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고령화가 세계적인 추세다보니 연금이란 제도가 문제네요

ㅇㅇ 조회수 : 1,392
작성일 : 2025-10-09 09:45:20

연금을 도입할 때는 고령화를 염두에 두지 않고

퇴직 후 노년층의 복지에 획기적인 시스템으로 인식되었는데

지금처럼 저출산 인구감소가 나타나고 고령화가 진행된다면 연금제도는 지속되는게 불가할것 같아요

차라리 연금 대신 퇴직금으로 가는 게 오히려 문제점의 해결이 아닐까 싶어요

 

IP : 210.126.xxx.111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런 이유로
    '25.10.9 9:59 AM (61.73.xxx.204) - 삭제된댓글

    연금이 더 필요한 거죠.
    퇴직 이후 죽을 때까지 무슨 돈으로
    사나요?
    제도 지급 방식은 바뀌더라도
    꼭 필요한 정책이라고 봐요.

  • 2. ....
    '25.10.9 10:34 AM (223.38.xxx.92)

    70세 정도 수명으로 예상했는데
    85~90세까지 사니까 연금이 고갈.

  • 3. ㅅㅅ
    '25.10.9 10:50 AM (218.234.xxx.212)

    1. 수명 길어짐
    2. 저금리 시대로 연금의 가치가 높아짐.(예: 2억이면 이자만으로 월2백이 나왔는데 이제 10억 가까이 필요.)
    3. 대신 젊은 자녀가 개별적으로 부모를 봉양하진 않음. 젊은 세대가 연금, 세금 등으로 부모세대 공동 부양중
    4. 그렇다고 퇴직일시금이 대안은 아닐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2138 조용필의 'Q'라는 22 유브갓메일 2025/10/09 4,272
1762137 냉부 보고 라따뚜이 해 먹었어요. 4 ** 2025/10/09 1,665
1762136 와 어제 기장 더웠어요 5 기장 2025/10/09 2,112
1762135 내가 매일 안살고싶은 이유 29 istp 2025/10/09 5,732
1762134 암걸린 강아지 체중계속 빠지나요? 4 ㅇㅇ 2025/10/09 654
1762133 주말부부지만 남편이 제 병명을 몰라요 12 .. 2025/10/09 4,978
1762132 윤석열 바보라고 비웃었는데 트럼프가 14 워매 2025/10/09 3,147
1762131 나솔 이번편 보면서... 4 ... 2025/10/09 3,014
1762130 부산 한상차림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2 .. 2025/10/09 522
1762129 40대 중후반 싱글여자의 경제상황 좀 봐주세요 8 ㅇㅇ 2025/10/09 2,909
1762128 비가 너무 싫어요.. 3 ㅜㅜ 2025/10/09 1,657
1762127 헌트릭스는 실제인물 세명도 어쩜 4 ........ 2025/10/09 2,358
1762126 여권 만기. 재발급 어떻게 하나요? 5 쉽게 2025/10/09 1,194
1762125 .......... 25 ........ 2025/10/09 4,252
1762124 60대입니다. 향수 사용하고 싶어요. 23 향수 2025/10/09 2,844
1762123 대가족 부모님 생신 어떻게 해드려요? 6 12명 2025/10/09 1,079
1762122 미국 깡패짓 보며 29 ㄱㄴ 2025/10/09 2,510
1762121 이재명 피자 만들었는데, 맛있어요~ 31 한쿡적인 맛.. 2025/10/09 3,625
1762120 개그맨도 예상하는 부동산 규제 8 아하 2025/10/09 2,683
1762119 자랑 심한 부모님, 진짜 어쩌나요. 22 .... 2025/10/09 4,785
1762118 야메 오징어전. 1 추석 2025/10/09 757
1762117 키 작은데 통돌이세탁기 큰용량 힘들까요? 12 ㅠㅠ 2025/10/09 947
1762116 일본 여행 후기 2탄.. 일본 남자 한국 남자 7 일본 2025/10/09 1,791
1762115 그거 아나요? 일본이 조총을 사게 된 계기 4 ... 2025/10/09 1,037
1762114 네이버 영화평점도 의심하고 봐야, 건국전쟁이 9점 4 네이버 2025/10/09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