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살 때 9억 이상은 자금조달계획서 쓰잖아요.
그거 제출해도 추후 소명하라 한다고 돈이 있어도 깔끔하게(?) 풀로 대출을 받고 돈으로 대출을 갚는게 낫다 하던데 이게 맞말인가요?
현재집 매도금과 이사갈 곳 매수금 차이가 크면 소명하라는 연락을 많이 받는다는데 그런가요?
저흰 8억 팔고 13억 살건데 고가 아파트는 아니더라도 이런 경우도 해당되나요?
부알못이 간만에 집 거래한다고 모르는게 많아요. ㅠ
집 살 때 9억 이상은 자금조달계획서 쓰잖아요.
그거 제출해도 추후 소명하라 한다고 돈이 있어도 깔끔하게(?) 풀로 대출을 받고 돈으로 대출을 갚는게 낫다 하던데 이게 맞말인가요?
현재집 매도금과 이사갈 곳 매수금 차이가 크면 소명하라는 연락을 많이 받는다는데 그런가요?
저흰 8억 팔고 13억 살건데 고가 아파트는 아니더라도 이런 경우도 해당되나요?
부알못이 간만에 집 거래한다고 모르는게 많아요. ㅠ
풀로 대출 받는게 뭐가 좋아요.. 대출이자 생각하면 ㅠㅠ돈있으면 그냥 현금주고 사는게 제일 낫죠. 대출 이자는 생각안하세요.
저도 그게 의아해서 질문드리는 거예요.
잘 이해가 안돼서요 ㅠ
자금출처조사때문에 보통 풀대출합니다
그거에 문제없으면 상관없어요
그게 상급지일수록 고가일수록 더 좋으니 가진돈에 맞춰 사지말고 대출 풀로 받아 영끌해서 상급지 아파트 사란 말 아닌가요???
즉 가진돈에 감당가능한 대출 맞춰 13억짜리 사지 말고 대출 풀로 받고 이리땡기고 저리땡겨서 20억이상으로 가라는 말인거 같아서요..
아뇨 자금조달서 소명 문제 때문에 그런다고 하더라구요.
전 말을 들어도 뭔소린지 백프로 이해가 안되네요.
님이 원글에 이유 다 쓴거 같은데요.
자금 조달서 소명 문제 떄문에 그런다고.
내가 이런저런 돈으로 구매한다 하고 자금계획서를 제출해도
자금출처를 계속 소명하라면서 피곤하게 하나보죠.
그냥 풀로 대출받고 그 금액만큼은 은행대출이다 소명하면 더 소명해라 하는거 없이
한번에 끝나구요.
제가 궁금한건 그럼 다른분들도 대출 이자를 더 내면서 그렇게들 많이 하시나요?
작년에 8억에 팔고 12억 집 구매했는데 자금소명 그렇게 까다롭지 않던데요
주식매도금, 적금, 집 매도액 이렇게 적었어요
증여받은게 있을경우 세금관련 문제 생길까봐 풀대출 받아 구매하는 경우도 많나본데
그렇지 않은이상 저처럼 대부분 적는다 하더라구요
저도 주위에 돈 있으면서도 그렇게하는 사람 봤어요.
많이들 그러나봐요
주택자금 마련이 조사들어왔을 때 입증할 만하지 못 한가부죠.
증여세 안내고 돈을 받았다거나...
대출 받고 1년에 10% 정도는 중도상환수수료 없이 상환 가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