두개님 성격이 시원시원하시겠어요. 제가 은행 빚이라면 무시무시하게 여겨서 여태 마이너스 통장 말고는 은행에 빚내본 적이 없을 만큼 간이 작습니다. 간 작은 엄마가 딸이 어마어마한 대출을 받아 꼭지에 사는 게 아닌가 싶어 조마조마해서 그러네요. ㅎ

  • 13. 원글
    '25.10.18 12:21 PM (211.218.xxx.157)

    딸하고 통화해보니 나홀로 신축은 가보니 역시 아니라고 하네요.

  • 14. ...
    '25.10.18 12:29 PM (223.39.xxx.176)

    6억이 2억이 되면 상투죠
    일본 중국처럼..

  • 15. ...
    '25.10.18 12:35 PM (119.196.xxx.144)

    나홀로든 구축이든 입지가 안 좋든.. 서울집은 가성비 있는 매물이라는게 없어요. 딱 그 가격만큼의 장/단점이 있는거거든요..

    월세보다 내집마련이 낫다는 따님 생각에 동의합니다만, 그 가격이면 학군이 안 좋다거나, 역에서 멀다거나, 세대수가 작다거나 하는 단점은 안고 매매하셔야 할 꺼에요

  • 16. 원글
    '25.10.18 12:41 PM (211.218.xxx.157)

    그렇겠지요. 아이는 싱글이라 역세권만 고려하는 모양입니다. 지금 보려고 하는 구축은 단지는 1000세대 이상인 대단지이고 역에서 가까운데 무려 22,3년 된 아파트라네요. 오후에 가본다고 합니다

  • 17. ...
    '25.10.18 1:30 PM (223.38.xxx.129)

    서울에서 22~23년이면 오래된 것도 아니예요.
    2000년대 초반에 지은 아파트들인데,
    지하주차장 있고, 베란다 넓고, 엘베 크고, 주차장도 그럭저럭.
    이 시기에 지은 아파트들이 나쁘지 않아요.
    당시만 해도 한국인들이 지은 집이라 하자도 적어요.
    아파트는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입지입니다.
    (역세권 중요)
    2000년도 초반 아파트 정도면 돈벌어서 리모델링만 해주면 좋죠.
    지금 80년대(전두환, 노태우)에 지은 아파트들도 재건축이 안되서 그냥 사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2000년대면 땡큐입니다.

  • 18. 여기서
    '25.10.18 1:37 PM (113.199.xxx.97)

    관망하라는 동안에 서울집값이 어떻게 됐나요
    상투따지기 시작하면 집 못사요
    적당히 감당할수 있는 값에 마음에 드는 집이면 잡는거죠

  • 19. ..
    '25.10.18 1:42 PM (115.143.xxx.157)

    6억집에 상투랄게 뭐 있냐니요?
    윗님 허세 부린다고 말 함부로해서 사람들 피해보게 만들지 마세요
    6~7억에 영끌대출로 샀다가
    4~5억 내려앉은집들 수두룩해요
    허세꾼한테는 1억대출 우습겠지만
    월급받아 애키우는 젊은층한테는 2~3억 대출받으면
    월이자만 월급의 4~50% 돈이에요

  • 20. 원글
    '25.10.18 2:46 PM (211.218.xxx.157)

    제일 우려되는 상황이지요.

  • 21. . .
    '25.10.18 3:46 PM (115.143.xxx.157)

    토지거래허가제 지정구역은 지금 들어가시면 2년은 못나와요. 해당역 부동산 규제 뉴스도 찾아서 확인하고 결정하세요.

  • 22. 원글
    '25.10.18 4:01 PM (211.218.xxx.157)

    딸 아이는 일단은 주거 안정이 최우선적 목표인 것 같아요. 그래도 말씀하신 것처럼 어떤 식의 제약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은 필수이겠군요.

  • 23. ....
    '25.10.18 4:18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잠시 오른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 24. ...
    '25.10.18 4:20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오른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 25. ,..
    '25.10.18 4:22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오른 사지 말았어야 할 시기에 집을 잘못산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

  • 26. ...
    '25.10.18 4:24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오른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

  • 27. ...
    '25.10.18 4:26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급등한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

  • 28. ...
    '25.10.18 4:32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많이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급등한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이런 집들을 6억짜리 집에 비교하며 똑같을거라고하는것도 피해주는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집에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요

  • 29. ...
    '25.10.18 4:43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그렇게 생각하면 그냥 평생 렌트해서 살아야죠 뭐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많이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급등한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이런 집들을 6억짜리 집에 비교하며 똑같을거라고하는것도 피해주는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집에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요

  • 30. ...
    '25.10.18 4:45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그렇게 생각하면 그냥 평생 렌트해서 살아야죠 뭐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많이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급등한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이런 집들을 6억짜리 집에 비교하며 무조건 똑같을거라고 폭락할거라고 말하는것도 피해주는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집에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요

  • 31. ...
    '25.10.18 4:51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그렇게 생각하면 그냥 평생 렌트해서 살아야죠 뭐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많이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급등한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이런 집들을 6억짜리 집에 비교하며 무조건 똑같을거라고 폭락할거라고 말하는것도 피해주는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집에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요
    저 위에 일본 비교하는 사람 있는데 일본 도쿄는 서울보다 커요

  • 32. ...
    '25.10.18 4:53 PM (1.237.xxx.38)

    어디 인구 소멸하는 지방집도 아니고
    땅값 자재비 인건비 다 올랐는데 서울 수도권 출퇴근 되는 역세권 6억짜리 집이 어떻게
    2억이 돼요
    그렇게 생각하면 그냥 평생 렌트해서 살아야죠 뭐
    6억 이상 대출 받아 4억 떨어진집은 많이 비싼집이고 이번 오름세에도 회복이 안됐다면 풍선효과로 잠시 급등한 사지 말았어야 할 집을 잘못산거죠
    이런 집들을 6억짜리 집에 비교하며 무조건 똑같을거라고 폭락할거라고 말하는것도 피해주는거죠
    그러니 동네 따라 집에 따라 다르다고 하는거고요
    저 위에 일본 비교하는 사람 있는데 일본 도쿄는 서울보다 세배이상 커요
    인구도 많지만

  • 33. 무주택자
    '25.10.18 4:55 PM (124.50.xxx.66)

    무주택자면 사야죠

  • 34.
    '25.10.18 5:57 PM (223.38.xxx.106)

    듣고 싶은 소리만 들으면서 결정했다가,
    망한 사람 많죠.
    이런건 그 누구도 알수없어요.
    그냥 자기맘 가는대로 하는거지!!

  • 35. 저는
    '25.10.18 6:22 PM (74.75.xxx.126)

    세계 어디든 집은 사두면 오른다라는 막연한 진리를 믿는 사람이라서요.
    유일한 재테크는 집을 사는 거였어요. 서울에 25년 전에 1억5천 들여서 아파트 하나 사놓고 해외에 일하러 나온 후 어느 나라든 장기간 머물 일이 생기면 집을 샀어요. 따님과 같은 생각, 단순하게 생각해서 렌트비는 매달 내면 돌아오지 않지만 대출받아 집을 사면 그건 내 재산이 되는 거잖아요. 그러다보니 이제 한국 아파트 플러스 미국에 집 두 채 영국에 한 채 갖게 되었는데요. 제가 외국 시골에 집을 산다고 뭘 모르고 하는 미친짓 말려야 한다고 사돈에 팔촌까지 전화해서 사지 말라고 했어요. 그래도 전 은행에 적금할 거 집에 투자 했는데요. 절대 오를 일 없다던 시골 집들이 코로나 이후로 두 배로 뛰었네요. 공기좋은 시골에 세컨하우스 사려는 열풍 때문에요.

    제 결론은, 사람일은 아무도 모르는 거다. 따님이 지금 집을 살 때다 촉이 온다면 말리지 마시고 협조해주는 게 맞다 싶어요.

  • 36. 원글
    '25.10.18 6:51 PM (211.218.xxx.157)

    저는님, 참 대단하시네요. 판단도 빠르고 운도 따르셨나보네요. 딸애가 내일 가서 보기로 했다 하니 결정을 지켜봐야겠네요.

  • 37. ..
    '25.10.18 6:59 PM (58.124.xxx.98)

    2년전 딸이 35살 이었을때 서울집은 항상 지금이 제일 싼것
    같다면서 5억 대출받아 8억 아파트를 샀어요
    대학 직장 10년 넘게 오피스텔 생활이 지도 답답했던지
    월세100을 내니 은행에 이자를 주겠다고요
    남편이나 저나 딸이 객지생활 하는동안 왜 대출받아
    서울에 집 살 생각을 못한건지
    2년전 살짝 고점에서 내려왔을때 8억에 산 그 아파트가
    지금 12억에 거래되네요
    지방사는 사람들은 진짜 허무하네요

  • 38. 원글
    '25.10.18 7:26 PM (211.218.xxx.157)

    따님이 제 딸과 비슷한 나이였을 때 과감한 결정을 내렸군요. 지방 출신 아이들이 서울에서 떠돌이 생활하며 집 때문에 고생을 많이 하지요. 대학 때부터 해서 지금 15년째 서울 생활인데, 참 그동안 이사 많이 했네요. 원룸도 여러번 옮기고.... 어떤 집은 옮겼다고 해서 가보니 평형이 안 맞아서 골프공이 구르던 집도 있었어요. 집에서 쉬는 게 쉬는 게 아닌 집이었어요.

    대학 들어갈 때 원룸 구해준 이후로 혼자서 방 구하고 이사하고 그러고 여태까지 살아왔는데, 어쩌다 그런 소리를 하더군요. 엄마가 나 대학 다닐 때 작은 아파트 하나 서울에 사놓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다 허무한 소리지요.

  • 39. ..
    '25.10.18 7:45 PM (58.124.xxx.98)

    네 제 딸도 원룸 기숙사 오피스텔 진짜 많이 떠돌아다녔네요
    그당시에도 서울사는게 스펙이라는 시대였으니
    처음 학교앞 허름한 원룸 6천 전세 얻어주고 내려오면서
    저 많은 아파트중에 우리집은 없구나 하면서 내내 차안에서
    울어놓구는 대출 땡겨 집 사면 못살 형편도 아니었구만
    딸이라 곧 결혼할텐데 하는 마음도 있었고 대출 받으면 큰일
    나는줄 아는 경제 관념 꽝인..
    어쨌든 요즘 젊은애들이 더 똑똑하다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5350 내일 대구가는데 뭘 입어야 할까요? 대구 20:51:19 9
1765349 대전 분양권 매물 늘어나는데, 살까요? 기다릴까요? 4 ........ 20:45:28 160
1765348 센타스타랑 호텔그랜드 이불 사용해보신분 후기 부탁드려요 이불 20:42:21 78
1765347 송중기에 대해 맨날 악의적 글쓰는 사람 4 지겨워 20:37:26 363
1765346 직장인 브이로그 자주 보는데 음식 잘 안해먹네요 1 A 20:37:19 168
1765345 50대 후반인데 말이 헛나와요 2 고민 20:36:52 489
1765344 수학 또래교사 튜터링 대회 ... 20:35:44 98
1765343 내일 논술보러가는데 3 콩ㅇ 20:21:39 399
1765342 당근이름으로 검색이 .... 20:20:24 106
1765341 도파민 터지는거 싫어하는 분 있죠? 2 도파민 20:20:07 455
1765340 냉무)속보] "트럼프, 아시아 방문 때 김정은 회동 조.. 7 lil 20:19:17 1,570
1765339 성당 자매님이 암웨이를 하시는데... 10 ... 20:13:31 1,045
1765338 서울은 대출 많이 받고 아파트를 사다보니 12 ... 20:10:03 1,352
1765337 구치소가 모자르겠어요. 2 .. 20:09:52 335
1765336 넷플릭스 굿뉴스 지금 상영중 7 ㅇㅇ 20:07:48 972
1765335 장사하니 세상에 혼자네요.. 6 0011 19:59:06 2,302
1765334 상하이 중심지 고가주택 32억 집이 10억 되었다네요 21 ... 19:57:55 2,332
1765333 정정하신분들은 8090에도 정정하시네요 8 19:56:55 966
1765332 담요 어떤게 나을까요? 코스트코 19:55:39 124
1765331 친정조카 노산 후 갑작스런 심부전 9 심부전 19:52:59 2,070
1765330 월세로 계약시,주의해야 할 것들 좀 알려주세요 ~~ 월세로 19:48:55 132
1765329 고교학점제(현고1) 내년 선택과목 변경 하려고 하는데요 21 .. 19:46:08 475
1765328 카톡 사진뜨는거 10 kjchoi.. 19:45:45 1,032
1765327 김남주 유튜브 그만두네요 10 김남주 19:43:45 4,019
1765326 모르는 거 너무 많고 물어볼 건 많았어요. 3 ㄷ래ㅔ 19:34:51 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