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이걸 모르는 사람은 매년7%씩 가난해지고 있다 퍼옴 읽어볼만ㅇ새요

모카커피 조회수 : 4,476
작성일 : 2025-09-01 17:36:50
 
이걸 모르는 사람은 매년 7%씩 가난해지고 있다

 

코인판 글이지만 경제관련 읽어볼만해서 긁어옴

--------
1. 매우 충격적이고 중요한 내용. 이것만 알아도 마인드셋 기초 다질 수 있음. 이해 안되면 2번, 3번, 30번, 100번 읽어보길 권함.
2.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Lex Fridman과 스트레티지 회장 Michael Saylor의 인터뷰를 보다가 내용 정리와 해석, 사견을 추가한 글. 좋은 영상이므로 궁금한 사람은 원본을 찾아봐도 좋음. (4시간 분량)
3. 인플레이션은 우리를 속이고 있음. 가까운 예시로 코로나 시기를 살펴보면, 미국 정부는 금리를 0%로 낮추고 대규모 자산 매입을 시작함.
4. 표면적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없다는 것. 반은 맞고 반은 틀렸음.
5. 사회의 한쪽은 봉쇄되어 소비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드러나지' 않았을 뿐.
6. 그러나 다른 한쪽, 즉 자산 시장에서는 즉각적인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함. 30년 만기 국채 스왑금리는 0.72%까지 떨어짐(=국채 가격 폭등)
7. 실물 경제는 멈춘 상태에서, 미장(월가)은 단 6주만에 회복함. 이를 두고 마이클 세일러는 K자형 회복이라 부름
8. 거리의 상인은 문을 닫았지만 자산 보유자는 부를 키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모든 자산 가격이 급등했고 구조적 불평등이 발생함.
9. 정부가 발표하는 CPI(소비자물가지수)는 대표적인 시장 바구니 지표임.
10. 연준에서도 유의미하게 보는 지표이니 시장 참여자들도 열심히 추적하는 지표 중 하나. 이걸로 영상 찍어내는 유튜버들도 부지기수.
11. CPI는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는 물품들의 평균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 휴지, 냉장고, 전자제품 등이 포함 됨.
12. 문제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가산점을 부여해서 이 지표를 조절(조작)할 수 있음.
13. 정의하기 나름이라는 건데 무슨 소리냐? 예를 들어봄.

13-1. 과거에는 30평짜리 집이 필요했고, 중형 세단 1대는 있어야 했고, 일주일에 햄버거 3개는 먹어야 한다고 정의하고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을 기준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정의함

13-2. 현재는 20평짜리 집이면 충분하고, 경차 1대 있으면 되고, 일주일에 햄버거 1개만 먹어도 된다고 정의하고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을 기준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정의함
14. 실제 비용은 올랐지만 기준 자체를 낮춰버림으로써 물가 안올랐는데? 할 수 있다는 뜻. 이를 Hedonic adjustment, 쾌적성 조정이라 부름.
15. 더 쉽게 말해서 예전에 삼겹살 1인분이 200g에 1만원이었는데 현재는 1인분이 150g에 1만원이라면? 실제로 물가는 올랐음. 근데 기준을 '예전엔 200g씩 먹어야했는데 요즘은 150g만 먹어도 충분해'라고 바꿔버리면? 삼겹살 1인분에 1만원이니까 물가 안올랐지? 한다는 말.
16. 음모론이 아니고 실제로 이렇게 돌아감. 일반인이 가져야 할 기대치를 하향 조정할 수 있음.
17. 어디선가 들어봤을 슈링크플레이션과 비슷한 개념이구나 하고 이해하면 됨.

 



18. 세일러는 이런 지표들이 사람들의 실질적 고통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비판함.
19. 정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이 바스켓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그러니까 뭘 기준으로 물가를 정의할 것인지 바꿀 수 있음
20. 가령 유명 가수의 콘서트 티켓이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올라도, 정부는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을 기준으로 삼아서 "엔터테인먼트 비용은 오르지 않았다"라고 말할 수 있음.
21. 조금 어려운 말로 지표의 합성적 성질이 권력자들에 의해 조작될 수 있고, 이는 허용되고 있는 사실.
22. (중요)이것만으로도 억울한데 더 큰 문제는 경제학에서 자산 가격 상승을 인플레이션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임
23. 주택, 주식, 채권, 비트코인, 그림 같이 저장되는 건 모두 자산에 속하는데, 얘네들의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에 해당하지 않음
24. 우리나라도 소비자물가지수에 부동산, 집값은 포함이 안됨. 강남에 땅가진 사람은 계속 부자가 되는데 서민들은 월급 받아 소비하기도 바쁜 이유가 여기에 있음.
25. 자산 가격 상승은 "자산을 가진" 부자들에게 이득이 됨. 자산이 없는 일반인에게는 절망적인 장벽이 됨.
26. 세일러는 1930년에 10만 달러였던 주택이 2022년에 3,050만 달러가 된 사례를 들어 설명함. 92년간 약 305배, 연평균 복리로 약 6.5%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된 셈.
27. 하지만 정부도, 어떤 경제학자도 지난 100년간 인플레이션이 7%였다고 인정하지 않음. 인플레이션은 2~3%라고 발표함.
28. 실질 구매력은? 더 빨리 하락하고 있음. 월급은 1년에 3% 인상되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고, 물가는 3% 오르고 자산은 7% 오르면? 3-3-7 = 매년 7%씩 복리로 가난해지고 있는 셈
29. 「비트코인 스탠다드」의 저자 세이페딘 아모스는 미국의 통화공급량(M2)이 연 7%씩 증가해왔다고 분석함. S&P500 수익률은 평균 10%.
30. S&P에 투자해서 연 10%를 벌면 7%는 달러 공급 때문에 오른 것(달러 화폐 가치가 떨어진 것)이고 실제로 2~3% 정도 수익이 난 셈.
31. 여기까지 잘 따라왔으면, 이제 다른 질문들이 시작됨. 매우 재미있음.
32. 은행에서 1억원을 연 3% 이자율로 빌려서 S&P500에 투자함 => 연 10% 수익이 남 => 3%는 이자 내고, 7%는 통화공급 때문에 가

치가 떨어졌음 => 나에게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실질적으로 돈을 번 게 1도 없는 셈.
33. 이것이 정부가 당신의 부를 몰래 훔치는 방법
34. 당신이 돈을 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뒤쳐지고 있음. 따로 계산해봐야겠지만 원화도 마찬가지.
☆35. 자산을 소유한 사람들만 자본주의 게임에서 계속 이기고 있음.
36. 노동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매년 더 가난해지고 있음. 조금 더 잘 나은 사람들은 제자리 걸음하는 셈.
37. 이 때문에 중산층이 사라지고,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음.
38. 이 비밀은 정부도, 경제학자도 당신에게 말하지 않는 진실임.
39. 진짜 인플레이션은 자산 가격에 있음. 집, 주식, 채권, 코인 모든 것들이 통화 공급 확장으로 인해 오름.
40. 실질 가치 측정이 어려운 코인은 더더욱, 통화 공급량 의존성이 높고 그 안에서 희소성, 상징성, 내러티브에 따라 차이가 있음.
41. 어제 SEC와 리플 사이 소송이 종결되어 급등한 것처럼 코인 안에서 조금씩 차이가 발생할 뿐.
42. 전문가나, 유튜버나, 뉴스에서 떠들어대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깊게, 제대로, 다시 생각해봐야 함.
결론 : 인플레이션 제대로 모르면 계속 가난해짐. 매우 심각한 문제.

 

IP : 125.248.xxx.18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929년에도
    '25.9.1 6:13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다들 이렇게 생각하지 않았을까요? 자산가격은 영원히 오른다고

  • 2. 윤수
    '25.9.1 6:21 PM (183.101.xxx.104)

    결국 자산을 내가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인가요

  • 3. ...
    '25.9.1 6:35 PM (118.235.xxx.64) - 삭제된댓글

    요즘 저도 관심있는 분야인데 글로 잘 풀어놨네요.
    현금 아닌 다른 자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중입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4. ..
    '25.9.1 6:36 PM (1.235.xxx.154)

    Ebs 나의 두번째교과서
    여기 경제편 이진우기자가 비슷한 말을 했어요
    잘 찾아보세요
    어딘가 정리됐거나 다시보기가 될 수도 있어요
    투자를 남들과 비슷하게 하면서 살아야한대요

  • 5. ㅡㅡ
    '25.9.1 6:51 PM (211.234.xxx.245) - 삭제된댓글

    결론이 뭔가요
    어려워서 원

  • 6. ....
    '25.9.1 7:23 PM (118.235.xxx.47)

    예전에는 금본위제니까 좀 덜했을테고 70년대부터는 달러를 찍어내니까 자산가격이 통화량 증가와 비슷하게 오르지 않았을까요. 버냉키가 양적완화 하면서 더 심해졌을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9108 아들영양제찾아요 15 수험생비타민.. 2025/09/02 1,523
1749107 삼풍29일 이태원29일 무안29일 자승29일 산불29일 14 cvc123.. 2025/09/02 6,510
1749106 지금 쓰레기 버리러 나갔다 왔는데요 28 ㅇㅇㅇ 2025/09/02 16,565
1749105 기야? 아니야? 여기서 말하는 기가 무슨 뜻이죠? 24 .... 2025/09/02 4,063
1749104 매운고추 하나만 먹어도 하루 종일 속쓰려요 ㅗㅕ 2025/09/02 899
1749103 여기수중에 제일 노래 잘하는 사람을 뽑는다면? 25 가수 2025/09/02 2,101
1749102 미국 개들도 산책 좋아하나요? 13 uf 2025/09/02 3,018
1749101 만 14살 남아 키 좀더 클까요 9 유전인가 2025/09/02 1,313
1749100 이민정은 이병헌이 바람피어도 다 참고 사는거죠ㅕ? 73 ds 2025/09/02 18,454
1749099 여행갈 때 쓰는 캐리어 or 트렁크 있잖아요 12 지칭 2025/09/02 3,255
1749098 엄마가 아파요 기도해주세요 제발 33 제발 2025/09/02 4,139
1749097 모든 게 하나하나 감사하지 않은 게 없구나 4 ㅓㅏ 2025/09/02 2,970
1749096 윤돼지 지금도 특혜 받고 있네요 2 .. 2025/09/02 2,298
1749095 커프.최한성 최한결. 연애시대 이동진 진짜 너무 좋아 환장..... 5 ㅇㅇ 2025/09/02 2,413
1749094 올케 때문에 너무 억울하고 분했어요 12 .. 2025/09/02 5,825
1749093 윤석열 빤스 동영상 우리들은 못보는건가요?? 10 ㅇㄴㅅㄹ 2025/09/02 2,347
1749092 Infp 저는 너무 답답했어요 22 2025/09/02 4,265
1749091 줌바해보신분들께 질문요 6 미미 2025/09/02 1,532
1749090 라면이 힐링음식이라 행복해요 4 ... 2025/09/02 2,293
1749089 지볶행 27정숙 영수와 정숙 영철 중 12 누구와 2025/09/01 3,629
1749088 그냥 초가을밤의 40중반을 향하는 주부의 소회입니다 :) 8 가을이오나봐.. 2025/09/01 3,754
1749087 돈 있으면 한국이 최고다! 라는 말 60 이민 2025/09/01 11,460
1749086 31도 에 귀뚜라미 소리라니 5 라미31 2025/09/01 1,349
1749085 계단 엉덩이 힘 어떻게 해요? 워킹 힙업은 찾았어요ㅋ 6 ... 2025/09/01 2,591
1749084 양평 올핑크색 사찰 보셨어요? 6 ㅇㅇ 2025/09/01 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