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머
'25.9.10 10:54 AM
(211.184.xxx.171)
그런가요?
저는 구매자입장에서 입금하고 주소받겠다고 해요.
제가 판매할때보면 집주소 남기는게
정말 찜찜하거든요.
단.. 비대면일때. 상세주소 남길때요.
아니면 아파트정도는 입금과는
상관없이 알려주거나 알림받구요.
위치를 대략 알아야 동선을 가늠해볼수있으니까요.
2. 저는
'25.9.10 11:02 AM
(211.206.xxx.191)
어차피 구매할 물건이라 바로 픽업 할 물건 아니면
선입금 하겠다고 합니다.
굳이 와서 달라는 분도 있고 그럴 땐 선입금 받는 분들이 대부분.
원칙은 서로 현장 교환이 맞지요.
저라면 당근페이 입금하고 주소 받았겠지만.
저도 나눔도 하고 판매도 하고 구매도 해서 87도인데 더러 이상한 분도 있었지만
대부분 좋은 분들이었어요.
3. 어머
'25.9.10 11:03 AM
(118.235.xxx.114)
입금먼저하는게맞아요.
이런사람 피곤하더라구요.
4. ..
'25.9.10 11:06 AM
(211.206.xxx.191)
선입금은 내가 물건 사겠다는 가장 확실한 답변이잖아요.
하나하나 따지면 당근거래 못 하고 제 값 주고 새 물건
집으로 택배 받는 게 가장 속편합니다.
5. ㅇㅇ
'25.9.10 11:09 AM
(221.150.xxx.78)
양쪽다 문제 있는 사람이 나올 수 있죠
그런데 먼저 입금하라니
황당하군요
저는 팔때나 살 때나
무조건 만나서 현금거래합니다
입금 방식으로는 사기도 종종있습니다
그래서 현금은 안되고
입금한다고 하면 거래안합니다
직접 만나 거래해도
입금 받으면 종종 사기당하는 수가 있습니다
6. ㅡ
'25.9.10 11:12 AM
(39.7.xxx.80)
당근 안전거래 하세요.
7. . . .
'25.9.10 11:16 AM
(223.38.xxx.210)
거래해본 최고가가 5만원인데
살때도 팔때도 선입금 먼저하는게
가장 확실한 의사표현이고 깔끔하더군요.
잠재적 도둑으로 보는건 아닌것같아요.
대면거래든 비대면거래든 물건을 사겠다는 의지가
확고하고 놓치기 아까운 물건일수록 선입금해드린다고 말해요.
선입금 해준다는 챗도 많이 받아봤구요.
8. 당연히
'25.9.10 11:18 AM
(110.70.xxx.16)
입금한 사람에게 집주소 줘요
9. 플럼스카페
'25.9.10 11:21 AM
(1.240.xxx.197)
저는 주소 알려주기 싫어서 대면거래만 하고 아파트 입구 정도에서 만나요.
10. ...
'25.9.10 11:35 AM
(119.69.xxx.167)
산다고하고 묵묵부답인 사람도 많아서 저도 선입금받고 주소 알려줘요. 문고리 거래 자주해서 동호수 공동현관까지..
한번도 문제된적 없었어요
11. 당연히
'25.9.10 11:47 AM
(211.206.xxx.191)
금액이 어느 정도 되는 물건은
맞교환이 맞죠.
12. 입금먼저는
'25.9.10 12:59 PM
(112.161.xxx.147)
받아들였습니다만
주소조차도 안주고 입금부터 하라는 건 아닌것 같습니다.
13. 저는 맘에드는
'25.9.10 2:01 PM
(14.51.xxx.90)
물건은 바로 선입급드립니다.
방문픽업이 어려운 상황일때는 택배비까지 선불드리고
택배부탁드리구요
방문할시에는 대략주소만 먼저받고
동호수 등은 출발직전에 연락해서 받습니다.
상세주소 공개 꺼리시는 분들 있어서
제가 먼저 그렇게 말씀드려요.
이왕거래하는거 서로 좋게 대하고 싶어서요
14. 순이엄마
'25.9.10 2:38 PM
(183.105.xxx.212)
요즘 당근은 예전 당근이 아니예요
구매자도 판매자도 믿기가 힘들어요.
직거래가 최고
15. ㅇㅇ
'25.9.10 4:14 PM
(211.218.xxx.125)
직거래하시죠. 저는 일단 물건 보고 바로 앞에서 입금하는 게 낫더라고요. 제가 판매할 때도 먼저 입금해준다고 해서, 일단 물건 보고 하시라고 합니다.
16. ㅡㅡ
'25.9.10 4:53 PM
(121.166.xxx.43)
물건, 현금 직접거래 아니면
구매하지 않아요.
기준을 정했어요.
17. ..
'25.9.10 5:16 PM
(222.98.xxx.219)
당근도 수요와 공급에 따라 이루어지는 거래인데 왜 판매자중심으로만 거래해야 할까요??
이것도 말하자면 장사인건데...물건보고 맘에 안들수도 있고, 생각한것이랑 다를수도 있고 판매자가 고의로 이상부분 누락시킬수도 있고....
현장에서 보고 거래하는게 정석 아닐까요?
왜 선입금이 당연한건지 모르겠습니다.
돈을 받고 판매하는거면 일정부분의 수고는 감내해야하는것 아닐까 싶습니다.
저는 '선입금'은 구매자의 선택이라고 생각되고,판매자의 권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제근처까지 오시는 조건으로 지불방식은 구매자가 원하는 대로 합니다.
18. ..
'25.9.10 6:27 PM
(49.171.xxx.159)
-
삭제된댓글
당근에 나오는 물건이 보통 저렴하고 좋으면 채팅이 많이 옵니다.
선점하고 싶으면 예약금이나 선입금 거는게 보통이죠.
그리고 돈을 미리 안받으면 쉽게 거래 취소를 해요.
주소공유하고 와서 보고도 마음에 안든다고 가는 사람도 많더군요.여기서부터는 판매자의 에너지가 소모되죠.
자기물건에 별다른 하자가 없다고 생각되니 선입금 해줄 사람한테 먼저 팔게 되는 거에요. 구매자는 이런거 마음에 안들면 그냥 거르심 다른물건 사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