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자식 공부가 그렇게 중요한가요?

.. 조회수 : 3,570
작성일 : 2025-09-29 14:49:00

아직 제가 자식이 없어서 이해를 못하는 걸까요?

자식이 칼과 망치를 들고 부모를 때렸다는데도 이와중에 성적얘기 하는게 너무 이해가 안가네요

인간으로서의 기본소양이 갖춰진담에 공부 아닌가요?

 

저희집은 특이하게 부모님이 공부하란 얘기 한번도 안했어요

저는 서울상위권대학 제 동생은 지방대 갔어요

둘다 똑같이 공부하란 말 안들었고 결과는 본인성격과 공부머리에 따라 달라졌어요

누가 하란다고 하고 안하고가 아니고요

 

그리고 전 다른일 하다가 우연한 계기로 지금은 학원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학원에서도 보면 엄마가 영유부터 해서 어릴때부터 아무리 붙잡고 난리쳐도 본인이 공부하기 싫어하는 학생은 영혼이 빠져나간듯한 동태눈깔로 앉아있어요

이런학생은 학부모 상담할때도 괜히 제가 죄책감이 듭니다 그 학부모님이 내시는 학원비가 아깝단 생각이 들어서요

 

반면에 중1때 처음 학원 다니기 시작했다는데도(요즘 보기 드문 유형) 본인이 흥미 가지고 열심히 하니 빠른속도로 실력상승해서 어릴적부터 학원 오래 다녔지만 동태눈깔인 학생을 따라잡고 앞서나가네요

중학교때 시작하면 너무 늦었단 말 하는 분들도 있지만

중학교때 열심히 하면 어릴때부터 계속 해온 학생들과 별차이 안나게 되더라고요

유초등땐 보통 이해력과 받아들일수 있는 수준이 한계가 있으니까요

 

학원에서 보며 제일 안타까운 경우는

너무 어릴때부터 부모의 과도한 열정으로 애가 공부에 질려버려서 초등때까진 잘하다가 중등때 튕겨져 나가는 케이스에요

물론 이끌어주고 푸쉬해주는대로 다 받아먹고 선행이 잘되어 계속 수월하게 상위권 유지하는 학생들도 있어요

그래서 제 생각엔 본인자식이 어떤 상태인지를 부모님이 정확히 파악하는게 가장 중요한것 같아요

공부에 이미 질린 학생에겐 부모님의 푸쉬가 더 역효과만 생기는 경우도 많아서요

또 그러다 본인스스로 어떤계기로 정신차리면 늦게라도 재수나 편입 등을 해서라도 다시 좋은 대학 가는 케이스들도 꽤 있더라고요

 

암튼 학원에서 일하지만 조기교육이 실보다 득이 더 많은건가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게 되네요

 

IP : 221.144.xxx.2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으음
    '25.9.29 2:53 PM (122.32.xxx.106)

    부모님이 생계형 일을 하셨으면 그 시절에는 공부하란소리 안했죠
    손안 와이파이 환경도 아니였고

  • 2.
    '25.9.29 2:54 PM (223.38.xxx.187)

    저도 그 글 봤는데 이해가 안되는 엄마더라구요

  • 3. 안타깝죠
    '25.9.29 2:56 PM (221.138.xxx.92)

    그 가정은 가족 전체가 치료가 시급해요.
    지금도 안늦었는데...더 시간 보내지말고
    비용이 많이 들더라도 가족상담치료 전문가에게 도움 받아야해요.

  • 4. ..
    '25.9.29 2:57 PM (221.144.xxx.21)

    부모님은 아주 여유로운 경제력이셨어요
    엄만 전업이었구요

  • 5. 그러게요
    '25.9.29 3:15 PM (14.32.xxx.34) - 삭제된댓글

    저도 그 글에는 댓글 못 달았는데
    그 정도면 성적이나 학교가 문제가 아닌 것같던데요
    병적인 가족이던데
    그깟 성적이 뭐가 중요할까요

  • 6.
    '25.9.29 3:32 PM (211.51.xxx.3)

    그 글은 못봤지만... 원글님이 아이가 있다면 조금 더 깊게 다른 방향으로 생각이 가능할거예요. 아이 없는 사람은 절대 이해 못하는 그런 부분이 있어요

  • 7.
    '25.9.29 3:35 PM (211.186.xxx.7)

    저도 아이있는데 이해 안가던 집인걸요

  • 8. ....
    '25.9.29 3:44 PM (112.145.xxx.70)

    아이 없는 사람은 절대 이해 못하는 그런 부분이 있어요 222222

    그 분이 이해간다는 건 아니고
    아무래도 엄마가 되보지않은 사람은 모르는 부분이 있죠.

    고등학생이 대학생 알수없고
    대학생이 대학원생 알 수 없는 거랑 같음.

  • 9. 병이죠
    '25.9.29 3:48 PM (175.118.xxx.125) - 삭제된댓글

    자식이 망가지든지 말든지 좋은 성적은
    꼭 받아내야 한다
    자식이 성적이 좋아야만 자신이 주변에
    우월해지고 내세울수 있다
    달리 말하면 성적으로 주변을 밟아버리고 싶다
    이 정도의 교만하고 왜곡된 마음이 있으니 자식을 그렇게 고통으로 몰아가는거예요
    근데 엄마본인은 본인의 마음이 너무 가학적이고 무서운 마음이라는 걸
    스스로 몰라요
    자식은 엄마 마음의 그림자예요
    엄마가 세상을 밟아버리고 싶은 역천자 마음이 강하니
    그 반영으로 자식이 엄마를 밟고 아빠를 때리는 역천자가 된거예요
    자식은 엄마의 내면을 보여주는데 그걸 몰라요

  • 10. ㅇㅇ
    '25.9.29 3:49 PM (223.38.xxx.224)

    아이 없는 사람은 절대 이해 못하는 그런 부분이 있어요 333

    저도 공부하란 얘기 안듣고 알아서 잘해서 애없을때 할애는 하고 안할애는 안한다 주의였는데
    내애가 눈앞에서 노는걸 보는건 또 다른 얘기더군요
    돈아깝고 학원에 전기세 내주러 다녀도 끊을수없는건 애가 공부를 아예 놔버리고 포기할까봐인것 같아요
    그나마 꾸역꾸역 하는것과 손놓는건 다르니까요

  • 11. ---
    '25.9.29 4:15 PM (183.98.xxx.72)

    아이 없는 사람은 절대 이해 못하는 그런 부분이 있어요 444
    원글님 말씀도 다 맞지만, 아이마다 너무 다르고 상황 맥락이 다 달라서
    양육에서는 뭐라고 하기 참 어려워요.

  • 12. 자식없으면
    '25.9.29 5:12 PM (211.58.xxx.216)

    진짜 이해못해요.
    낳아서 키우다보면 자식이 분신같아져요.
    내려놨다고 생각해도...자꾸 감정이입되는.
    또 본인의 성적표가 자식이라 비취지기도...

  • 13. 00
    '25.9.29 5:35 PM (218.144.xxx.187)

    세상살이에 공부가 가장 중요한게 아니란건 알아요.
    하지만 커서 뭐라도 하고 지 살길 찾으라고 대비시키는 거죠.
    다른 애들 다 공부하는 시기에 내 애만 안한다면 얼마나 안타깝고 애틋하고 시간이 아깝나요...
    애 낳기 전에는 애 행복만을 위한 부모가 되야지 했는데
    그게 다가 아니에요.

  • 14. ㅇㅇ
    '25.9.29 6:23 PM (211.235.xxx.62)

    그 집은 아이가 조금이라도 얌전해지면 다시 공부 푸시를 시작할 거 같았어요
    그 푸시 안 받기위한 방법이 끝없는 지랄뿐이라 그러는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8215 연휴에 구례갑니다~ 7 루시아 2025/09/29 1,526
1758214 충격적인 윤석열 카이스트졸업생 입틀막 사건 11 ㅇㅇ 2025/09/29 3,147
1758213 유로환율 너무 오르네요 10 .. 2025/09/29 2,626
1758212 조카가 단국대 체육교육학과 가고싶어하는데 괜찮나요? 8 .. 2025/09/29 1,598
1758211 머리카락이 무서울 정도로 우수수 빠져요. 40대후반 11 ..... 2025/09/29 3,013
1758210 스무살(대학시절) 무렵 얘기할 때 15 2025/09/29 2,275
1758209 85세 친정엄마 식사 13 큰 딸 2025/09/29 4,656
1758208 다들 오후늦은시간이라 힘든데 3 먹보직원 2025/09/29 1,045
1758207 유품정리업자들이 고독사한 사람 생전 인생 까발리는거 좀 안했으면.. 10 미래 2025/09/29 3,910
1758206 La갈비에 키위와 배를... 10 나루 2025/09/29 1,605
1758205 방금 전에 제가 본 기사 뭔가요? 1 르플 2025/09/29 2,119
1758204 레시피대로 하다가 양이 다르면 6 어떻게 2025/09/29 609
1758203 재산세15일까지 연기되었대요 1 ... 2025/09/29 1,705
1758202 금값 미친듯 오르네요 27 ... 2025/09/29 16,192
1758201 주민센터에서 등본 발급 가능한가요? 3 행안부 2025/09/29 1,025
1758200 음식물쓰레기 냉동해서 버려요 9 음쓰 2025/09/29 1,882
1758199 제주시 맛집 어디가 있나요? 9 레몬 2025/09/29 964
1758198 이쁜 앞치마 1 이수만 2025/09/29 976
1758197 “천재 중 천재마저 중국행”...국내 브레인 유출 ‘비상’ 51 ㅇㅇ 2025/09/29 4,825
1758196 15 .. 2025/09/29 14,978
1758195 욕실 타일 메지 셀프로 작업해보신 분 계신가요? 3 욕실 2025/09/29 717
1758194 와~김현지가 도대체 뭐길래.... 18 코원 2025/09/29 3,532
1758193 부산현대미술관 힐마아프클린트전 보신분 계세요? 1 혹시 2025/09/29 844
1758192 시어머니가 싫은게 아니고요 11 ... 2025/09/29 3,904
1758191 압력솥과 인스턴트 팟이 비슷한 기능인건가요? 3 .. 2025/09/29 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