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거즈타올, 소창타올 써 보신 분?

갈자 조회수 : 1,342
작성일 : 2025-10-12 10:52:51

원단 사서 바느질 해보려고요. 

장단점 궁금합니다. 

일단 한 마씩 사 볼까요??

여름 지나면 한가해 지는 직업이라 별 짓을 다 하네요. 

재봉틀 꺼내기 귀찮아 손 바느질 할 겁니다.ㅎㅎㅎ

그까이꺼!!

 

IP : 39.123.xxx.83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소창
    '25.10.12 11:09 AM (211.119.xxx.164)

    거즈타올은 안써봤지만 소창타월은 써봤어요.
    좋은점은 많은데 필히 사용해보셔야합니다.
    개인별로 호불호가 있어서요

    간단히 손닦는용으로야 다들 OK하시는데
    목욕후 몸도닦고 머리도 닦는용으로 쓰자 하면
    좋다는 분도 있고, 기존 타월을 돌려달라는 식구도 있습니다
    처음 한두개만 사거나 만드셔서 사용해보신후 결정하세요

  • 2. ㅇㅇ
    '25.10.12 11:16 AM (58.122.xxx.186)

    소창 많아서 행주 손수건 목욕타월로 쓰다가 발수건 걸레까지 야무지게 잘 쓰고 있어요 다른 가족들은 일반수건이 좋대서 제 전용입니다 건조기 안 돌려도 잘 말라서 좋아요

  • 3. ㅎㅎㅎㅎ
    '25.10.12 11:24 AM (39.123.xxx.83)

    내 타올 돌리도~~!!!ㅎㅎㅎㅎ
    얇아서 그런 거죠?
    몇겹으로 하는 게 좋을까요??

  • 4.
    '25.10.12 11:26 AM (211.234.xxx.224)

    거즈타올 후기좀 올려주세요.
    거즈도 종류가 많을거 같은데.
    외국에서 거즈타올을 구매했어요.
    너무 오래되어서 이젠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이거만한게 없어요.
    물기를 어찌나 잘 제거해주고
    몸에 쓸림도 없고
    가볍고..그렇습니다.
    원글 성공하시면 저두 만들고 싶네요.

  • 5. 0 0
    '25.10.12 11:27 AM (118.235.xxx.169)

    소창수건 빨리 마르기는 하는데 흡수율이 떨어져요.
    저희는 여름에는 애기들 순면 기저귀 무늬 없는 거 써요.

  • 6. ㅎㅎㅎ
    '25.10.12 11:29 AM (39.123.xxx.83)

    웅님 쓰시던 건 두께가 어떻게 되나요?
    몇겹 정도 돼야 좋을지 감이 안와요.
    성공하면 올리겠습니다!!

  • 7.
    '25.10.12 11:44 AM (211.234.xxx.224)

    뜯어보지는 않았는데
    두께상 네겹이상은 확실해보여요.
    배쓰용은 더 도톰해요
    제 거즈 타올은 마무리 테핑도 거즈에요.
    그래서 거스리는 부분없고 마름도 일정합니다.
    성공하시기를..

  • 8. 거즈는
    '25.10.12 11:46 AM (211.234.xxx.171)

    먼지가 발생하더라구요.
    손자 아기이불 해줬는데, 쓰다보니 먼지 나더라구요.
    소창으로 화장솜(미니 손수건) 손수건 수건 목욕타올 무릎담요로 써요.
    수건은 3겹이 좋더라구요.
    안 밀리게 잡아주는게 좋을 것 같아요.
    2겹은 괜챃은데, 3겹은 밀려요
    미니손수건 12~13센티 정도 되요
    세탁하면 줄어서 처음에는 14~15였을거예요
    정사각예요
    처음에는 2겹였는데, 지금은 4겹으로 써요
    이거 정말 좋아요
    화장솜도 되고 손수건도 되고, 얇은 건 화장실용 ㅎㅎ
    행주는 3겹 쓰다가 불편해서 2겹 써요
    귀찮으면 한겹으로 이리저리 접어서 사용해요
    소창 저렴해서 왕창 사다가 필요할 때 이것저것 만들기 좋아요
    다만 손바느질이라서 엉성하고 귀찮을 뿐 ㅠ.
    참 구입할 때 우리나라껀지 잘 확인해야 돼요
    전 이거 소홀히 해서 받고보니 중국꺼더라구요
    귀찮지만 좋아요
    완성하고 세탁하면 2~3센티 줄어드니 감안하고 만드세요
    중간중간 다림질하면서 하니 더 편했어요

  • 9. 처음에는
    '25.10.12 11:48 AM (211.234.xxx.171)

    구입해서 썼고 요즘은 엉성하게 따라 만들면서 쓰네요^^

  • 10. ㅎㅎㅎㅎ
    '25.10.12 12:00 PM (39.123.xxx.83)

    웅님
    마무리 테이핑은… 패스!
    박고 뒤집어 다시 한번 박음질로 끝내려고요.
    바이어스 힘들어욯ㅎㅎㅎ

    거즈는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거즈로 기울었는데 소창으로 턴 하나요??!!

  • 11. 저는
    '25.10.12 12:04 PM (180.71.xxx.43)

    소창 행주를 쓰는데
    이게 주기적으로 삶아서 그런지 잘 닳는 것 같아요.
    내구성이 떨어진달까요?

  • 12.
    '25.10.12 12:23 PM (211.244.xxx.188)

    일본이 소창 타월 많이 쓰는것 같은데, 여행가서 한번 써봤거든요.. 근데 이게 쓱쓱 닦이지 않고 톡톡 두드리며 닦아야해요.. 얼굴은 모르겠는데 몸은 한세월이라 안되겠더라구요. 피부엔 정말 좋겠더라구요.

  • 13. ㅎㅎㅎ
    '25.10.12 2:09 PM (39.123.xxx.83)

    거즈도 소창도 부드러움과 빠른 흡수력 때문에 사용하려는 거라
    빨리 헤짐은 감수해야 할 것 같네요. ㅎㅎ
    소창 거즈 샘플로 하나씩 만들어 보고 결정할께요!
    다들 생생한 체험담 고맙습니다!
    긴긴 연휴 마무리 잘 하세요!!!

  • 14. 강추
    '25.10.12 4:00 PM (106.101.xxx.68)

    거즈는 먼지나서 사용안해요 행주까지는 씁니다 소창수건 전 만들어써요3겹으러요 미싱으로박아요 이거 정말강추해요 먼지없고 쓸수록좋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3079 7 .... 2025/10/12 2,397
1763078 세종대왕은 진정 킹갓대왕 .. 2025/10/12 823
1763077 아줌마가 주식 이야기하면 버블 정점? 19 ... 2025/10/12 3,494
1763076 캄보디아 살인-대치동 마약음료, 같은 중국인 소행이었다 18 속보 2025/10/12 3,255
1763075 이정도 운동량이면 어떤가요? 3 .. 2025/10/12 1,274
1763074 감기가 계속 걸려요 ㅠㅠ 13 2025/10/12 2,012
1763073 노래찾기 1 한시간째 2025/10/12 244
1763072 홈쇼핑 순금 귀걸이 어떤가요 3 ... 2025/10/12 2,057
1763071 캄보디아 납치 또 있네요 13 캄보디이 2025/10/12 3,464
1763070 1년에 미용비 100~130만원 쓰면 과할까요? 17 죄송궁금 2025/10/12 3,908
1763069 무인카페 커피도 저는 그냥 먹을만해요 5 ........ 2025/10/12 1,580
1763068 은중과 상연 뻘한 궁금증(스포 있음) 8 ... 2025/10/12 1,907
1763067 챗지피티는 저 같은 사람에게 너무 좋은 친구네요. 6ㅔㅁㅛ 2025/10/12 1,065
1763066 아버지가 갑자기 계속 주무시고 소변 실수를 하세요 도움 부탁드려.. 29 아빠딸 2025/10/12 9,256
1763065 대상포진 접종은 걸렸던 사람도 맞나요 7 2025/10/12 1,740
1763064 백해룡경정이 한동훈을 잡을 것 12 2025/10/12 2,980
1763063 요즘 아파트 살내에서 키우는 화분 상태 어떠세요? safari.. 2025/10/12 889
1763062 요즘 싫은 광고 7 2025/10/12 2,299
1763061 지금 대하철인가요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2 2025/10/12 1,212
1763060 50대 다이어트 10 다이어트 2025/10/12 3,085
1763059 가벼운 안경테 5 2025/10/12 1,489
1763058 ㄷㄷ마약 정말 심각하네요 3 .. 2025/10/12 3,562
1763057 미국 단기 국채 어때요? 빨강만좋아 2025/10/12 441
1763056 고1 아들 왜 뭐든 임박해서 급하게 난리일까요? 7 왜그러니 2025/10/12 1,524
1763055 보호자동의없이 정신병원 강제 입원 가능? 이거 사실인가요? 15 뭐지? 2025/10/12 2,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