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심리학과는 이과라고 할 수 있죠?

조회수 : 2,325
작성일 : 2025-08-23 13:33:42

상식과는 달리 심리학과에서 젤 중요한 과목이 통계이고

이과 학문이다... 이게 맞는 말인거죠?

아이가 막연히 심리학과 나와서 상담사를 직업으로 하고싶다는데

제가 얼핏 알기로도 심리학과에서 그런 걸 배우는 게 아닌것 같아서요

 

IP : 1.209.xxx.250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8.23 1:36 PM (192.169.xxx.2) - 삭제된댓글

    그래도 대학에서는 인문계열도 분리되어 있어요.
    본인 상식으로 어느쪽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개인의 자유죠.

  • 2. .....
    '25.8.23 1:36 PM (39.124.xxx.75) - 삭제된댓글

    문과죠
    사회관련 학과들도 거의 통계를 다뤄요

  • 3. 논문
    '25.8.23 1:38 PM (122.36.xxx.22)

    쓸때나 임상심리 상담심리 등 시험과목이라 필요하죠
    죄다 이론이고 실습인데 이과는 아니죠

  • 4. ...
    '25.8.23 1:44 PM (219.254.xxx.170)

    네에???
    심리통계 한과목 있다고 심리학이 어찌 이과에요?

  • 5. ..
    '25.8.23 1:45 PM (39.118.xxx.199)

    통계를 통해 해설하는 영역이죠.

  • 6.
    '25.8.23 1:46 PM (36.255.xxx.142) - 삭제된댓글

    서양의 대학들은 이과와 문과가 분리 되어 있지 않아요.
    우리처럼 두가지 영역이 완전 별개인것처럼 분리하는게 이상한거에요.
    심리학에선 통계와 실험 설계가 중요한 부분이고
    요즘은 뇌과학도 함께 연구 되고 있어요.

  • 7. ???
    '25.8.23 1:47 PM (221.149.xxx.56)

    심리학과 출신들이 상담사 되는 거 맞습니다
    다른 전공자들도 상담사가 될 수 있지만요
    통계는 문이과 상관없이 널리 쓰이는 도구이지
    문이과를 판가름하는 기준은 아니지요
    사회과학에서는 대부분 필수죠. 사회학, 경제학, 경영학, 지리학 등등
    안 쓰이는 데가 없다고 봐야겠네요

  • 8.
    '25.8.23 2:02 PM (124.50.xxx.9)

    이과 과목이 반은 돼서 외국에선 이과대에 속하기도 해요.
    통계학은 필수 과목이 아니고요.
    유독 심리학 쪽으로는 모르면서 아는 체하는 분들이 너무 많네요
    심리용어도 남발되고.

  • 9.
    '25.8.23 2:03 PM (115.138.xxx.1)

    심리학과는 주로 사회과학대 안에 있습니다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방법론중 하나가 양적 연구 즉 통계학 기반이구요

    심리학 이론들의 학문적 배경이 워낙 다양한데다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문학 생물학등 광범위한 이론체계가 다 필요하죠
    상담사는 학부 전공과 상관없이 될수는 있으나
    가능한 학부까지 졸업하는게 좋겠죠
    대학원수업의 커리큘럼만으로는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워 합니다

  • 10. ...
    '25.8.23 2:04 PM (39.125.xxx.94)

    그래서 그런가 몇 십년 전이긴 하지만
    심리학과 졸업하고 의대 가는 학생들 좀 있었어요

    왼전 문과가 아니라 가능한가봐요

  • 11. 저요..
    '25.8.23 2:12 PM (211.234.xxx.221) - 삭제된댓글

    수포자, 특히 통계 너어무 싫어했었는데
    심리학과 갔더니 심리통계가 있는 거예요.
    심리통계 빵구난 거 못 메우고
    분석하고, 통계내고... 이런게 적성에 안 맞아서
    결국 중퇴했어요ㅜㅜ

  • 12. ㅅㅅ
    '25.8.23 2:22 PM (218.234.xxx.212)

    통계 좀 필요한 것과 이과라는 건 달라요.

    심리과보다 수학이 훨씬 더 필요한 경제학는 무슨 "특수 이과"라도 됩니까?

  • 13. 전공자
    '25.8.23 2:24 PM (221.138.xxx.92) - 삭제된댓글

    문과입니다.
    통계는 프로그램 돌리면 됩니다.

  • 14. ㅡㅡ
    '25.8.23 2:34 PM (175.127.xxx.157)

    상담사가 목표이면 굳이 심리학과 말고 상담과 가면 될듯요~

  • 15. ㅇㅇ
    '25.8.23 3:04 PM (1.225.xxx.133)

    문과예요

  • 16. ....
    '25.8.23 3:33 PM (112.148.xxx.119)

    통계가 필요한 게 문과예요.
    법칙이 딱딱 맞지 않으니까 가장 많은 경우의 수를 따라가는 거 잖아요.
    이과에선 통계보다 원리가 더 중요

  • 17. 잘못 아시네요
    '25.8.23 3:40 PM (79.235.xxx.26)

    이과 과목이 반은 돼서 외국에선 이과대에 속하기도 해요.
    통계학은 필수 과목이 아니고요.
    유독 심리학 쪽으로는 모르면서 아는 체하는 분들이 너무 많네요
    심리용어도 남발되고.


    ㅡㅡㅡㅡ

    통계는 필수에요.
    님이 제일 잘 모르는 듯.

  • 18. 전공자
    '25.8.23 3:48 PM (122.252.xxx.40)

    댓글보니 부정확한 얘기들이..
    심리학과는 사회과학대학에 속해있고 통계를 포함한 연구방법론은 사회과학에서 필수에요
    논문쓰려면 통계분석해야돼요
    질적연구도 있지만 양적연구가 기본이니까요

    하지만 심리학이라는 학문연구의 방법론이지 이게 심리학 자체가 아니죠.
    학부에서 다양한 심리학분야를 배웁니다
    임상심리(이상심리), 상담심리(심리치료), 심리검사, 생물심리(뇌 신경), 인지심리, 산업심리, 발달심리, 사회심리등요
    학부에서 전체적으로 훑으고 대학원에서 한분야를 전공하는거에요

    임상심리를 전공해서 병원수련받고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상담심리를 전공해서 수련받고 상담심리사
    그 외 전공은 다양한 분야로 갑니다

    "심리학과"라는 학과명을 붙이려면 분야별로 교수진이 다 있어야돼요 그래야 대학원 전공생을 받을 수 있고요
    그래서 심리학과는 생각보다 많지 않아요
    서울소재 대학과 지거국 정도고요
    학부가 상담심리학과, 산업심리학과 등 이런곳은 교수진이 다 없는 곳이라 보면 됩니다.
    대학원도 그쪽 중심입니다. 더 못하다 그런의미는 아니구요

    보통 다 그렇겠지만 심리학쪽도 대학원에서 전공하지 않으면 그쪽 분야에서 일하기 어려워요 자격여건도 잘 안되구요

    상담심리사가 되고 싶다면 대학원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하면 됩니다
    학부부터 공부하면 훨씬 좋구요
    갈수만 있다면 학부부터 차근차근 밟아가면 좋아요

    시간이 나서 자세히 써봤어요^^

  • 19. 사회과학
    '25.8.23 4:40 PM (211.235.xxx.145) - 삭제된댓글

    사회과학도 과학이라 가설 증명에 통계가 필수예요. 외국의 경우 심리학과가 이과인 경우도 있고 한국 대학도 심리학은 문과로 분류되지만 문이과 통합 전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스갯소리로 내가 문과인지 이과인지 모르겠으면 심리학과로 오라고 합니다. 교수들도 수학 잘하는 학생 선호하고요.

  • 20. ...
    '25.8.23 5:29 PM (222.106.xxx.248) - 삭제된댓글

    현대 학문은 문이과로 양분되지 않습니다

  • 21. 감사~
    '25.8.23 6:02 PM (211.58.xxx.192)

    심리학 전공자님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22. 전공자
    '25.8.23 10:25 PM (122.252.xxx.40)

    윗님 심리학과 교수님들이 수학잘하는 학생을 선호한다니요
    설마요ㅎ
    인지심리나 사회심리쪽은 혹여 모르지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임상심리나 상담심리쪽은 아니죠^^
    통계분석을 잘하는게 심리학자의 중요한 요건은 아니에요
    대학원 공부하면 어떤 전공이든 어느 정도는 통계 다 돌릴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6319 금식후 점심 뭐 먹을까요 2 ... 10:13:16 42
1766318 나솔사계 미스터 나 3 ㅡㅡ 10:11:23 123
1766317 치약 다 사용했는데 냅두고 왔네요.. 3 키링 10:11:10 214
1766316 대만여행 패키지? 자유여행? 4 기분좋은밤 10:10:32 104
1766315 받지도 못할 경조사비 줄줄이 아까워요 솔직히. 2 아까워 10:07:39 280
1766314 Sk하이닉스 더떨어질까요?다시 오를까요 5 ㅇㅇ 10:03:57 404
1766313 오늘 뉴스공장 대단하네요 5 레거시너네는.. 10:03:35 629
1766312 저가 전자레인지는 원래 소음이 좀 있나요? 3 소리 09:58:31 126
1766311 백내장 초기증상일까요? 2 고도근시 09:54:54 336
1766310 주진우의 자백(?) 3 000 09:54:39 538
1766309 이와중에 대기업 4곳 합격 골라간 문과 졸업 친구아들.. 11 부럽 09:53:35 968
1766308 내성발톱, 며느리발톱 어느 병원 가야하나요? 2 . . 09:48:37 185
1766307 파마하고 이틀동안 머리 안감으세요? 6 머리 09:46:44 438
1766306 40대 아줌마, 오토바이 배울 곳 있을까요? 6 ..... 09:42:49 321
1766305 청소업체 1 친정 09:40:37 175
1766304 애랑 남편 등교 출근 다 시키고 5 에효 09:37:41 694
1766303 일본 의료민영화한대요 10 vg 09:36:33 1,147
1766302 올해 대졸한 아이들 취업율 7 어때요? 09:35:49 901
1766301 사미헌 5팩 40500원 4 00 09:33:41 688
1766300 건강상의 이유로 커피를 1년반 끊었는데 효과 없네요. 19 달달믹스 09:31:41 1,656
1766299 쿠쿠 as비용이 15만원이나ᆢ 3 나비 09:30:14 500
1766298 인터넷게시판보고 주식하는거 아니네요 16 .. 09:28:29 1,076
1766297 82에 도움받은 것-수면 4 ㅁㅁ 09:26:37 715
1766296 오세훈- 국민세금으로 한강버스 보증 2 000 09:23:18 281
1766295 LED전구의 수명은 얼마나 돼요? 4 .... 09:22:30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