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등산
'25.9.10 3:10 PM
(61.83.xxx.51)
즐기시는 분들이 해당 되실듯요
2. ㅇㅇ
'25.9.10 3:11 PM
(121.173.xxx.84)
걷기인데 고강도면 어찌하라는걸까요? 그냥 아주 빠른걸음요?
3. 부자되다
'25.9.10 3:11 PM
(106.101.xxx.6)
매일 50분을 숨이 차게 고강도로 걸어야
치매예방 된다는거죠?
고강도 ㅠ
4. . .
'25.9.10 3:15 PM
(14.35.xxx.189)
한때는 너무 고강도 운동은 활성산소 나와서 안 된다 하더니.
무엇을 따라야 할까요
정보가 너무 많은 세상인데
최신 정보라니 믿어 봐야 할까요
5. 아
'25.9.10 3:16 PM
(211.119.xxx.138)
10분 더 걸어야되나...
40분 걷는데...
6. 흠
'25.9.10 3:19 PM
(211.51.xxx.3)
걷기라면 1등인 어르신 두 분 있는데(이 중 한분은 책도 많이 낸 유명한 분), 두 분다 치매 ㅜ.ㅜ
7. ㅇㅇ
'25.9.10 3:20 PM
(118.235.xxx.30)
아우 난 못해요
저강도도 힘든디
8. 나이 들어
'25.9.10 3:23 PM
(211.206.xxx.191)
고강도로 어찌 걷나요??
9. 따로 산
'25.9.10 3:25 PM
(175.223.xxx.58)
치매는 유전
우리 할머니 엄마
우리 할머니
우리 할머니 여동생
치매
우리 할머니 여동생 취미가 걷기
10. ******
'25.9.10 3:25 PM
(211.219.xxx.186)
관절은 아작나나요?
11. ...
'25.9.10 3:26 PM
(58.145.xxx.130)
치매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저 추적 관찰의 결과는 많은 치매의 원인 가운데 한가지로 지목되는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이 30% 적다는 겁니다.
그러니 모든 치매를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다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모든 운동은 전 신체 구석구석에 다양한 작용을 하는데 긍정적인 작용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작용도 어쩔수 없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추적관찰의 결과는 오로지 치매 유발 원인 가운데 한가지인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에 고강도, 장시간 걷기 운동이 큰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
이 운동법이 모든 신체 부위에, 특히 모든 치매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법이라 오해하면 안됩니다
그리고 이 기사 후반에 보면 특히 노화로 아밀로이드가 많이 쌓이기 전에 65세 이전부터 고강도·장시간 걷기를 시작해야 치매 예방 효과가 컸다고 나오니, 젋을 때부터 열심히 힘차게 걸어봅시다.
12. ㅋㅋㅋㅋ
'25.9.10 3:40 PM
(112.133.xxx.101)
댓글 읽다 보니 원글이 노인들 모아 놓고 치매 설명회 하는 느낌...
13. ....
'25.9.10 3:48 PM
(149.167.xxx.107)
'댓글 읽다 보니 원글이 노인들 모아 놓고 치매 설명회 하는 느낌...'
아이고 이 댓글 읽고 배 아프게 웃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14. ㅇㅇ
'25.9.10 3:51 PM
(61.74.xxx.243)
숨차게 걷기 하려면 계단오르기나 산타기등 경사진곳을 걸어야 숨이 차겠네요.
평지는 아무리 걸어도 숨찰 정도는 되지 않던데요. 경보 수준으로 빠르게 걷는거 아니면..
근데 나이들어서 빠른 걸음 걷긴 힘들텐니.. 경사진곳 오르는게 날듯 싶네요.
15. oo
'25.9.10 4:19 PM
(106.101.xxx.253)
숨차게 50분이면 슬로우조깅이나 맞먹을듯
16. 포기 ㅠ
'25.9.10 4:46 PM
(175.196.xxx.62)
그 나이에 달리라고? 하루에 50분씩?
17. bluㅁ
'25.9.10 6:43 PM
(112.187.xxx.82)
슬로우조깅이나 보폭 넓게 빠르게 걷기를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단련해가는 게 가장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