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세계에서 지능지수 젤 높게나온 나라가

조회수 : 5,710
작성일 : 2025-10-07 19:52:58

1위가 일본

2 대만, 3 싱가폴, 4홍콩,5중국 다음 한국은 6위

아시아 인종이 상위권이네요

이번에 일본에서 노벨상도 탔던데..

 

https://ko.beautifulchart.com/전-세계-국가별-평균-iq-순위-동아시...

IP : 125.138.xxx.57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0.7 7:57 PM (118.235.xxx.38)

    1위 일본
    2~5 전부 중국계네요.
    싱가폴도 중국 화교계가 70% 넘잖아요

  • 2. .......
    '25.10.7 7:59 PM (110.9.xxx.182)

    이찍 경계성지능 애들때문에.....

  • 3. 허위기사
    '25.10.7 8:02 PM (118.235.xxx.45)

    1위이스라엘인가 홍콩인가던데
    왠 일본ㅋ
    토착왜구 와써요 뿌우

  • 4. ...
    '25.10.7 8:07 PM (1.237.xxx.240)

    제가 본 랭킹은 일본이 우리 아래던데...

  • 5. ..
    '25.10.7 8:08 PM (211.210.xxx.89)

    1위 인정못하겠네요. 인도,중국은 워낙 인구가 많으니 머리 좋은 애들도 넘쳐나겠죠.

  • 6. ...
    '25.10.7 8:16 PM (1.237.xxx.38)

    왜구 국뽕인가보네요

  • 7. 왜구들 출몰
    '25.10.7 8:22 PM (123.108.xxx.170)

    듣보잡 자료로 매국~~~

  • 8. ㅋㅋㅋㅋㅋ
    '25.10.7 8:26 PM (211.235.xxx.207) - 삭제된댓글

    아까 이재명 찬양 어쩌구 글 쓴 사람이군요?

    어쩐지 ㅎㅎㅎ

    일본 좋아해요? ㅋㅋㅋㅋㅋㅋ

  • 9. 난생첨
    '25.10.7 8:43 PM (121.128.xxx.105)

    들었어요. 왠 니뽄이요 ㅎ.

  • 10. ....
    '25.10.7 8:53 PM (219.254.xxx.63) - 삭제된댓글

    국제 IQ 테스트 플랫폼 ‘IIT’(International IQ Test)가 올 1월초 발표한 ‘2025년 국가별 평균 IQ’를 보면 1위가 중국(107.19)이고 2위가 한국(106.43)이다. 이어 일본, 이란, 싱가포르가 3~5위에 올라있다.
    https://www.oknews.news/news/articleView.html?idxno=14589#:~:text=%EA%B5%AD%EC...'IIT,3~5%EC%9C%84%EC%97%90%20%EC%98%AC%EB%9D%BC%EC%9E%88%EB%8B%A4.

  • 11. 별로
    '25.10.7 8:56 PM (182.221.xxx.40)

    안믿겨요. 조작에 강한 나라라서요.
    거짓말도 백번하면 진실이 된다는 나랴죠?
    장수 국가 1위라고 엄청 잘난체 했는데 알고보니 연금 때문에 죽어도 신고도 안해서 가짜 나이만 먹고있던 사기의 나라.

  • 12. ...
    '25.10.7 8:56 PM (219.254.xxx.63)

    IQ 순위의 진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2034500518
    국제 IQ 테스트(International IQ Test)는 2025년 전 세계 IQ 1~5위 국가로
    중국(107.19), 한국(106.43), 일본(106.4), 이란(106.3), 싱가포르(105.14)를 꼽았다.

  • 13. ...
    '25.10.7 9:04 PM (175.209.xxx.12)

    Lynn & Vanhanen 방식의 국가 IQ 연구는 학계에서 매우 논란이 많고 여러 비판을 받고 있어요.

  • 14. ...
    '25.10.7 9:08 PM (118.235.xxx.48)

    언제쩍 IQ
    EQ의 시대가 벌써 몇십년 되었는데요.아고 의미없다

  • 15. ㅇㅌ
    '25.10.7 9:16 PM (211.235.xxx.170)

    "시험"이라는거에 벌벌떨고 열심히 응시하는 사람들이 잘 나오니 동아시아가 잘 나오죠.

  • 16. 엥?
    '25.10.7 9:23 PM (61.105.xxx.165)

    일본이 iq가 높다니...
    그나라 성장 역사를 보면 믿을 수가 없는 통계네요.
    일본에서 의뢰 일본기관이 조사했나요?

  • 17.
    '25.10.7 9:27 PM (222.120.xxx.110)

    지금 일본의 모습을 생각하면 아이큐높다는게 믿어지지않네요.
    아이큐가 문제가 아니라 잔인하고 못되쳐먹은 민족성 어쩔. .

    은근슬쩍 또 일본 올려치기하네요.

  • 18. .....
    '25.10.7 9:29 PM (118.235.xxx.206)

    출처없는 기사네요.
    국가별로 규준을 만듭니다. 가령, 한국어 iq검사도구는 한국인을 체계적으로 확률표집하여 평균을 100으로 만든 거예요. 거기서 110은 일정 비율 밖에 못 나와요. 일본어 iq검사도구도 마찬가지. 브라질어 검사도구....다 그렇게 각자 규준이 있어요. 아이큐는 각 규준표를 기준으로 환산한 점수라 자체내 비교는 가능해도 국가별 비교는 성립이 안돼요. 원점수 비교는 몰라도요. 원점수는 또 문제가 있음...

  • 19. 근데
    '25.10.7 9:31 PM (118.235.xxx.109)

    어제부터 왜이리 일본 우쭈쭈하는 글이 올라오는거죠?

    잽머니를 풀었나 합리적 의심이 강하게 드는데요.

  • 20. Gpt says
    '25.10.7 9:34 PM (118.235.xxx.206)

    Lynn & Vanhanen의 국가 IQ 연구는 2000년대 초부터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았지만, 동시에 학계에서 가장 논란 많은 분야 중 하나임.
    1. 연구 개요
    대표 저작:
    IQ and the Wealth of Nations (2002, Richard Lynn & Tatu Vanhanen)
    IQ and Global Inequality (2006)
    주장 핵심:
    국가 간 경제적 차이(국민소득, 발전 수준 등)는 상당 부분 국민 평균 IQ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IQ가 높은 국가일수록 부유하고, 낮은 국가일수록 가난하다. 즉 “국민 평균 IQ → 경제 발전”이라는 인과 관계를 강조.
    2. 방법론
    자료 수집:
    일부 국가의 IQ 데이터(심리검사, 기존 논문, 교육 평가 자료 등)를 모아 평균치를 계산.
    데이터 보정:
    자료가 없는 국가는 인접국 평균, 인종·민족 추정치 등을 사용하여 채움.
    추론: 이렇게 얻은 “국가 평균 IQ”와 GDP, 경제 지표를 회귀분석으로 연결
    3. 주요 비판점
    학계에서 이 연구는 방법론·윤리·해석 모두에서 강한 비판을 받고 있음
    (1) 데이터 신뢰성 부족
    일부 국가는 소수 표본(수십 명)을 기반으로 국가 평균을 대표시킴. IQ 자료가 없는 국가는 추정치를 임의로 넣음. 표본의 연령, 지역, 검사 방식이 제각각이어서 비교 불가능.
    (2) 문화·언어 편향
    IQ 검사가 서구 문화 중심으로 설계되어, 비서구권 국가에서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번역 문제, 검사 익숙도, 교육 경험 차이가 결과에 영향을 줌.
    (3) 인과관계 왜곡
    Lynn & Vanhanen은 “IQ → 부 → 발전”을 주장했지만, 반대로 부 → 교육/영양/보건 → IQ라는 경로도 충분히 설명 가능.
    즉 인과 방향이 불명확함.
    (4) 윤리적·정치적 문제
    연구가 인종주의, 유전결정론에 이용될 위험이 큼. 실제로 극우 정치나 차별적 담론에 인용된 사례 많음. 학문적 토론보다는 정치적 논란을 더 크게 불러왔음.
    (5) 학계 평가
    여러 저널 리뷰에서 “심각한 방법론적 결함이 있어 신뢰할 수 없다”고 평가. 일부 학자는 “국가 IQ 데이터세트는 accurate, unbiased, comparable measure가 아니다”라고 단정하기도 함. Elsevier 등 주요 학술 출판사도 Lynn의 일부 논문을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한 적 있음.
    4. 현재 학계의 입장
    “국가별 평균 IQ” 개념 자체가 매우 불완전하고, 정치·사회적으로 위험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류 학계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대신,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교육 성취도(PISA, TIMSS, PIRLS 등)가 인지 능력 비교의 대안 지표로 더 신뢰받음.
    예: OECD PISA(15세 학생 읽기·수학·과학 성취도)
    이 지표는 표본 설계, 문화·언어 조정 절차가 훨씬 엄격함.


    Lynn & Vanhanen의 연구는 “국가 IQ”라는 개념을 퍼뜨렸지만, 데이터 부정확, 방법론 결함, 윤리적 위험성 때문에 학계에서 신뢰받지 못합니다. 현재는 “국가 평균 IQ 순위표” 같은 자료는 과학적 사실보다는 논란성 주장 또는 대중 흥미용 콘텐츠에 가깝습니다.

  • 21. 원하는 결과
    '25.10.7 9:41 PM (61.105.xxx.165)

    저 통계는 어느나라 후원으로 조사했을까요?
    예전에 후쿠시마 원전 터졌을 때
    세계 원자력 협회인가가 보여준 행태를 기억하는 전
    세계 어떤 단체도 후원만 하면
    어떤 방법을 쓰던
    후원한 곳의 입맛에 맞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게됐어요.

  • 22.
    '25.10.7 9:52 PM (222.233.xxx.219)

    예전에 봤을 때 일본이 의외로 저 아래여서 읭? 했던 기억이..
    그때는 일본이 잘 나갈 때르 아이큐도 높을 거라 생각했거든요

  • 23. 알바들
    '25.10.7 10:55 PM (118.235.xxx.146)

    매국노 소리 듣기 싫어서 이젠 일본 추종하기로 했나,

  • 24. 글쎄요
    '25.10.8 12:07 AM (216.147.xxx.199)

    예전에 영국에서 발표한걸로는 한국이 1위였는데
    놀라운건 중국같은 경우 정해진 학교에서 검사만 했는데 한국은 랜덤으로 아무데나 한 결과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1930 아들 군대 보낸 엄마의 넋두리 2 건강 00:19:20 170
1761929 한 20년전 미국마트 물가.... ..... 00:18:15 143
1761928 그옛날 100분쇼 1회 ㅇㅇ 00:17:09 61
1761927 요즘 승무원 학벌이 어느정도 되나요 1 ... 00:16:28 252
1761926 산소갈때 형제들 같이가나요? 제사말고 00:15:20 56
1761925 북유럽 여행 시기 1 안추워 00:13:48 82
1761924 미싱으로 옷.소품 만드시는 분 계시죠? 거북이 00:13:21 63
1761923 채식주의자가 뚱뚱한 이유 4 식단 00:10:00 576
1761922 분당 풍림아이원 잘아시는분 전세 00:06:50 159
1761921 마운자로 후기 6 ... 00:05:45 360
1761920 박경림과 김혜수 보면 진짜 미스테리한 점이 뭐냐면요 5 신기하다 2025/10/07 1,314
1761919 원래 제사없는 집인데 시아버지 돌아가셔서 성묘가는데 10 ㅇㅇ 2025/10/07 708
1761918 [팩트체크] "추석 차례 지내요" 응답, 10.. 2 123 2025/10/07 497
1761917 임은정 마약수사 결과는 언제 나올까요? 1 마약수사 2025/10/07 135
1761916 에브리봇 관계자분 1 부탁 2025/10/07 356
1761915 잘 안맞다고 생각하는 가족 피하는게 맞을까요? 2 ㅇㅇ 2025/10/07 413
1761914 요즘 일본인과의 결혼 14 통일 2025/10/07 828
1761913 EU도 철강 관세 50% 인상  6 포홀주주 2025/10/07 705
1761912 모텔에서 2일 묵으니 기분이 다운됩니다 19 숙소 2025/10/07 2,475
1761911 조용필과 나훈아 19 ... 2025/10/07 1,012
1761910 약간 무시하는 듯한 지인.. 5 2025/10/07 1,224
1761909 부세미 4회 넘 지루해요 4 ㅡㅡ 2025/10/07 1,165
1761908 가치관이 다른 행동을 보면 쉽게 불편함이나 분노 15 생각의 2025/10/07 689
1761907 스팀청소기 추천 해주실수 있을까요? 4 .. 2025/10/07 213
1761906 상금이 1억원이라고요? 14 2025/10/07 2,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