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3억 미만 주택은 일가구 이주택 풀어줬으면...

일가구 이주택 조회수 : 3,441
작성일 : 2025-09-05 12:22:46

일주택자 추가구입 3억 미만 주택은 하나 정도는

일가구 이주택 풀어줬으면 좋겠어요.

지방에 집 1억 이나 2억짜리 집 사서

주말에 지내거나 부모님도 쉬러 가시거나 하면 좋겠어요.

진짜 그 정도면 시골집 정도인데요.

지방도 돈도 돌고 좋을거고요. 

일이억집이 럭셔리 하우스도 아니고요.

부모님이 저희 집 근처 사시는데

 고향 아파트 일억 이억한다는데

거기랑 지금 사는 동네랑 오가며 지내고 싶어 하시는데

세금 때문에 안된다고 말씀드렸네요.

IP : 175.223.xxx.71
3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좋은생각이네요
    '25.9.5 12:23 PM (211.234.xxx.66)

    지방 빈집들 해소에도 도움될듯요

  • 2. 동의해요
    '25.9.5 12:23 PM (59.7.xxx.113)

    다주택 말고 총액으로 가는게 맞는거 같아요

  • 3. ......
    '25.9.5 12:25 PM (119.196.xxx.115)

    그쵸 시골아파트같은건 좀 그리해주면 살텐데요
    저희 부모님도 하나 사고싶어하시는데 세금이 문젠거죠...

  • 4. 지금
    '25.9.5 12:27 PM (180.228.xxx.184)

    양도세 중과는 없어졌고..
    위험지역은 중과 유예로 쭉 가고 있고.
    다주택이라고 크게 문제되는건 없지 않나요??
    종부세는 어차피 총금액 기준이고
    재산세는 개별산정이고...

  • 5. .......
    '25.9.5 12:28 PM (119.71.xxx.80)

    의료보험이 올라요. 저도 작은 집 지방에 사놓고 왔다갔다 하는데 투자가치도 없는 지역이고 주택수에 포함되니 세금은 나오고 그냥 팔까 생각중인데
    법이 좀 유도리가 있음 좋겠어요.

  • 6. .............
    '25.9.5 12:36 PM (183.97.xxx.26)

    1가구 이거 진짜 좀 풀어야해요. 1채가 몇십억하는거랑 1채 4억 미만인거랑 같지도 않은데.

  • 7. ????
    '25.9.5 12:36 PM (221.149.xxx.36)

    양도세 중과는 없어졌고..
    위험지역은 중과 유예로 쭉 가고 있고.
    다주택이라고 크게 문제되는건 없지 않나요??
    종부세는 어차피 총금액 기준이고
    재산세는 개별산정이고...22222

    원글님이 왜 고민하는 지 모르겠어요.

  • 8. ㅇㅇ
    '25.9.5 12:37 PM (14.5.xxx.216)

    이미 수도권 제외 지역 3억이하 주택 일가구 이주택 제한
    풀렸을걸요
    인구소멸지역이요 발표기사 봤는데요

  • 9. ...
    '25.9.5 12:40 PM (175.223.xxx.71) - 삭제된댓글

    양도세 중과가 아예 없어졌어요?
    단지 내년으로 유예된 거 아니고요?

  • 10. 문제없음
    '25.9.5 12:40 PM (61.105.xxx.165)

    양도세 중과없다면 2주택 걱정할 필요가 있나요?
    집 안사고 그 돈 은행에 넣어놓고 이자받으면
    은행이자 수입에도 의보는 나와요.

  • 11. 뒷북
    '25.9.5 12:44 PM (39.7.xxx.169)

    이미 풀린거

  • 12.
    '25.9.5 12:47 PM (175.223.xxx.71) - 삭제된댓글

    농어촌주택은 수도권,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을 제외한 읍·면 지역(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인구감소지역의 시 지역)에 소재해야 하는데 그 지역이 아닙니다.

  • 13. 부모님 가시고자
    '25.9.5 12:48 PM (175.223.xxx.71) - 삭제된댓글

    농어촌주택은 수도권,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을 제외한 읍·면 지역(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인구감소지역의 시 지역)에 소재해야 하는데 전국 지방 모두 그 지역인 거 아닙니다.

  • 14. 가시고자 하는곳
    '25.9.5 12:50 PM (175.223.xxx.71) - 삭제된댓글

    농어촌주택은 수도권,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을 제외한 읍·면 지역(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인구감소지역의 시 지역)에 소재해야 하는데 전국 지방 모두 그 지역인 거 아닙니다.

  • 15. 여기만 해당됨요
    '25.9.5 12:54 PM (175.223.xxx.71)

    https://www.mois.go.kr/frt/sub/a06/b06/populationDecline/screen.do

  • 16. ㅇㅇ
    '25.9.5 12:55 PM (182.222.xxx.15) - 삭제된댓글

    취득세는 2주택부터 더 낼걸요

  • 17. 2억
    '25.9.5 12:57 PM (220.84.xxx.8)

    다주택자가 지방에 공시지가2억미만(실거래 3억미만)
    취득세 12프로에서 1~3프로로 변경된걸로 알고있어요.
    저희도 상속으로 인한 다주택자인데 저희집이 없어서
    2억 밑으로 한채 사려고하거든요.

  • 18. ㅇㅇ
    '25.9.5 1:10 PM (211.251.xxx.199)

    쉽게들 생각하시는데
    그러면 또 돈 있는 인간들 덤벼들어서
    싼집들 싹슬이하면서
    진짜 없는 사람들 고사시킬수 있어요

    비싼집이야 부자인 자기들끼리
    살든말든이지만
    없는사람들은 10만원 20만원에도
    삶에 영향을 미친답니다.

  • 19. 동감
    '25.9.5 1:19 PM (221.138.xxx.92)

    쉽게들 생각하시는데
    그러면 또 돈 있는 인간들 덤벼들어서
    싼집들 싹슬이하면서
    진짜 없는 사람들 고사시킬수 있어요22222

  • 20. ......
    '25.9.5 1:23 PM (211.250.xxx.163)

    투기꾼들 지방에 차타고 몰려가서
    그 단지에 나와있는 아파트 싹쓸이했던거 모르시나봐요.
    함부로 풀어주면 저런꼴 나옵니다.
    가볍게 생각할 일 아닙니다.

  • 21. ..
    '25.9.5 1:24 PM (59.9.xxx.163)

    언제까지 정책탓만 할건지
    세상에 공짜가 없죠
    필요하면 구매하고 그에 대한 댓가를 치르는거지
    세금무서워 싸다는 그집도 하나더 못살 정도면 안사는게 낫다고보네요

  • 22. 지방
    '25.9.5 1:38 PM (58.234.xxx.182)

    지방에 집 싸게 사서 수리하고 에어비앤비나숙소비 1박에20만~30만원 받는 돈냄새 맡는
    사람들이 달려들겠죠..
    그러다보면 월세도 올라가구요.

  • 23. ㅇㅇ
    '25.9.5 2:03 PM (118.235.xxx.18)

    총액 규제 동의해요.

  • 24. ...
    '25.9.5 2:04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진짜 지방은 풀어줘야돼요
    그래야 지방집을 세컨으로 두는 사람도 생겨 지방경제도 살지 싶은데요
    지방에서 직업 때문에 살아야하는 사람도 있는데 지방 집 사기 싫은 사람들 있잖아요
    그럼 누가 세라도 줘야할거 아니에요
    일주택 정책이 지방을 더 힘들게 만들었어요

  • 25. ...
    '25.9.5 2:05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진짜 지방은 풀어줘야돼요
    그래야 지방집을 세컨으로 두는 사람도 생겨 지방경제도 살지 싶은데요
    지방에서 직업 때문에 살아야하는 사람도 있는데 지방 집 사기 싫은 사람들 있잖아요
    그럼 누가 세라도 줘야할거 아니에요
    세 주는 사람이 적음 월세는 더 오르죠
    일주택 정책이 지방을 더 힘들게 만들었어요

  • 26. ..ㅣ
    '25.9.5 2:13 PM (1.237.xxx.38)

    진짜 지방은 풀어줘야돼요
    그래야 지방집을 세컨으로 두는 사람도 생겨 지방경제도 살지 싶은데요
    지방에서 직업 때문에 살아야하는 사람도 있는데 지방 집 사기 싫은 사람들 있잖아요
    뭐하러 가중세까지 내며 지방집을 사겠어요
    그럼 누가 세라도 줘야할거 아니에요
    세 주는 사람이 적음 월세는 더 오르죠
    일주택 정책이 지방을 더 힘들게 만들었어요

  • 27. 금액으로
    '25.9.5 2:53 PM (211.209.xxx.83) - 삭제된댓글

    가는 것이 맞아요
    무슨 1가구 1주택
    자기 사는 집이 비싸졌다 오래살다보니 그리 말하지만
    그 비싸진 이유가 교통편리 직주근접이면
    도로등 대중교통에 모두 세금 들어간 것인데
    세금 부담못하면
    팔고 이사가는 것이
    당연한 순리 아닌가요?

  • 28. ...
    '25.9.5 3:06 PM (211.234.xxx.167)

    지금 풀린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요? 더 풀면 지방 집 투기꾼들이 달려들어서 난리 날겁니다.

  • 29. 오이다
    '25.9.5 4:06 PM (223.39.xxx.45)

    아니요
    지방도 규제풀면안되요

  • 30. ...
    '25.9.5 4:40 PM (118.235.xxx.96)

    우리나라 사람들 머리가 너~무 좋아요.
    그래서 안될 듯해요.
    진짜 무슨 부동산 동아리에서 임장 핑계로 가서
    몇 채만 사고 갑자기 들썩 가릴 듯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0383 조여옥이라고.. 간호장교 기억 하시나요? 4 허허 2025/09/06 3,903
1750382 스타벅스 콜드컵 써보신분 (링크 있음) 질문요. 2 오늘 2025/09/06 752
1750381 영천 세원물산 ... 2025/09/06 796
1750380 의외로 조국혁신당에서의 일이 여기선 조용하네요 30 .. 2025/09/06 2,529
1750379 장시호는 왜 자살시도를?? 5 ㄱㄴ 2025/09/06 5,986
1750378 스미어 캠페인이란 말 처음 들었는데 완전 나르의 특징 맞네요 ... 2025/09/06 859
1750377 2022년 5월 관봉권 띠지 사진은 어디서 나온건가요? .. 2025/09/06 995
1750376 아이허브 페이코 결제 아이허브 2025/09/06 398
1750375 "쌍방울 봐줄테니 이화영·이재명 엮자"' KH.. 7 검찰개혁 2025/09/06 2,410
1750374 대학생딸 pc구매 도와주세요 10 궁금이 2025/09/06 1,267
1750373 반미, 간첩, 종북 좌파 미국 비자 소지자들 신고하는 법. 17 .... 2025/09/06 1,857
1750372 한국남자들 진짜 왜 이리 여자를 죽이나요 27 아휴 2025/09/06 7,071
1750371 에어콘 고장.내년 이사예정 6 2025/09/06 2,109
1750370 엄마 아프실때 부탁드린 기도에 감사드립니다. 고비를 넘기셨어요 13 감사합니다... 2025/09/06 2,973
1750369 최순실 형기만료가 2037년 10월이네요. 13 ... 2025/09/06 4,483
1750368 어깨통증으로 한의원 진료, 실비적용 2 ㅇㅇ 2025/09/06 1,488
1750367 관봉증거인멸 왜 젤 막내급이 나오나요?? 8 ㅅㅌㄹㅈㄷ 2025/09/06 2,982
1750366 봉지욱 - 불법 압수수색 검사가 영전했다 6 ... 2025/09/06 2,807
1750365 관봉권 띠지를 버린게... 19 ... 2025/09/06 6,882
1750364 조르지오 아르마니 별세 4 ........ 2025/09/06 4,150
1750363 조혁당 김선민 대표권한대행 "여기서는 입장을 내면 안됩.. 12 ㅇㅇ 2025/09/06 3,978
1750362 친정엄마가 곁을 주지 않는 스타일 3 ........ 2025/09/06 4,147
1750361 유방암 환자 15 부탁드립니다.. 2025/09/06 4,732
1750360 기차에서 자리가 불편하고 빈좌석많을때 6 ........ 2025/09/06 3,087
1750359 욕실에서 실리콘 밀대 좋네요 3 ㅇㅇ 2025/09/06 3,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