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하이앤드급은 안써봤구요.
제 수준에서 비싼거 싼거 다 써봤는데 결론은 큰차이 없더라..입니다.
오히려 싸냐 비싸냐보다 어디서 만든지가 더 중요하구요.
특히 옷은 가격보다 소재였고 비싸다고 비싼소재 쓴거 아니더라구요.
다이소도 되도록 메이드인 코리아쓰구요.
일단 브랜드거가 좋은게 문제시 대처가 다르구요.
전 그래서 가성비 중요하다 생각해요.
엄청난 하이앤드급은 안써봤구요.
제 수준에서 비싼거 싼거 다 써봤는데 결론은 큰차이 없더라..입니다.
오히려 싸냐 비싸냐보다 어디서 만든지가 더 중요하구요.
특히 옷은 가격보다 소재였고 비싸다고 비싼소재 쓴거 아니더라구요.
다이소도 되도록 메이드인 코리아쓰구요.
일단 브랜드거가 좋은게 문제시 대처가 다르구요.
전 그래서 가성비 중요하다 생각해요.
키친타올도 비싼게 좀 더 도톰하고 화장실휴지도 더 탄탄하고 폭도 넓고
콩나물도 비싼게 콩머리도 작고 안질기고 고소하고 두부도 모양도 더 예쁘고 맛있고
고기도 한우가 맛있..지 않나요 ㅠㅠ
차이 있는것도 있고. 없는것도 있고 그런것같아요. 비싸면 비싼값 할때도 있고 아닐때도 있고요.
동감. 다이소 애정합니다. ㅎㅎㅎㅎㅎ
AS가 필요한건 브랜드 사고요
전혀요.
그럼 가격이 다 같아야죠
사람들이 바보가 아미라 다 똑같으면 돈 다르게 안내요
맞아요. 저는 그래서 가심비가 중요해요. 내 맘에 쏙 들면 비싸도 좋고 딱히 내가 취향이 없는 물건은 저렴하면 좋고.
당연히 비싼거 싼거 사이에 차이가 있어야 하고 없으면 사기죠 ㅋㅋ
근데 그 차이가 돈만큼 나냐 하는 점에서는 저도 싼 게 가성비가 나은 경우를 많이 겪어서요.
전 반대요
조금더 지불하더라도 좋은제품 구매해요
다이소제품은 별로였어요
싼게 비지떡이란 생각이에요
저도 하이앤드 급은 안 써봤지만
싼게 비지떡이란 말 백퍼 믿습니다
이마트에서 무표백 키친타월을 몇년째 사서 쓰는데
얼마전 노브랜드인가? 암튼 비슷한 제품을 가격 낮게 팔길래
구입했는데 와 진짜 얇기가 어쩜 그리 얇은지
친정엄마가 애용하는 다이소 키친타월보다 못해요
뜯을 때에도 꼭 찢어져요
결론, 돈은 쓴만큼 티를 낸다
아닌경우엔 그게 문제다
대체로 비싼게 돈값 하더라구요
질을 따지다보면 너무 싼건 피하게 됩니다
특히 옷은 가격보다 소재였고 비싸다고 비싼소재 쓴거 아니더라구요.
ㅡㅡㅡ
비싼 옷은 패턴이 한 몫 합니다.
패턴이 마술을 부려요
그래서 해외 명품사는 디자이너들보다 패턴사들 연봉이 더 높습니다.
옷을 떠나 모든 제품은
싼게 비지떡 맞고요.
어느 가격대는 가성비 있는 제품은 존재합니다.
특히 옷은 가격보다 소재였고 비싸다고 비싼소재 쓴거 아니더라구요.
ㅡㅡㅡ
비싼 옷은 패턴이 한 몫 합니다.
패턴이 마술을 부려요
그래서 해외 명품사는 디자이너들보다 패턴사들 연봉이 더 높습니다.
옷을 떠나 모든 제품은
싼게 비지떡 맞고요.
어느 가격대든 가성비 있는 제품은 존재합니다
화장품은 가격 10배 비싸면 1.3배 정도 좋게 느껴짐
그나마도 효과의 차이는 미미
저도 싼게 비지떡이란 마음으로 이왕이면 좀 비싼걸로 사왔고 외식때도 좀 비싼걸로 먹고 그랬는데요 요즘 드는 생각은 원글같은 생각이에요. 비싸다고 좋은거 쓰고 그런 것도 아니더라구요. 사람들이 믾이 쓰고 좋아하는건 어느 정도 가격과 다르게 이유가 있다 생각이 들어서 가성비란게 존재한다고 생각했어요.
저도 다이소에서 꼭 원산지 확인해요. 1000원 더 주더라도 국산으로.
비싼 거 사니 버리지도 못해요
가구는 풀세트는 비한 것도 좋은데
단품을 비싼거 사니 못버림.ㅠ
옷은 원단과패턴이 가격차이를 만들고
그릇은 그립감과 쓸수록 애정안할수없는
뭔가가 있고
자사의 브랜드가치를 소중히 여기는곳의
물건들은 디테일에서 차이가 있어요
그건 섬세한 사람들이 더 잘느끼겠죠
그래서 저는 작은 차이지만 마감처리나
공간절약과 사용의 불편을 최소화한 제품들에
돈쓰는것을 아까워하지않아요
식재료는 아무래도 내가 나고자란곳 토양에서
먹고자란 동물이나 채소과일이라
국산을 선호하고
한우를 고집하는 이유는
제입맛이 수입고기를 거부해서에요
생선도 돌돔등 돔종류만 자연산으로
먹습니다
나는 소중하니까요
소재에 맞는 패턴이 존재한다 생각하구요
자신의 소비기준에서 가성비.가심비 따져보시란거구요.
무조건 싼거 좋다 아니구요.
화장품도 기본성분은 기능별로 같아요.
비싼 것은 비싼 값을 할 가능성이 보다는 브랜드 값이다~라는 생각을 많이 하는데
싼 것은 역시 싼 값을 할 가능성이 높더라구요.
가격의 차이만큼 성능이 차이 나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 같아요
가격이 엄청 차이나야 성능 조금 차이나죠..
비싼 옷은 패턴이 한 몫 합니다
2222222222
외국의 어느 기업가가 그랬다잖아요.
한국은 비싸게 팔아야 인기가 있는 이상한 나라 라고...
한국인들 국제적인 호구에서 벗어나는 날이 빨리 오기를
싸고 좋은건 없다 주의에요
과일 고기 옷 대체적으로..
비싼 게 맛있거나 품질이 좋긴 하지요.
그래도 저는 다이소 기초 화장품 애용..
엘지나 애경..
싸고 좋은건 없다 주의에요
과일 고기 옷 대체적으로..
2222222
다이소꺼는 건전지도 오래 안가요.
다이소에서 사는건 품질이나 디자인이 그닥 상관없는 것들.
좋은건 없는게 맞는데 비싼걸 너무 추구하는 소비문화 덕에 좀만 질이 좋다싶으면 가격이 팍팍 올라가요.
비싼건 이유가 있고(나에게 맞다가 아닐 경우도 있음,재료가 좋거나 등)
싸고비싸고간에 많이 팔리는건 이유가 있다고 봐요.
저는 모르면 돈을 더 주라고 하는 말 너무 싫음.
철저하게 가성비 따지고 질 비교 하고 내 수준에 맞는 소비를 하려 함.
일례로, 저는 알뜰폰 요금제, 10기가 5천얼마짜리 쓰는데, 엄청 구두쇠처럼 알뜰 살뜰 사시는 분한테 얘기드렸더니, 너무 싼거는 못믿겠다면서 1기가도 안되는 데이터에 35000원정도 되는 요금제 쓰시더라고요. 요새는 모르면 공부해서 좀 더 싼거 사도 된다고 생각해요. 그 가격이 유통구조 때문에 생기는 예가 많기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