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ㅠ
'25.8.28 1:00 AM
(220.94.xxx.134)
저희집에도 같은제품 쓰는데 정상적으로 나와요. 저흰 커뮤니티 헬스클럽에 팔 넣고 재는 혈압계가 있어서재보면 집에 있는거랑 같았어요 조금 차이나지만
2. 음
'25.8.28 1:06 AM
(116.47.xxx.149)
집 혈압계를 들고 병원에 가져가서 재보세요
그럼 정확히 알 수 있어요
3. 아
'25.8.28 1:07 AM
(118.219.xxx.41)
올해 분당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님 진료봤어요
시아버님 진료였는데
교수니께서 5년에 1번은 혈압계를 바꾸라고 하시더라고요
본인도 그렇게 하신다고요
기계 마모때문에 정확하지않을때 있다고요
저라면 다른곳에서도 재보겠습니다..
근데 병원에서 혈압이 더 높게 나오는 경우가 많대요
긴장때문에요
4. ㅇ
'25.8.28 1:11 AM
(211.223.xxx.251)
그럼 다들 200까지 올라갔다 내려오며 측정되나요?
어짜피 약먹어도 집에서 측정해서 약 어찌 먹을지 정해야하니
국산은 녹십자꺼 최근이고 다른 국산 사보려구요.
Ldl도 145라 경계치고 고민이네요.
Hdl 80이긴 하지만요.
밑에 다들 오십대 되면 약드시는거 같은데
저 너무 걱정입니다.
5. 제가
'25.8.28 1:18 AM
(182.227.xxx.251)
백의고혈압이 있는데요.
그걸 감안해도 집에서 잴때가 훨씬 낮아요.
의사선생님 말씀이 백의고혈압이 있는것도 맞고
집에서 사용하는 기기는 병원 기기보다 20-30 낮은게 맞다고 하셨어요
6. ㅇ
'25.8.28 1:40 AM
(211.223.xxx.251)
-
삭제된댓글
그럼 집에서 120이어도 먹어야 한다는건가요?
20~30낮으면요
7. 그래서
'25.8.28 2:06 AM
(121.147.xxx.48)
-
삭제된댓글
나이 있으신 의사선생님들은 수동 혈압계가 정확하다고 그걸 쓰시기도 하구요 병원마다 기계도 다르니 다른 큰 병원에도 가보세요.
팔이 뚱뚱한 사람들은 혈압 측정에 오류가 많을 수 있다고 해요. 제가 비만에 팔이 두꺼운데 어떤 혈압계로 측정하면 압력이 너무 강하거나 푸드득하고 찍찍이가 떨어지는 소리가 날 때가 있고 그럴 때는 꼭 집에서보다 혈압이 높게 측정되더라구요.
집에서 측정한 게 맞냐 병원에서 측정한 게 맞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둘다 맞을 수 있고 혈압약을 먹어야 하는 불편함을 뛰어넘는 위험함이 커진다면 서서히 먹는 게 맞거든요.
손가락에 반지처럼 끼는 혈압계가 있어요. 병원에 가시면 이걸 착용해서 24시간 혈압의 추세를 알 수가 있어요. 이런 거 한번 해보시는 게 불안해하고 의심하는 것보다는 훨씬 나을 것 같아요.
8. 저도
'25.8.28 2:36 AM
(86.139.xxx.30)
50대 중반인데 이번에 자궁근종 수술해서 적출할때 병원에서 너무 높게 혈압이 나와서 약먹엇구요..
집에서는 110대 나오다가 병원가니 140대 나오더라구요
약 먹었는데..
제가 좀 개복치라 혈압이 머리에 꽃달은 츠자처럼 막 널뛰거든요
병원가면 아침 저녁으로 한번씩 일주일 적어오라하고..
24시간 혈압계 착용하고..
그리고 가족력 있으면 약 먹는것도 좋은거 같아요
전 지금 살도 빠지고 운동도 하는데 그냥 약 먹어요
너무 혈압의 위아래가 높아요
화나고 긴장하면 180,90까지도 올라가고..
집에서는 120그러고...이런게 더 안좋다 들었어요
9. 그리고
'25.8.28 2:53 AM
(121.147.xxx.48)
-
삭제된댓글
병원혈압계는 200이상 압력을 줘야 200이상의 고혈압 상태 응급 환자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도 압력을 주는 거고
가정용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으니 고압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 아닐까 해요. 200까지 압력이 올라갔다고 혈압이 20넘게 측정되고 가정용은 안그래서 낮게 측정될리가 없잖아요. 저혈압 환자들은 병원 가면 정상되게요?
가정용 혈압계 커프를 단단히 매면 압력이 좀더 높게 올라가는 것 같긴 한데 오류가 날 수 있으니 너무 단단히 매지 말라고 써 있어요.
어쨌든 중요한 건 혈압의 추세예요. 예전보다 오른 것 같으면 병원 가서 상담을 하시는 게 좋아요.
10. 의사가
'25.8.28 5:48 AM
(39.7.xxx.69)
-
삭제된댓글
갼병원도 주치의 처럼 다녔던 곳과
대학병원도 먹으라고 할때가 와요.
확장기가 120-160 왔다갔다 하면 아직요.
확장기 160-180이상
잴때마다 확장기가 160 미만이 잘 안나올때가 있음 요때 약먹어야해요
11. ㆍ
'25.8.28 6:03 AM
(14.44.xxx.94)
의사가 병원 혈압 말고
가정용 혈압계 사서 재보라고 하던데요
12. 혈압은
'25.8.28 6:37 AM
(113.199.xxx.77)
수시로 변해서 항상 같은 시간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을 해야 한대요
기상해서 바로 재거나
병원 가서도 한참 앉아있다 재거나요
13. ……
'25.8.28 7:02 AM
(106.101.xxx.217)
집에 혈압계가 있으면 그걸로 꾸준히 같은 아침저녁 같은 시간에 잰 혈압 기록해서 의사한테 보여주면 돼요.
14. 음
'25.8.28 7:36 AM
(221.138.xxx.92)
저희남편도 그랬어요.
이젠 집에서 저처럼 낮게 나와요 ㅎㅎ
가정용이 낮게 나오는 편입니다.
병원가서는 10분정도 안정 취하고 측정하시고요.
15. .....
'25.8.28 7:55 AM
(211.212.xxx.40)
혈압관리 내용 참고합니다.
16. 120 정도면
'25.8.28 10:28 AM
(222.102.xxx.75)
집에서 120 정도면
약은 드세요
17. ㅇ
'25.8.28 1:36 PM
(211.223.xxx.251)
확장기가 160이면 앞에 숫자이고
병원서도 140,150어쩌다
집에서는 120정도니
더있다 먹는건가요?
제가 불안이 있어 안정제 있는데 먹으면 110나와요.
불안하면 높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