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시작.
1.대출규제는 2025년 6월 27일에 시작됐습니다.
2.월세화는 오랜 기간 제가 부동산시장 와치한 이후 꾸준히 지속되어 왔지요.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정부는 아예 월세기조가 선진국으로 가는 현상 따라가도 괜찮은, 불가피한 현상처럼 주장했고. 그때는 또 조중동 등은 그렇게 썼어요.
3.최근 언론에 나오는 수치도 올해 상반기 그러니까 1월부터 7월까지 겁니다.
4.그런데 대출규제때문에 월세화가 촉진됐다는 것이지요. 인과관계가 이재명때문이라는 것입니다.
5.여기에다가 전국 무주택가구 1000만 육박도 큼지막하게 답니다. 다 썼습니다. 그런데 이 수치도 2023년말 기준이에요.
6.그러나 이걸 다 뭉뚱그려서 서울에 무주택자가 50%가 넘어가는 것도(2023년 말 기준), 월세화가 수십년동안 진행되는 것도, 월세화의 최근 통계도(1월부터 7월까지) 모두 6.27 대출규제때문이라고 헤드라인을 잡습니다. 다 이딴 식으로 쓰고. 다 이딴 식으로 믿고. 기재부 장관은 저모양 저꼴이고. 기재부 관료들이나 국토부 관료들이 인터넷에서 조중동에서 보는 것은 다 온통 이런 기사들이면.
7.한두달안에 전국민이 그렇게 믿게 됩니다. 곧 경실련 등 시민단체들까지 가세할 겁니다. 한겨레 경향은 말할 것도 없지요. 문재인때. 노무현때. 똑같은 현상을 목도했고, 사력을 다해 막으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습니다.
8. 왜? 정책을 입안하고, 정책을 실행하고, 정책을 퍼뜨리거나 왜곡하는 언론까지 모두 부동산 이해관계자들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그들이 의식을 하든 안 하든.
9.그리고 이른바 진보언론이나 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무조건 한꺼번에 비난하는 것이 "도덕적 순결성"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이죠. 그들이 의식을 하든 안 하든.
10.20년 이상 지속되어온 패턴이 지난 2개월동안 다시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당하시렵니까? 전 이번 정권까지만 목소리를 높이겠습니다. 정 모든 국민이 다 함께 미지근하게 데워지는 빚의 웅덩에서 익혀 죽고 싶다면. 그렇게 하시든지요. 딱 몇년만 더 싸워볼게요. 당신들의 편견에 저항해.
ㅡㅡㅡㅡㅡㅡㅡ
목소리 내 주셔서 감사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