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5일제 도입이 산업 전반의 화두로 떠올랐다. 최근 ‘노란봉투법’ 국회 통과에 이어 정부의 하반기 노동 분야 중점 추진 과제로 주 4.5일제 도입이 꼽히면서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찬반 논의가 달아오르고 있다.
먼저 공을 쏘아올린 건 금융산업노조다. 금융산업노조는 지난 1일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벌여 94.98% 찬성이라는 결과표를 받았고, 오는 26일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금융노조의 교섭 요구안은 △주 4.5일제 전면 도입 △임금 5% 인상 △신규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이다. 금융노조 소속 전국 노조원들은 16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대로에서 약 7000명이 참석하는 총파업 총력 투쟁 결의대회를 연다.
금융노조는 특히 2002년 주 5일제 도입 당시에도 근로기준법 개정에 앞서 금융권이 주 5일제를 전면적으로 시행한 만큼, 이번에도 금융권이 주도적으로 나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주 4.5일제 도입을 위한 이번 파업에 대해 “고액 연봉자의 배부른 투쟁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바른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 선거 공약집도 주 4.5일제 도입·확산을 통해 2030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하로 노동시간을 감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도 “임금 감소 없는 주 4.5일제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정부는 주 4.5일제 도입 지원을 위해 내년도 예산 325억 원을 편성했다.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중소기업에 정부가 직원 1명당 월 20만~25만 원을 지원하며 주 4.5일제를 시행하며 직원을 추가로 뽑을 경우, 신규 채용 인력 1명당 60만~80만 원씩 장려금도 준다.
금융노조는 특히 2002년 주 5일제 도입 당시에도 근로기준법 개정에 앞서 금융권이 주 5일제를 전면적으로 시행한 만큼, 이번에도 금융권이 주도적으로 나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주 4.5일제 도입을 위한 이번 파업에 대해 “고액 연봉자의 배부른 투쟁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바른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 선거 공약집도 주 4.5일제 도입·확산을 통해 2030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하로 노동시간을 감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도 “임금 감소 없는 주 4.5일제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정부는 주 4.5일제 도입 지원을 위해 내년도 예산 325억 원을 편성했다.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중소기업에 정부가 직원 1명당 월 20만~25만 원을 지원하며 주 4.5일제를 시행하며 직원을 추가로 뽑을 경우, 신규 채용 인력 1명당 60만~80만 원씩 장려금도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