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장례식 후 부조금 처리 어떻게 하셨나요?

u.. 조회수 : 2,948
작성일 : 2025-09-06 17:45:17

형제가 넷.

십년 전 아버지 돌아가셨을 때에는

들어온 조의금 다 합쳐 장례비용 처리하고 나머지

엄마 드렸어요.

엄마가 형편이 별로 좋지 않아서요.

엄마 돌아가시면

장례비용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한 형제가 대외활동이 많아 부조금의 반이 넘을 것 같아요.

거의 부조금 안들어 오는 형제부터 해서

많이 들어오는 형제까지 다양합니다

IP : 223.38.xxx.235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9.6 5:46 PM (115.138.xxx.1)

    뭘어쩌나요 자기한테 들어온거 각자 가져가고
    장례비용은 1/n이죠

  • 2. ....
    '25.9.6 5:47 PM (223.38.xxx.200)

    다섯형제 중에 한 명(남)은 3천만원,
    두 명(여)은 몇 백만원
    다른 두 명(남)은 150만원씩 조의금 들어왔어요.
    다 나눴습니다.

  • 3. 얼마전
    '25.9.6 5:47 PM (211.206.xxx.191) - 삭제된댓글

    장례비 형제 수 대로 나누고
    식대는 방명록 인원수 나누기 해서 따로 자기 손님 수대로.
    부의금 자기 봉투 우선 다 자기가 가져 갔어요.
    저는 조문객이 얼마 안 되어서 목돈 냈습니다.

  • 4. 나무木
    '25.9.6 5:49 PM (14.32.xxx.34) - 삭제된댓글

    저희는 각자 얼마 들어오지도 몰랐어요
    각자 자기네 앞으로 들어온 봉투 나눠주고
    비용은 나눠서 내고요

  • 5. 나무木
    '25.9.6 5:50 PM (14.32.xxx.34)

    저희는 각자 얼마 들어온지도 몰랐어요
    각자 자기네 앞으로 들어온 봉투 나눠주고
    비용은 나눠서 내고요

  • 6. o o
    '25.9.6 5:52 PM (116.45.xxx.245) - 삭제된댓글

    본인 앞으로 들어온 봉투 각자 가져가고 장례비용은 손님 비율대로 내요.
    5:2:2:1 이런식이죠.

  • 7. 우선
    '25.9.6 5:54 PM (211.206.xxx.191)

    형제가 모두 모일 수 있는 날짜를 잡고
    한 형제가 자기 집에 보관 했었어요.
    모두 모인 자리에서 봉투 호명하면 자기 손님이면 가져 갑니다.
    일단 장례비 먼저 총액 나누기 형제 수.

    2차
    식대는 방명록에 기재된 인원 엑셀로 정리해서
    형제마다 1, 2, 3, 4 표기하고

    가족 공통 손님 친인척은 5로 표시합니다.
    누구 손님 몇명인지 파악합니다.
    식대 전체에서 공동조의금을 먼저 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1,2,3,4 손님 전체 수로 나누어
    자기 손님 수 만큼 곱해서 냈습니다.

  • 8. 모두
    '25.9.6 5:57 PM (211.206.xxx.191)

    모였을 때 의견 교환하고 그렇게 했어요.
    저는 거의 손님이 없어서 목돈 냈습니다.

  • 9. 각자
    '25.9.6 5:59 PM (121.168.xxx.246)

    각자 가져가고 1/n으로 돈 내는게 깔끔하지 않을까요?
    부조금은 다 빚이니까요.

  • 10. 우선
    '25.9.6 6:01 PM (222.109.xxx.93)

    장례비용 정산하고 남은돈은 각자 손님들 가져온돈 합산하여 비율대로 나누어줌

  • 11.
    '25.9.6 6:24 PM (221.138.xxx.92)

    어머니께 직접들어온 건 모두 장례비.

    봉투 각자 나누고
    모자란부분 1/n

  • 12.
    '25.9.6 6:45 PM (211.198.xxx.46) - 삭제된댓글

    저위 우선님. 방법대로 엑셀로 정리했어요
    9천만원쯤 거액을 젊은 조카들 네명이 두시간만에
    장례식장 방에서 다 해냈어요
    명단 카톡으로 공유하고 각자 들어온 조의금 다 챙겨가고
    부모님 남은돈으로 장례치렀어요

    엑셀로 한명씩 지명 123456으로. 명명하고 친척은
    엄마이름으로 7로 명명

    전 컴퓨터를 능숙하게 못하는데 조카한명이 가져온
    노트북으로 능숙하게 다 해결했어요

  • 13. olive。
    '25.9.6 7:00 PM (121.190.xxx.189)

    저희는 일단 조의금 들어온걸로 장례비 다 치르고
    남은거 비율로 정산했는데요.

    지금 생각해보니 비율정산은 아닌거 같아요.
    자기앞으로 들어온건 다 가져가야죠. 다 빚이니까요..

  • 14. ㅇㅇ
    '25.9.6 8:01 PM (59.30.xxx.66)

    정보 저장해요

  • 15. 그냥
    '25.9.6 8:21 PM (58.228.xxx.36)

    봉투채로 각자 들고가요
    손님비율에따라 식대,장례비 정산해요

  • 16. 예전에
    '25.9.6 8:41 PM (116.126.xxx.50) - 삭제된댓글

    엄마 장례식때는 아버지가 다 드렸어요.
    이번에 아버지 장례식때는 동생만 현직이라서 동생이름으로 많이 들어왔어요. 그래서 들어온 돈으로 장례비용 쓰고 남은 돈은 동생이 다 가져갔어요. 저는 퇴직후라서 들어온게 별로 없었거든요.
    시어머니는 2년전에 장례 치렀는데 그때는 제 이름으로 들어온 돈은 모두 제가 가져왔어요. 친척이름으로 들어온 돈으로 장례비용은 다 해결된걸로 알아요.
    저는 부조 들어온 돈으로 사후 답례품 돌려서 거의 다 썼구요.

  • 17. 양가
    '25.9.6 9:22 PM (182.209.xxx.17) - 삭제된댓글

    양가 어른들은 아직 건강하시고
    최근에 시 할머니 돌아가셨는데 아버님이
    장례비는 본인이 다 내겠다며
    남편앞으로 온 봉투를 나눠주시더라고요
    여기까지는 양호했는데 시누이가 들어온 돈은
    형제계에 넣고 부모님 필요할 때 써야하는 거
    아니냐고 말도 안되는 소리를....
    아무튼 아버님이 교통 정리 잘 해주셔서 그렇지, 형제간에
    싸움날 뻔 했어요

  • 18. wii
    '25.9.6 11:06 PM (211.196.xxx.81) - 삭제된댓글

    각자 들어온 대로 가져가는 건 맞지만 자기 손님 적은 사람이 밥값을 1/n하는 건 아닌 듯. 기본 비용은 1/n. 식비는 손님 비율 대로죠. 기본 비용 얼마 안 되면 많이 들어온 사람이 비율대로 내자 해주면 제일 좋겠죠.

  • 19.
    '25.9.6 11:29 PM (221.138.xxx.92)

    그래도 밥값은 와준분들인데..그것까지 비율대로면
    좀..넘하지 않나요.
    북적북적 감사하잖아요.

  • 20. 4형제
    '25.9.7 8:08 AM (211.226.xxx.47)

    아주 잘 된 사람,중간쯤 한명, 둘은 거의 손님 없는 4형제.
    들어온 돈으로 장례비용 치루고 49제 비용만큼 떼어놓고 나머지는 똑같이 나눴어요...어찌 보면 둘은 돈을 벌어 간 셈이 되어요
    형제끼리 평소 어려울때 도울 수도 있는 건데 하물며
    큰 일 치루느라 다 같이 고생 많았는데
    여유있는 쪽이 베푸는 거다 하면서 그리 하더라구요~~저는 없는 쪽인데 감사했어요

  • 21. 음님
    '25.9.7 8:09 AM (211.206.xxx.191)

    손님이 많이 오면 밥값이 많이 지출되고
    조의ㅁ이 많이 들어 왔으니 손님 수 대로 밥값 내야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0590 함박스테이크 조리하는 법 좀 봐주세요 함박 2025/09/06 439
1750589 어제 법사위 그 초짜 여수사관은 처벌을 면치 못하겠던데요 9 ㅇㅇ 2025/09/06 2,903
1750588 비자없이 어떻게 미국현대, 엘지에서 일하는게 가능한가요? 24 ..... 2025/09/06 6,032
1750587 장례식 후 부조금 처리 어떻게 하셨나요? 14 u.. 2025/09/06 2,948
1750586 강릉 3 ... 2025/09/06 1,486
1750585 헬리코박터 균 검사는 일반검진에 4 .. 2025/09/06 1,156
1750584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까요. 15 앞으로 2025/09/06 3,778
1750583 명언 - 살아 있는 한.. ♧♧♧ 2025/09/06 1,598
1750582 친구가 이번에 이혼했는데 내가 말실수한건지 봐줘.jpg 34 ... 2025/09/06 7,849
1750581 미래에셋 일괄매도 버튼은 어디 있나요? 4 다 판다 2025/09/06 817
1750580 유리로 된 소스 병을 추천해주세요 4 2025/09/06 1,028
1750579 역겨운 나경원 13 2025/09/06 3,018
1750578 양념 반 간장 반 게장 만들었어요 5 ... 2025/09/06 1,038
1750577 조국혁신당, 이규원 윤리위 제소 19 Balbec.. 2025/09/06 2,800
1750576 늦게 미용 시작하신 분 계실까요? 3 달이 2025/09/06 1,347
1750575 나나 빈티지펌 해달라고 했는데 3 ... 2025/09/06 2,194
1750574 제가 그간 잘 대접 받고 살았는데요 1 2025/09/06 2,493
1750573 60대 여성 헬스하시는 분 질문 9 ㄱㄱ 2025/09/06 2,619
1750572 현관바닥 공사만 해도 가능하죠? 4 2025/09/06 1,022
1750571 엘레비트가 일반종합영양제 차이가 뭘까요? 3 .. 2025/09/06 503
1750570 이혼 사실 직장에서 말씀 하시나요? 15 2025/09/06 3,859
1750569 내가 믿는게 아니었는데 거ㄸ절이 2025/09/06 827
1750568 결국 선민의식은 다 갖고 있는 모양 15 ㅓㅓㅗㅎ 2025/09/06 3,692
1750567 갑자기 테니스 팔찌가 사고 싶어졌어요 12 로이드 2025/09/06 3,330
1750566 갑자기 제주가요. 13 제주무엇 2025/09/06 2,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