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난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흙수저 조회수 : 7,177
작성일 : 2025-07-29 12:15:44

쓰레드에서 퍼온 글인데, 요즘 돌아가는 판을 보니 맞말이 많네요.

 

가난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1. 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이 시작된다. → 중앙은행이 돈을 찍을수록 물가가 오르기 시작한다. 

 
2. 세금은 티 나지만 인플레이션은 티 안 난다. → 소득세처럼 고지서가 없다. → 생활비가 오르면서 모르게 세금처럼 돈이 빠져나간다. 
 
3. 부자는 자산으로 방어한다. → 부동산, 주식, 금으로 가치 보존 → 자산은 오히려 가격이 오른다. 
 
4. 서민은 현금으로 깎인다. → 월급은 천천히 오르는데 물가는 빠르게 오른다. → 실질소득이 줄어든다. 
 
5. 정부는 빚을 인플레이션으로 갚는다. → 국가 부채가 많을수록 물가 올려서 실질부담 줄인다. → 결국 국민이 부담을 떠안는다. 
 
6. 금융문맹은 인플레를 못 막는다. → 돈의 구조를 모르면 당하는 줄도 모르고 가난해진다. 
 
7. 인플레이션도 부의 시스템의 일부다. → 돈의 흐름을 먼저 이해하는 자가 살아남는다.
IP : 42.25.xxx.9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금이나
    '25.7.29 12:18 PM (58.29.xxx.96)

    달러 주식으로 쥐고 있어야

    한국주식 제외
    집은 너무 비싸고
    지방은 집값으로 인플레방어가 안됨

  • 2. ...
    '25.7.29 12:18 PM (211.234.xxx.107)

    돈 안풀어서 이미 빈익빈 부익부에요.

  • 3. 돈을 안풀면
    '25.7.29 12:20 PM (59.7.xxx.113)

    디플레가 오는데요

  • 4. ...
    '25.7.29 12:21 PM (211.169.xxx.199) - 삭제된댓글

    가난은 소득대비 씀씀이가 좌우해요.
    일반인들은 주제파악하고 아끼는 방법밖에 없어요.
    적게벌어도 경제 관념있고 저축하는 사람은 적어도
    가난하지는 않더라구요.

  • 5. ..
    '25.7.29 12:30 PM (223.38.xxx.250) - 삭제된댓글

    조용히들 달러화,금으로 바꾸는데
    다루기 쉬운 사람들은
    주식에만 정신 팔리게 코스피 5,000 떠들죠

    정작 수백개 외국회사들은 상법 ,노란봉투법 등
    떠날거라 하고
    국내 대기업들은 4050권고해직 시작
    돈 뽑을 데는 세금 밖에 없겠죠
    국민이 가진 건 부동삼이라
    아파트,토지 뜨거운 물 개구리처럼 슬금슬금
    세금 올려야죠

  • 6. 윗님말도
    '25.7.29 12:30 PM (223.38.xxx.233)

    일리있어요
    티비에 나오는 일반인들 가정 보면
    사는 환경보면 빤한데
    맨날 배달식에 외식에
    돈 안모이는 이유가 있어요
    남들 하는거 다 따라하다간

  • 7. ..
    '25.7.29 12:31 PM (223.38.xxx.250)

    조용히들 달러화,금으로 바꾸는데
    주식에만 정신 팔리게 코스피 5,000 떠들죠

    당장 수 백개 외국회사들은 상법 ,노란봉투법 등
    떠날거라 하고
    국내 대기업들은 4050권고해직 시작
    돈 뽑을 데는 세금 밖에 없겠죠
    국민이 가진 건 부동삼이라
    아파트,토지 뜨거운 물 개구리처럼 슬금슬금
    세금 올려야죠

  • 8. ㅇㅇ
    '25.7.29 12:32 PM (211.210.xxx.96) - 삭제된댓글

    맞아요 소득대비 씀씀이가 정말 중요한게 제가 아는사람 보면 고가의물건들을 참 쉽게 사더군요
    인스타 보면서 이정도는 있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사고싶은거 다 사고 나중에서야 왜 자기는 돈없냐고..
    아무리 물가 오르고 은행 이자가 짜도 자기가 지출을 줄이면 돈은 모여요

  • 9. ㅇㅇ
    '25.7.29 12:35 PM (211.210.xxx.96)

    맞아요 소득대비 씀씀이가 정말 중요한게 제가 아는사람 보면 돈을 너무 쉽게 쓰더군요
    인스타 보면서 이정도는 있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사고싶은거 다 사고 나중에서야 왜 자기는 돈없냐고..
    아무리 물가 오르고 은행 이자가 짜도 자기가 지출을 줄이면 돈은 모여요

  • 10. 지나가는 하층민
    '25.7.29 12:44 PM (175.205.xxx.131)

    그럼 자잘한 소비 쓸데없는 지출 줄이는거 말고
    서민들이 할수있는 최선이 뭘까요?
    여윳돈있으면
    금, 달러가 나은건가요?

    이미 금도 많이 올라버리고
    주식도 장기매수가 답인듯 한데..

  • 11. 달러 말하면 노답
    '25.7.29 12:52 PM (39.7.xxx.211) - 삭제된댓글

    달러 크게 오른 것도 아닙니다.
    미국 사람들도 인플레로 달러들고 있지 않아요.
    주식이나 금 부동산이면 몰라도요.
    금 부동산 배 이상 오를 때 얼마 안 올랐어요.

  • 12. 달러 말하면 노답
    '25.7.29 12:56 PM (39.7.xxx.211)

    달러 크게 오른 것도 아닙니다.
    미국 사람들도 인플레로 달러들고 있지 않아요.
    미국 주식이나 금 부동산이면 몰라도요.
    금 부동산 배 이상 오를 때 얼마 안 올랐어요.

  • 13. 달러
    '25.7.29 1:05 PM (125.248.xxx.182)

    저는 비트코인 테더스테이블코인 미국주식 달러 미국배당etf들고있어요.비트코인은 이제 자산의 한축이 된듯해요

  • 14. 문제가
    '25.7.29 1:06 PM (1.235.xxx.154)

    심각해요
    어디서부터...

  • 15. 감사
    '25.7.29 1:09 PM (118.235.xxx.125)

    7. 인플레도 부의 시스템의 일부다.

  • 16. 결국주식이 답이고
    '25.7.29 1:36 PM (175.124.xxx.136)

    저축이 젤 바보짓이라는거네요

  • 17. ...
    '25.7.29 2:02 PM (124.49.xxx.13)

    지금 서울집값이 오른게 어니라
    풀린돈에 비해 집값유지하는 수준이고 나머지 집들이 손해보고 있는거래요
    미국주식 금 서울집값 비트코인은 통화량 대비 현상유지고 나머지들이 자산가치가 하락하는 중

  • 18.
    '25.7.29 2:20 PM (59.7.xxx.113)

    돈을 풀었을때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수요가 늘어서잖아요. 돈을 풀었는데 수요가 늘었다는건 누군가 돈을 벌었거나 번다는 뜻이고요.

    돈을 풀어서 누군가 돈을 버니 수요가 늘고 그것에 맞추려고 공급도 늘고 이게 지속되면서 경제규모가 커지는 거고 자산가격도 오르고요.

    돈을 더 찍어내는 이유는 수요 공급이 늘어 재화와 서비스가 늘었으니 늘어난만큼 가격을 매기려면 돈이 더 필요해서고요.

    그 과정에서 더 많이 돈을 버는 사람도 생기고 덜 버는 사람도 생기죠. 왜냐면 모든 재화 서비스의 가격이 동일하게 오르는게 아니라 수요가 몰리거나 공급이 부족한 쪽의 가격이 유달리 많이 오를거고 그걸 취급하는 사람은 더더 돈을 많이 벌죠.

  • 19.
    '25.7.29 2:27 PM (59.7.xxx.113)

    부자가 자산으로 인플레를 방어한다는 말은.. 자산이란 소비되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돈으로 바꿔서 유용하게 쓸수 있는 것이므로, 화폐가치가 떨어져도 자기 가치를 보존하기 때문이죠.

    노동력만 있고 자산을 보유하지 못한 서민은 인플레 시대에 근검절약이 매우 중요하죠. 왜냐면 통상적으로 금리는 물가보다 높기 때문에 고물가 시대에 저축을 하면 복리로 고금리 효과를 누릴수있으니까요.

  • 20. 인플레는
    '25.7.29 2:46 PM (59.7.xxx.113)

    부풀어 오르는거잖아요. 부풀때 똑같이 부푸는게 아니라 유독 많이 부푸는게 있죠. 서민은 그걸 노려서 자산을 축적하는거죠. 그게 사업이고 투자고 그렇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1119 차 긁은거 수리문제요. 5 ... 2025/07/29 1,039
1741118 운동이 저축이라고 5 .... 2025/07/29 2,558
1741117 오전에 화장실 잠깐 있었는데 땀이;; 5 ㅇㅇ 2025/07/29 1,449
1741116 개모차 어디거쓰세요? 3 개모차 2025/07/29 738
1741115 의사들은 인사 잘 안하나요? 15 된사람 2025/07/29 2,652
1741114 신청 하지 않은 카드 배송 전화 17 카드 2025/07/29 2,559
1741113 물티슈가 마른듯해요. 8 어떻게 2025/07/29 1,648
1741112 엄마 화장품 뭐가 좋을까요 4 asdg 2025/07/29 849
1741111 경북 구미 인동 주민센터 위치 보셈 ㅋㅋ 10 금호마을 2025/07/29 4,168
1741110 너무 더우니까 웃음이 나요 3 2025/07/29 1,690
1741109 펜타포트 인천 송도 구경할 곳 추천 부탁합니다 5 긍정의힘 2025/07/29 525
1741108 이더위에 세미원은 무리겠죠? 7 불볕더위 2025/07/29 2,046
1741107 하트페어링 보는데 제연부분은 스킵하며 보게되네요 7 00 2025/07/29 1,302
1741106 아래에 양평 글이 올라 와서요. ㅇㅇ 2025/07/29 842
1741105 매립배관 운제시 설치비용은 누가 내나요? 9 세입자 2025/07/29 626
1741104 카드없는 카카오페이로 4 민생지원금 2025/07/29 943
1741103 주식이 다들 올라서 살게없어요 9 ㅇㅇ 2025/07/29 5,055
1741102 스케쳐스 러닝화는 나이든분들이 주로 신어요? 17 @@ 2025/07/29 2,595
1741101 아침엔 조심! 8 아파파 2025/07/29 2,691
1741100 이 더운 날 탕수육을 만들어 봤습니다. 6 ... 2025/07/29 1,199
1741099 김건희특검 "尹, 내일 출석 불응시 체포영장 등 강제.. 8 속보 2025/07/29 2,130
1741098 여름보양식 민어매운탕 대충끓였더니 중딩이가 감탄하네요 3 오래만에 2025/07/29 1,953
1741097 핸드폰 액정보호 필름 집에서 될까요? 8 ddd 2025/07/29 525
1741096 Sk 안내문자 이거머죠? 유출관련 5 휴대 2025/07/29 2,150
1741095 네이버 요즘 싼 제품만 우르르 앞에 뜨지 않나요 1 네이버 2025/07/29 481